[include(틀:Creatures of Sonaria)] [목차] == 개요 == [[Roblox]]의 [[Creatures of Sonaria]]에 등장하는 크리처 목록. 크리처의 명칭은 현재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문서에 등재된 한글 표기가 실제 발음과 다를 수 있으니 참고 바람. == 유형 == === 식성 === * [[파일:CoS_초식.png]]'''{{{#00bf00 초식(Herbivore)}}}''': 육지에서 자라는 열매가 달린 덤불이나 수중에서 자라는 해조류를 먹을 수 있다. * [[파일:CoS_광섭식.png]]'''{{{#00bf00 광섭식(Photovore)}}}''': 초식 카테고리의 하위 분류로, 먹이를 먹지 않고 물만 마실 수 있다. * [[파일:CoS_육식.png]]'''{{{#FF0000 육식(Carnivore)}}}''': 다른 크리처를 사냥하여 고기를 얻거나 맵에 생성되는 사체를 먹을 수 있다. 수중에서는 물고기를 사냥하는 것으로 고기를 얻을 수 있다. * [[파일:CoS_광육식.png]]'''{{{#FF0000 광육식(Photocarnivore)}}}''': 육식 카테고리의 하위 분류로, 광섭식과는 반대로 물을 마시지 않고 고기만 먹을 수 있다. * [[파일:CoS_잡식.png]]'''{{{#828888 잡식(Omnivore)}}}''': 초식 크리처와 육식 크리처가 먹을 수 있는 것을 모두 먹을 수 있다. === 서식지 === 크리처의 서식지는 종류에 따라 크게 '''땅'''(Land), '''바다'''(Sea), '''하늘'''(Sky)로 나눠지며 각 카테고리마다 또 세부적으로 나뉜다. 둥지 형태를 통해서도 크리처의 서식지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데, 땅 크리처는 분화구 형태의 둥지, 바다 크리처는 해조류를 둥글게 뭉친 듯한 둥지, 하늘 크리처는 나뭇가지를 엮은 듯한 둥지를 만든다. * {{{+1 '''땅'''(Land)}}} * '''육생'''(Terrestrial): 땅 위에서 살아가는 유형. 점프가 불가능하다. 물속에서 헤엄 시 스태미나가 소모되며 전부 소진할 시 체력이 점점 줄어든다. * '''반수생'''(Semi-Aquatic): 육생 유형과 달리 육지와 물속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고 물속에서 스태미나도 회복시킬 수 있는 유형. 다만 바다 크리처와 달리 갈증 수치가 줄어들기 때문에 따로 물을 마실 필요가 있다. 물속에서 스태미나 회복이 가능하지만 스태미나가 조금씩 줄어들며 스태미나를 전부 소진할 시 육생 유형과 마찬가지로 체력이 점점 줄어든다.[* 스태미나 소모 유형 외에도 이전에는 또다른 유형이 있었다. 물속에서 스태미나가 줄지 않으나 물속에 너무 오래 있으면 산소가 없다는 경고문과 함께 체력이 줄어드는 '산소 소모' 유형인데, 현재는 모든 반수생 크리처가 스태미나 소모 유형으로 바뀐 상태이다.] * '''활공'''(Glider): 땅 크리처 중 일부가 해당되는 유형. 대부분의 종류가 활공을 위한 날개가 달려있어 하늘 크리처로 혼동되기 쉬우나 땅 크리처 특유의 분화구 형태의 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땅 크리처에 속한다. 점프키(Space)를 누르면 스태미나를 소모하여 활공 상태가 되며 여기서 다시 점프키를 눌러서 스태미나 소모와 함께 고도를 높일 수 있다. 활공 중 F키를 누르면 활공이 종료된다. 하늘 크리처의 활공 상태와 달리 글라이더의 활공 상태는 스태미나를 회복시키지 않으며, 활공만 가능한 만큼 동력 비행이 불가능하다. * '''활공 반수생'''(Glider Semi-Aquatic): 반수생과 활공을 합친 유형. 육지와 물속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것은 물론 공중에서 활공까지 가능하다. 동력 비행만 못할 뿐이지 육해공 전부를 돌아다닐 수 있는 셈. * {{{+1 '''바다'''(Sea)}}} * '''수생'''(Aquatic): 물속에서 살아가는 유형. 갈증 수치가 줄어들지 않는다. 육지에 올라가면 이동 속도가 극단적으로 감소하며 좌초(beached)되었다는 경고와 함께 체력이 점점 줄어든다. 이러한 단점 때문인지 바다 크리처는 같은 티어 내의 육지 크리처들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스탯을 가지고 있다. * {{{+1 '''하늘'''(Sky)}}} * '''비행'''(Flier): 공중을 날 수 있는 유형. 스태미나를 소모하는 것으로 비행을 할 수 있으며 F키를 눌러 스태미나를 소모하지 않고 천천히 회복시키는 활공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육생 크리처와 마찬가지로 물속에서 헤엄 시 스태미나가 소모되며 전부 소진할 시 체력이 점점 줄어든다. 공중을 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인지 같은 티어의 육지 크리처들보다 한 단계 낮은 수준의 스탯을 가지고 있다. * '''전지형'''(All-Terrain): 비행과 반수생을 합친 유형. 일명 '''육해공'''으로 불리며, 육지와 물속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것은 물론 공중에서 비행까지 가능하다. == 가치 == 크리처를 얻는 방법에 따라 해당 크리처의 가치에 영향을 준다. 크리처의 가치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독점 크리처와 노부스 워든을 제외한 모든 크리처는 획득 조건과 상관 없이 거래 서버(Trade World)에서 거래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없는 크리처를 이러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커뮤니티에서 크리처 시세를 알아보고 거래하는 것을 추천한다. === 비한정 === 조건만 충족하면 언제든지 얻을 수 있는 크리처. 따라서 한정 크리처에 비해 가치가 낮다. * '''일반 크리처''' 별다른 조건 없이 일반적인 뽑기에서 얻을 수 있는 크리처. 비한정 크리처 유형 중에서도 가치가 매우 낮게 평가된다. 대기실에서 짙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 '''비밀 임무 크리처'''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면 해금 되어 일반적인 뽑기에서 얻을 수 있는 크리처. 다만 해금 조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Creatures of Sonaria/재화 및 거래#토큰|랜덤 뽑기 돌리기 토큰]]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후술할 임무 시스템과는 관련 없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대기실에서는 갈색으로 표시된다. * [[밀리트루아]]: 초식성 반수생 크리처로 300 포인트의 먹이 먹기. * [[베누엘라]]: 여름일 때 광섭식 크리처로 성년기(67살 이상) 비행 크리처 10마리 처치하기. * [[보모라]]: 3티어 이상의 하늘 크리처로 악천후 상태이상이 있는 상태에서 속성 브레스 피해를 30%이상 입기. * [[아르소노스]]: 화산 분출시 생성되는 거대한 버섯 습득. * [[아스트로시]]: 가을 혹은 겨울 밤에 하늘 크리처로 다른 크리처를 둥지에 초대. * [[알레이쿠다]]: 여름일 때 출혈 능력을 지닌 크리처로 수생 크리처에게 150 이상의 출혈 피해를 입히기. * [[제티네스]]: 초식 크리처로 300이상의 출혈을 치료. * '''기간 뽑기 크리처''' 기간 뽑기에서만 얻을 수 있는 크리처. 신규 크리처 또는 일반 뽑기에 있었던 크리처를 포함하고 있으며 목록에 있는 크리처 대부분이 특이한 능력이나 스탯을 가지고 있는 게 특징이다. 업데이트를 통해 목록에 있는 일부 크리처들은 일반 뽑기로 옮겨질 수 있다. 대기실에서는 짙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일반 뽑기에 있다가 기간 뽑기로 옮겨진 크리처의 가치는 낮게 평가되지만 처음부터 기간 뽑기에 들어간 크리처의 가치는 비교적 높게 평가된다. 특히 기간 뽑기는 해금 조건이 까다롭고 가격에 비해 원하는 크리처를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낮기 때문에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기간 뽑기 크리처는 한동안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경향이 있다. * [[갈테크론]] * [[고블리]] * [[구라바]] * [[날리키]] * [[다이아마즐라]] * [[베테모르템]] * [[셀레리타스]] * [[엠피네스]] * [[저리진]] * [[츠가에]] * [[크라타 페레티나]] * [[터전]] * [[티칼로스]] * [[페라(Creatures of Sonaria)|페라]] * [[페르니렉스]] * [[히코르시]] * '''개발자 크리처''' 특정 개발자를 위해 만들어진 크리처. 로벅스로 구매해야 하며, 공통적으로 해당 크리처의 개발자를 만나면 두 번째 팔레트가 해금된다. 크리처 가격은 '''티어*100 로벅스'''다. 대기실에서는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 [[다와트]]: Latedownload의 개발자 크리처. 200로벅스로 구매. * [[토후코스]]: Stood_04의 개발자 크리처. 300로벅스로 구매. * [[닉톡슨]]: JaxonBirb의 개발자 크리처. 400로벅스로 구매. * [[아누틸]]: East의 개발자 크리처. 400로벅스로 구매. * [[아르칼리움]]: Erythia의 개발자 크리처.400로벅스로 구매. * [[우라(Creatures of Sonaria)|우라]]: NauticaElurra의 개발자 크리처. 400로벅스로 구매. * [[쿠루고스크]]: Alertcoderf의 개발자 크리처. 400로벅스로 구매. * [[루센시아]]: BlckBrryJam의 개발자 크리처. 500로벅스로 구매. * [[오프랄리전]]: Wolfragon의 개발자 크리처. 500로벅스로 구매. * '''시간 뽑기 크리처''' 구매하는 데 특정한 플레이 타임이 필요한 크리처. 뽑기에서 얻을 수 있지만 뽑기에서 나올수 있는 크리처가 한 종류뿐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구매하는 것과 다름없다. 대기실에서는 보라색으로 표시된다. * [[이퍼]]: 30분 뽑기에서 획득. * [[에쇼]]: 2시간 뽑기에서 획득. * [[지오고프]]: 5시간 뽑기에서 획득. * [[버클릭신]]: 10시간 뽑기에서 획득. * [[츠바빌리스크]]: 30시간 뽑기에서 획득. * [[헤키옹크스]]: 50시간 뽑기에서 획득. * [[예바이디]]: 100시간 뽑기에서 획득. * [[세라데]]: 200시간 뽑기에서 획득. * [[헬리온 워든]]: 300시간 뽑기에서 획득. * '''로벅스 상점 크리처''' 로벅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크리처. 원래는 뽑기 형태였으나 사행성 및 국가 제한 논란으로 인해 확정 구매 형태로 변경되었다. 개발자 크리처 중 은퇴한 개발자를 대표하는 크리처가 이곳으로 옮겨지기도 한다. 대기실에서는 밝은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 [[루키그]]: 50로벅스로 구매. * [[애니(Creatures of Sonaria)|애니]]: 100로벅스로 구매. (전 개발자 크리처) * [[주쿠]]: 150로벅스로 구매. * [[아다르카인]]: 250로벅스로 구매. * [[기블리(Creatures of Sonaria)|기블리]]: 300로벅스로 구매. (전 개발자 크리처) * [[트루솔비바]]: 300로벅스로 구매. (전 개발자 크리처) * [[플뢰랄리스]]: 500로벅스로 구매. * [[아리타무크]]: 750로벅스로 구매. (전 개발자 크리처) * [[바니시(Creatures of Sonaria)|바니시]]: 1,575로벅스로 구매. * [[바젤리]]: 1,800로벅스로 구매. * '''탐험가 뽑기 크리처''' 맵 상에 한 개 씩 스폰되는 특수한 탐험 토큰을 얻어 탐험가 뽑기를 해금시켜야 얻을 수 있는 크리처. 습득한 탐험 토큰을 전부 사용하면 탐험가 뽑기가 다시 잠기기 때문에 다시 맵 곳곳을 뒤지면서 탐험 토큰을 얻어야 한다. 대기실에서는 빨간색,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 '''광섭식&광육식 크리처''' * [[도라고닉스]] * [[레라추]] * [[베누엘라]] * [[시야로]] * [[시트럴란티스]] * [[아홀라이]] * [[야마투]] * [[칸타포디]] * [[코라이저]] * [[키윈]] * [[파이라닐리]] * [[퍼니플라이]] * [[하이고스]] * '''은하수''' * [[갈레오스트라]] * [[닉사솔릭스]] * [[슬레이온]] * [[아몰리스]] * [[액소탄]] * [[에스미르]] * [[플릭슬릿]] * '''기계'''[* 4월 말에 돌연변이 뽑기가 기계와 괴물 두 테마로 나뉘어졌으며, 기존의 돌연변이 뽑기 토큰은 기계 뽑기 토큰으로 대체되었다.] * [[스타크놀]] * [[옥시다이젠]] * [[제테벤]] * [[지오아렉스]] * [[치수도]] * [[키쿠(Creatures of Sonaria)|키쿠]] * [[벨루도라]] * '''괴물''' * [[라이쿼조크]] * [[바히엑스]] * [[보스쿠로]] * [[이메아오른]] * [[제놀리프]] * [[코라토스]] * '''과자''' * [[시마부]] * [[재블배시]] * [[큐페레]] * [[크레츠니크]] * [[파이어리(Creatures of Sonaria)|파이어리]] * '''임무 시스템 크리처''' 메뉴의 임무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크리처. 각 크리처마다 주어진 임무를 달성하면 즉시 얻을 수 있다. 대기실에서는 갈색으로 표시된다. * [[샤레이(Creatures of Sonaria)|샤레이]] * [[아포퓨엑스]] * [[에이로카]] * [[예냐샤]] * [[캐번가우]] * [[파룩스]] * [[파이레미아]] * [[프리지보아]] * '''일일 출석 보상 크리처''' 게임을 접속할 때 출석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크리처. 대기실에서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 [[펠리시오]] * '''여행자 뽑기 크리처''' 여행자 뽑기에서만 뽑을 수 있는 크리처. 여행자 뽑기는 기간 뽑기처럼 해금 임무를 완수한 뒤 얻을 수 있는 전용 토큰으로만 돌릴 수 있으며, 기간 뽑기보다 해금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가치가 더욱 높게 평가된다. 대기실에서는 짙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 [[나카마스카]] * [[달가라]] * [[아보티우스]] * [[지오프치나]] * [[코노무시]] * [[플리커플라이]] * [[핵설라인]] * '''티킷 뽑기 크리처''' 게임 재화 중 하나인 [[Creatures of Sonaria/재화 및 거래|티킷]]으로 돌리는 티킷 뽑기에서만 뽑을 수 있는 크리처. 대기실에서는 청록색으로 표시된다. * [[루리메스]] * [[에리데아]] * [[에스칼러]] * [[엠피테리움]] === 한정(Limited Supply) === 제한된 기간 동안 획득이 가능한 크리처. 한정 뽑기 크리처와 베타 크리처를 제외하면 전체적인 양은 늘어난다. * '''뱃지 보상 크리처''' 뱃지 보상으로만 획득이 가능한 크리처. 추가적인 공급은 없을 것이라고 하며, 따라서 게임 내에서 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된다.[* 케루쿠는 확실히 어마어마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지만 아올레누스의 경우 케루쿠보다 물량이 많은 상태고 무엇보다 스탯에 단점이 많은지라 그 지위에 걸맞지 않게 싸게 거래되는 경향이 있다.] 뱃지 보상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노란색, 주황색, 분홍색으로 표시된다. * [[코르부락스]]:'''Early Access Supporter'''배지를 소유. 현재 획득 불가. * [[미주스이마]]: '''Recode Early Access''' 배지를 소유. 현재 획득 불가. * [[아올레누스]]: '''Beta Tester'''[* [[파일:Beta Tester.png]] 베타 테스트에 한 번이라도 참여했다면 얻을 수 있다.] 배지를 소유. 현재 획득 불가. * [[케루쿠]]: '''Beta Supporter'''[* [[파일:Beta Supporter.png]] 베타 테스트에 참여 후 그 기간 동안 게임 내 로벅스 결재를 했다면 얻을 수 있다.] 배지를 소유. 현재 획득 불가. * '''독점 크리처''' 특정한 인물들에게만 지급되는 크리처. 담당 유저에게 매달마다 일정한 양이 지급되며 해당 인물이 아니면 거래가 불가능하다. 일반 유저의 경우 해당 크리처의 담당자들이 주최하는 증정 이벤트를 통해 얻을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독점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회색으로 표시된다. * [[베르자]]: 공식 디스코드 서버에서 활동하는 창작자들 중 게임에 큰 기여(서버 배너 제작, 게임 아이콘 제작 등)를 한 '''공인 제작자'''들에게만 지급되는 독점 크리처이다. * [[시그마톡스]]: 크리처 출시 이전에 테스트 서버에서 크리처 시험을 하는 '''테스터'''들에게만 지급되는 독점 크리처이다. * [[에어리스(Creatures of Sonaria)|에어리스]]: 게임을 리뷰하고 홍보해주는 '''콘텐츠 제작자'''(유튜브, 틱톡, 트위치)들에게만 지급되는 독점 크리처이다. 콘텐츠 제작자로써 공식으로 승인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bPoA6QYNVnESxub9qLeYMMMTOlvJPhDCey8uanR1JWuzwg/viewform|조건]]이 필요하다. * [[에테랄로투스]]: 공식 디스코드 서버를 관리하는 '''모더레이터'''들에게만 지급되는 독점 크리처이다. * [[오와스트리루스]]: 게임 번역을 담당하는 '''번역가'''들에게만 지급되는 독점 크리처이다. * '''한정판 뽑기 크리처''' 한정판 뽑기에서 얻을 수 있는 특정한 테마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크리처. 하나의 테마는 몇 개의 웨이브로 구성되며, 몇 달 정도 지나면 다음 웨이브로 바뀐다. 지나간 웨이브도 시간이 지나면 복각될 예정이지만 그 텀이 매우 길기 때문에 스탯 및 성능이 나쁜 게 아니라면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한정판 뽑기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 '''한정판 공룡 크리처''' * [[멕멕]]&[[트리킬로]]: 1번째 웨이브. 1번째 사이클 뽑기 가격은 1000슘이였다. 현재 획득 불가. * [[디오크라인]]&[[테로키스]]: 2번째 웨이브. 뽑기 가격은 1,000슘이였다. 현재 획득 가능. * [[시루돈]]&[[자이루더스]]: 3번째 웨이브. 뽑기 가격은 2,500슘이였다. 현재 획득 불가. * [[펠릭스트록스]]&[[프테롤리툭스]]: 4번째 웨이브. 가격은 2,500슘이다. 현재 획득 불가. * '''한정판 원소 크리처''' * [[발커스]](불)&[[조독]](물): 1번째 웨이브. 뽑기 가격은 2,500슘이였다. 현재 획득 불가. * [[놀록]](땅)&[[할라퀄]](공기): 2번째 웨이브. 뽑기 가격은 2,500슘이였다. 현재 획득 불가. * '''한정판 고대 역사 크리처''' * [[아툴리스]]&[[어디가드]]: 1번째 웨이브. 뽑기 가격은 2,500슘이였다. 현재 획득 불가. * [[이스타후아틀]]&[[카부라디스]]: 2번째 웨이브. 뽑기 가격은 5,000슘이였다. 현재 획득 불가. * '''이벤트 크리처''' 특정 기간동안 진행되는 이벤트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크리처. 이벤트 복각 시 이에 따라 해당 이벤트 크리처들 또한 복각하기 때문에 완전한 한정판은 아니다. 이벤트마다 전용 크리처 입수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벤트 재화를 통한 구매'''로 굳어지고 있는 추세다.[* 다만 임무 시스템과 연계되는 서머 파라다이스와 슘이나 로벅스 지불을 통해 크리처를 얻는 LSS는 제외.] * '''겨울 이벤트''' 12월에서 1월 사이에 진행하는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겨울이나 크리스마스와 관련된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1년 주기로 이벤트가 돌아온다. 겨울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흰색, 파란색,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 '''2020년''' * [[슬라이어녹]]: 1번째 웨이브. * [[요툰헬]]: 2번째 웨이브. * [[보리얼 워든]]: 3번째 웨이브. * '''2021년''' * [[노스코그]]: 1번째 웨이브. * [[바스켈라]]: 2번째 웨이브. * [[요소그]]&[[툰드릭]]: 3번째 웨이브. * '''2022년''' * [[세니카라]]: 1번째 웨이브. * [[코니페론]]: 2번째 웨이브. * [[스터비]]: 3번째 웨이브. * '''밸런타인 이벤트''' 2월에 진행하는 밸런타인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꽃이나 사랑, 밸런타인 데이와 관련된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1년 주기로 이벤트가 돌아온다. 밸런타인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흰색, 분홍색으로 표시된다. * '''2021년''' * [[페칼루]]: 1번째 웨이브. * [[파일러프]]: 2번째 웨이브. * [[아더 워든]]: 3번째 웨이브. * '''2022년''' * [[라이보니치]]: 1번째 웨이브. * [[라하르페스]]: 2번째 웨이브. * '''2023년''' * [[웨윅스]]: 1번째 웨이브 * [[하이보리아(Creatures of Sonaria)|하이보리아]]&[[헤비토아]]: 2번째 웨이브. * '''부활절 이벤트''' 4월에 진행하는 부활절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토끼나 알, 화려한 색의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1년 주기로 이벤트가 돌아온다. 부활절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보라색, 파란색, 청록색으로 표시된다. * '''2021년''' * [[푸구]]: 1번째 웨이브. * [[버던트 워든]]: 2번째 웨이브. * [[키키(Creatures of Sonaria)|키키]]: 3번째 웨이브. * [[버프 율러피]]: 보스전 클리어 시 확률적으로 획득.[* 이후 2023년에는 다른 크리처들처럼 이벤트 재화로 구매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 '''2022년''' * [[레나라부]]&[[무넬]]: 1번째 웨이브. * [[오부푸]]: 3번째 웨이브. * '''2023년''' * [[오이코]]: 1번째 웨이브. * [[데메티라]]: 2번째 웨이브. * [[파브라셰]]: 3번째 웨이브. * '''할로윈 이벤트''' 10월에 진행하는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할로윈과 관련된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할로윈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다홍색, 보라색으로 표시된다. * '''2021년''' * [[살란]]&[[언돌리]]: 1번째 웨이브. * [[가라 워든]]: 2번째 웨이브. * [[크립토스]]: 3번째 웨이브. * '''2022년''' * [[비라크니아]]: 2번째 웨이브. * [[상 토아레]]: 3번째 웨이브. * '''LSS 이벤트''' 5월에 진행하는 LSS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여러 가지의 서식지를 테마로 한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1년 주기로 이벤트가 돌아온다. LSS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연두색으로 표시된다. * '''2022년''' * [[위그드라그스틱스]]: 테라 임무. * [[오라론]]: 운다 임무. * [[발키리(Creatures of Sonaria)|발키리]]: 아이리우스 임무. * [[노부스 워든]]: 옴니스 임무. * '''2023년''' * [[글로바우쿠스]]: 전용 임무. * [[엔젤릭 워든]]: 전용 임무. * [[제터노스]]: 슘 기부. * [[다이엘라투라]]: 슘 기부. * '''서머 파라다이스 이벤트''' 7월에사 8월 사이에 진행하는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열대 지방과 관련된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1년 주기로 이벤트가 돌아온다. 서머 파라다이스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노란색, 연두색, 하늘색으로 표시된다. * '''2022년''' * [[로롤로]]&[[히솔리디움]]: 1번째 웨이브. * [[모르델리움]]: 2번째 웨이브. * [[덴지(Creatures of Sonaria)|덴지]]: 3번째 웨이브. * '''2023년''' * [[누시프라코쿠]]: 1번째 웨이브. * [[스퀴티코]]: 2번째 웨이브. * [[에이기온 워든]]: 3번째 웨이브. * '''독립기념일 이벤트''' 7월에 진행하는 독립기념일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크리쳐. 미국의 독립기념일과 관련된 크리쳐들이 주로 나오며, 1년 주기로 이벤트가 돌아온다. 독립기념일 이벤트 크리쳐는 대기실에서 [[성조기|흰색, 빨간색,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 [[지에티]]: 1번째 웨이브. * '''로테이션 상점 크리처''' 로테이션 상점에서 슘으로 확정 구매가 가능한 크리처. 3종류의 크리처들이 특정 시간 내에만 상점 목록에 올라가며 24시간이 지나면 크리처 목록이 다시 갱신되는데 그 선정 기준이 완전 무작위이기 때문에 일단 한정 크리처로 분류된다. 대기실에서 분홍색, 보라색, 남색으로 표시된다. * '''기존 크리처''': 일반 뽑기, 탐험가 뽑기, 기간 뽑기 등에 있다가 로테이션 상점으로 옮겨진 크리처들이다. * '''흔함(Common) 등급 - 1,500슘''' * [[루어(Creatures of Sonaria)|루어]] * '''흔치 않음(Uncommon) 등급 - 3,500슘''' * [[루스아다크]] * '''희귀함(Rare) 등급 - 7,500슘''' * [[사나아타]] * '''에픽(Epic) 등급 - 11,500슘''' * [[소쿠린]] * '''상점 한정 크리처''': 오직 로테이션 상점에서만 얻을 수 있다. * '''흔함(Common) 등급 - 1,500슘''' * [[그리빌라]] * [[마이웨브]] * [[엑소타이드]] * [[콜발]] * [[타라코투]] * [[테이누크]] * '''흔치 않음(Uncommon) 등급 - 3,500슘''' * [[고르고니쿠스]] * [[놀루모스]] * [[둔클레스터스]] * [[레보네]] * [[비리덱스]] * '''희귀함(Rare) 등급 - 7,500슘''' * [[보렌히르]] * [[아라키유]] * [[에퀴닉스]] * [[코이니]] * [[플라이어리스]] * [[헤이소테리]] * '''에픽(Epic) 등급 - 11,500슘''' * [[무라빌]] * [[럭세스]] * [[벨디스]] * [[볼누아브]] * [[이벳치]] * [[토르니르]] * '''전설적(Legendary) 등급 - 15,000슘''' * [[로롤라엘]] * [[파라헥실리안]] * [[페이시디건]] === 워든(Warden) === 개발자 말에 따르면 '''유저가 플레이 가능한 보스'''인 크리처. 획득하기 어려우며 '''워든의 분노'''라는 특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대기실에서는 파란색으로 표시 되지만, 워든 크리쳐들은 자신이 나온 이벤트의 색에 맞춰 표시된다. 워든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 머리 위에 부유하는 머리 장식이 있다. * 동일 티어 크리처에 비해 큰 크기, 높은 체력과 무게, 낮은 공격력을 보유하고 있다. * 속성 브레스의 피해를 10%만 받는다. * 특수 능력인 워든의 분노를 가지고 있다. 이 능력은 체력이 줄어들수록 공격력이 늘어나는 능력으로, 체력이 절반일때 최대치인 7배까지 늘어난다. * 획득하기 어렵다. 헬리온 워든을 제외하면 모두 특정 이벤트 기간에만 얻을 수 있었으며 보리얼 워든은 1일, 아더 워든은 4일 동안만 판매되었다. * 설정상 또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워든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보리얼 워든]]: 크리스마스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아더 워든]]: 발렌타인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버던트 워든]]: 부활절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헬리온 워든]]: 275시간 뽑기에서 획득 가능. 유일하게 이벤트와 관련이 없는 워든이다. * [[가라 워든]]: 할로윈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노부스 워든]]: LSS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엔젤릭 워든]]: LSS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에이기온 워든]]: 서머 파라다이스 이벤트 기간 동안 획득 가능. == 목록 == *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1티어|1티어]]''' *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2티어|2티어]]''' *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3티어|3티어]]''' *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4티어|4티어]]''' *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5티어|5티어]]''' == 크리처 합계 == ||<-7> {{{#fff {{{+1 🍽️ '''식성별 분류'''}}}}}} || || - || '''1티어''' || '''2티어''' || '''3티어''' || '''4티어''' || '''5티어''' || '''합계''' || || '''{{{#FF0000 육식}}}''' || 3 || 19 || 28 || 38 || 18 || '''106''' || || '''{{{#FF0000 광육식}}}''' || 0 || 3 || 3 || 3 || 3 || '''12''' || || '''{{{#00bf00 초식}}}''' || 13 || 17 || 27 || 15 || 9 || '''81''' || || '''{{{#00bf00 광섭식}}}''' || 3 || 1 || 2 || 2 || 2 || '''10''' || || '''{{{#828888 잡식}}}''' || 9 || 15 || 16 || 17 || 8 || '''65''' || || '''{{{#white 합계}}}''' || '''28''' || '''55''' || '''76''' || '''74''' || '''39''' || - || ||<-8> {{{#fff {{{+1 🏃‍♂️ '''기동 유형별 분류'''}}}}}} || ||<-2> - || '''1티어''' || '''2티어''' || '''3티어''' || '''4티어''' || '''5티어''' || '''합계''' || ||<|4> '''육지''' || '''육생''' || 9 || 30 || 41 || 36 || 21 || '''137''' || || '''반수생''' || 6 || 8 || 7 || 8 || 6 || '''35''' || || '''활공''' || 5 || 1 || 2 || 1 || 0 || '''9''' || || '''활공 반수생''' || 1 || 3 || 3 || 0 || 0 || '''7''' || || '''바다''' || '''수생''' || 1 || 2 || 6 || 5 || 3 || '''17''' || ||<|2> '''하늘''' || '''비행''' || 6 || 8 || 16 || 18 || 7 || '''55''' || || '''전지형''' || 0 || 3 || 1 || 6 || 2 || '''12''' || ||<-2> '''합계''' || '''28''' || '''55''' || '''76''' || '''74''' || '''39''' || - || == 미출시 & 리디자인 예정 == 추후 게임에 추가되거나 이미 출시되었지만 디자인이 새롭게 변경될 예정인 크리처. 미출시 크리처들은 콘셉트 아트가 채택되었으나 아직 3D로 구현되지 않았거나, 전부 완성되었지만 특정 이벤트 기간을 기다려 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 커뮤니티에서 유저들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오기 때문에 제작이 예정된 크리처가 상당히 많다. 다만 개발 도중 [[Creatures of Sonaria/삭제 및 취소 콘텐츠#크리처|출시가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크리처의 리디자인이 정해지는 사유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출시된 지 오래되어 3D 모델이나 디자인 자체가 구식이거나 세계관 분위기에 맞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진행된다. 미출시 크리처들도 출시 이전에 몇 번씩 리디자인되는 경우가 있다. * '''미출시 크리처'''. * [[https://creatures-of-sonaria-official.fandom.com/wiki/Avrokan|Avrokan(아브로칸)]]: 항공기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 개발자 Rook의 개발자 크리처로 나올 예정이다. 현재 5티어 잡식 전지형 크리처로 계획되어 있다. * [[https://creatures-of-sonaria-official.fandom.com/wiki/Delmothin|Delmothin(델모틴)]]: 가오리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 물속을 헤엄치고 하늘을 날 수 있지만 육지에는 돌아다닐 수 없는 하늘 수생(Sky-Aquatic) 크리처로 나올 예정이었지만, 똑같이 하늘 수생 크리처로 나오려다가 코드 문제로 인해 전지형 크리처로 방향을 바꾼 [[오프랄리전]]의 사례가 있는 만큼 이쪽도 전지형 크리처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리코드 적용 후에서는 하늘 수생 크리쳐가 가능하기에 기대해볼 수 있다. * [[https://creatures-of-sonaria-official.fandom.com/wiki/Gohumok|Gohumok(고후모크)]]: 사족보행을 하는 크리처. 콘셉트 아트에 독성 브레스를 사용한다는 내용이 언급되는 것을 보면 출시 후 독성 브레스를 가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출시 전 리디자인이 예정되어 있다. * [[https://creatures-of-sonaria-official.fandom.com/wiki/Mazila|Mazila(마질라)]]: 다리가 여섯 개 달린 크리처. 콘셉트 아트에 마비 능력을 사용한다는 내용이 언급되는 것을 보면 출시 후 마비와 관련된 능력(방어형 마비 또는 광역 충격 등)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 '''리디자인 예정 크리처''' * [[니무나]] * [[드라고닉사우리아]] * [[르마코사우로돈]] * [[리비아톤]] * [[아라이노아]] * [[아르칼리움]] * [[아올레누스]] * [[칸타포디]] * [[코이피스]] * [[크라이소스]] * [[트레이보로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reatures of Sonaria, version=318)] [[분류: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