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기 다운 프로덕션]][[분류:1987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하드코어 힙합]][[분류:갱스터 랩]] ||<#000000><-5><:> {{{+2 {{{#FF0000 '''Criminal''' }}}}}} {{{+2 {{{#ffffff '''Minded''' }}}}}}|| ||<-5><:><#993333> [[파일:Criminal_Minded.jpg|width=100%]] || ||<-5><:><#000000> {{{#ffffff '''[[부기 다운 프로덕션]]의 [[앨범|스튜디오 앨범]]'''}}} || ||<:><#993333>'''{{{#ffffff 발매일}}}'''||<-4>1987년 3월 3일 || ||<:><#993333>'''{{{#ffffff 녹음}}}'''||<-4>1985년 ~ 1986년 || ||<:><#993333>'''{{{#ffffff 장르}}}'''||<-4>[[:분류:하드코어 힙합|하드코어 힙합]] • [[갱스터 랩]] || ||<:><#993333>'''{{{#ffffff 길이}}}'''||<-4>51분 43초 || ||<:><#993333>'''{{{#ffffff 레이블}}}'''||<-4>B-Boy || ||<:><#993333>'''{{{#ffffff 프로듀서}}}'''||<-4>Scott La Rock • [[KRS-One]] • Ced-Gee || ||<-5> '''{{{+1 [[부기 다운 프로덕션]] {{{#b2a529 역대 앨범}}}}}}''' || || - || {{{+1 →}}} || ''' ''Criminal Minded''[br](1987)''' || {{{+1 →}}} || ''[[By All Means Necessary]]'' (1988) || || '''"Criminal Minded"의 싱글 목록''' || ||1. "[[South Bronx]]" 발매일: 1986년 2. "[[The Bridge Is Over]]" 발매일: 1987년 3월 3일 3. "[[Super-Hoe]]" 발매일: 1987년|| [목차][clearfix] == 개요 == [[부기 다운 프로덕션]]의 데뷔 앨범. 1987년 3월 3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KRS-One]]이 소속되어 있던 그룹인 [[부기 다운 프로덕션|Boogie Down Production]]의 첫 앨범으로, 그룹의 주요 멤버였던 Scott La Rock이 참여한 유일한 앨범이다. == 평가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2002), 순위=75)]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2018), 순위=20)]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0대 힙합 명반, 순위=91)]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444,연도2=2020,순위2=239)]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62)] [[MC 샨]]을 디스하는 트랙 ‘The Bridge Is Over’[* 이후 이 곡의 비트는 [[MC 렌]]의 명곡 Final Frontier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에게 퀸스가 아닌 사우스 브롱스가 힙합의 근원지라고 밝히는 ‘South Bronx’, [[AC/DC]]를 샘플링한 랩 록 트랙 ‘Dope Beat’, 부기 다운 프로덕션이 여러 번 시도한 랩과 레게의 접목을 보여준 ‘The P Is Free Remix’, 그리고 아이코닉한 트랙 ‘Criminal Minded’ 등의 명곡들이 수록된 이 앨범은 에릭 비 & [[라킴]]의 [[Paid in Full]]과 함께 1987년 최고의 랩 앨범으로 평가받을 뿐만 아니라, 골든 에라를 대표하는 앨범들 중 하나로도 평가받으며 후배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갱스터 랩의 초기 앨범들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평론가들에게도 대호평을 받았는데, 당시 권위있던 음악 잡지 소스에서 만점을 받기도 하였으며, 그 외의 잡지들에서도 만점 혹은 그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었다. 또한 롤링 스톤 선정 명반 500 등의 리스트에도 드는 등 힙합의 클래식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트랙 리스트 == ||<:>트랙||<:>곡명||<:>송라이터||<:>프로듀서||<:>길이|| ||<:>1||"Poetry"||<:>[[KRS-One|Lawrence Kris Parker]] • Scott LaRock||<:>Ced Gee • DJ Scott La Rock • [[KRS-One]]||<:>5:01|| ||<:>2||"[[South Bronx]]"[* 1995년에는 [[다 브랫]]이 피처링으로 참여한 Total의 [[No One Else(Total)|No One Else]]와 폭시 브라운, [[릴 킴]], [[다 브랫]]이 피처링으로 참여한 Total의 [[No One Else(Total)|No One Else (Puff Daddy Remix)]]에 샘플링되었다.][* 2002년에는 [[제이다키스]]와 스타일스 P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제니퍼 로페즈]]의 노래 [[Jenny from the Block]]에 샘플링되었다.]||<:>[[KRS-One|L. Parker]] • S. LaRock||<:>DJ Scott La Rock • [[KRS-One]] • Partner Lee Smith||<:>5:10|| ||<:>3||"9mm Goes Bang"||<:>[[KRS-One|L. Parker]] • S. LaRock||<:>DJ Scott La Rock • [[KRS-One]] • Partner Lee Smith||<:>4:18|| ||<:>4||"Word from Our Sponsor"||<:>[[KRS-One|L. Parker]] • S. LaRock||<:>Ced Gee • DJ Scott La Rock • [[KRS-One]] • Partner Lee Smith||<:>3:52|| ||<:>5||"Elementary"||<:>[[KRS-One|L. Parker]] • S. LaRock||<:>DJ Scott La Rock • [[KRS-One]]||<:>4:07|| ||<:>6||"Dope Beat"||<:>[[KRS-One|L. Parker]] • S. LaRock||<:>Ced Gee • DJ Scott La Rock • [[KRS-One]] • Partner Lee Smith||<:>5:12|| ||<:>7||"Remix for P Is Free"[* Tony! Toni! Toné!의 [[If I Had No Loot]]에 샘플링되었다.]||<:>[[KRS-One|L. Parker]] • S. LaRock||<:>Ced Gee • DJ Scott La Rock • [[KRS-One]]||<:>4:20|| ||<:>8||"[[The Bridge Is Over]]"||<:>[[KRS-One|L. Parker]] • S. LaRock||<:>Ced Gee • DJ Scott La Rock • [[KRS-One]] • Partner Lee Smith||<:>3:25|| ||<:>9||"Super-Hoe"||<:>[[KRS-One|L. Parker]] • S. LaRock||<:>Ced Gee • DJ Scott La Rock • [[KRS-One]]||<:>5:30|| ||<:>10||"Criminal Minded"||<:>[[KRS-One|L. Parker]] • S. LaRock||<:>DJ Scott La Rock • [[KRS-One]]||<:>5:17|| ||<:>11||"Scott LaRock Mega-Mix"||<:>S. LaRock||<:>DJ Scott La Rock||<:>6:49|| == 차트 성적 == 빌보드 탑 블랙 앨범 차트에서 73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