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RK: Survival Evolved]][[분류:MOD]] [include(틀:ARK: Survival Evolved/모드)]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e829e, #740306)" [[파일:CIDA.png|height=110]] '''{{{#a7b7e6 크리스탈 아일}}}''' '''{{{+1 {{{#a7b7e6 다이노 에디션}}} }}}'''}}} || ||||<#000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od_Crystal_Isles_Dino_Collection.jpg|height=450]]}}} || ||<#000000><:> '''{{{#a7b7e6 제작자}}}''' ||<#ffffff>[[https://twitter.com/iSpeZz|iSPEZZ]][* [[크리스탈 아일]] 제작자와 동일.] || ||<#000000><:> '''{{{#a7b7e6 업로드}}}''' ||<#ffffff>2020년 6월 20일 || ||<#000000><:> '''{{{#a7b7e6 링크}}}''' ||<#ffffff>[[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2135314513|스팀 창작마당]] || ||<#ffffff> [[파일:ARK-_Crystal_Isles.png|width=300]] ||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e829e, #740306)" {{{+1 {{{#ffffff '''ARK:'''}}} {{{#a7b7e6 '''CRYSTAL ISLES'''}}}}}}}}} || ||<#ffffff> [[ARK: Crystal Isles|{{{#000000 DLC 문서}}}]] |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Crystal Isles|{{{#000000 추가 생물종}}}]] | [[ARK: Crystal Isles/지역 정보|{{{#000000 지역 정보}}}]] | [[ARK: Crystal Isles/모드 당시 생물|{{{#000000 모드 당시 생물}}}]][br][[Crystal Isles Dino Addition|{{{#000000 컨텐츠 복원 및 추가모드 (CIDA)}}}]] || [목차] == 개요 == 게임 [[ARK: Survival Evolved]]의 생물 추가 모드이다. 발게로 생물 추가모드처럼 [[ARK: Crystal Isles/모드 당시 생물|공식 DLC에서 잘린 생물들]]을 복원시키는 모드로 시작되었으며, 후에 추가 업데이트를 하면서 원래 맵 모드와는 관계없던 새로운 생물들도 대거 추가된 상태이기에 모드의 제목도 Collection이 아닌 Addition으로 변경되었다. 사실상 크리스탈 아일을 컨셉으로 한 대형 생물종 추가모드라고 봐도 무방하다. 크리스탈을 이용할 수 있는 크리스탈 크래프터라는 구조물이 추가되며, 크리스탈 생물이나 액화 생물들이 모두 해당 구조물에서 만드는 특수 아이템으로만 조련되기에 해당 모드 컨텐츠의 필수 구조물이다. 모드의 개발자는 iSPEZZ로, [[ARK: Crystal Isles|크리스탈 아일]] 모드의 개발자이다. == 추가되는 생물 == 스티기몰로크나 웰핑, 운카 등의 오리지널 생물이 아니라면 성능 자체는 모두 원종과 똑같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물론 선호하는 먹이 쪽에서 덤불 가시나 크리스탈 종류 등에서 차이가 나며, 기존 종을 돌려 쓴 아종 같은 경우에도 크리스탈 데이노니쿠스 같은 경우 원종과 다른 조련 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전부 같지는 않다. 해당 모드가 나온 초기에는 기존 크리스탈 아일 모드에서 잘린 컨텐츠만 복구시킨 형태의 모드였었지만 크리스탈 운카나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 [[Atlas|다른 게임]]에서 가져온 레이저투스나 실드혼 등 각종 오리지널 요소가 추가되어서 복구 모드라기보단 컨텐츠 보강 및 추가 쪽에 가까워졌다. === 크리스탈 생물 === 기존 맵 모드에 있었던 크리스탈 생물들. 몇몇 생물을 제외하면 주로 그렇게 튀지 않는 색상으로 스폰되었던 원종에 비해 매우 강렬한 계통의 색상을 가지고 스폰되며, 대체로 해당 계통의 색들만 배정되어 있어 대부분 전체적으로 색이 다 거기서 거기다. 다만 지정되어 섞이는 색은 일관적이더라도 색 자체가 워낙 고채도의 색이기에 보는 맛이 존재한다. 또한 [[크리스탈 와이번]]과 같이 몸 이곳저곳에 크리스탈이 박혀있는 것이 특징. 별개로 스탯 자체의 변경점 불명이나, 크리스탈 안킬로사우루스의 경우처럼 체력 부분에서 상향되었기에 체력이 더 높거나, 혹은 체력만 조정되지 않았던 케이스의 [[크리스탈 와이번]]처럼 종마다 변경점이 다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공통적으로 조련 시 같이 추가된 크리스탈류 아이템들을 요구한다. 프라임 크리스탈을 가장 선호하며, 이후 들어가는 재료의 갯수가 적어지는 순으로 효율이 낮아져 거친 크리스탈을 제일 선호하지 않는다. * '''디 아일랜드 생물''' * 크리스탈 안킬로사우루스(Crystal Ankylosauru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 안킬로.jpg|width=300]]}}} || ||<#82a7ff> {{{#00ffff 크리스탈 안킬로사우루스}}} || 주로 푸른색 ~ 하늘색 계통의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원종에 비해 기본 체력과 야생 개체의 레벨 대비 체력 상승량이 상승되었다. 기존 안킬로의 체력은 700에 상승량은 140이나, 크리스탈 안킬로 같은 경우는 기본 체력 900에 상승량이 180으로 더 높다. 다만 안킬로의 핵심인 채집 비율 같은 경우 공격력 자체는 같은 50이다. * 크리스탈 아르젠타비스(Crystal Argent) * 크리스탈 매머드(Crystal Mammoth)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매머드.jpg|width=300]]}}} || ||<#0e0974> {{{#a6ffff 크리스탈 매머드}}} || * 크리스탈 수달(Crystal Otter)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수달.jpg|width=300]]}}} || ||<#ffffff> {{{#f79da5 크리스탈 수달}}} || * 크리스탈 척추 수달 * 크리스탈 왕관 수달 * 크리스탈 파라케라테리움(Crystal Paracer)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 파라케.png|width=300]]}}} || ||<#ffa75b> {{{#ffffff 크리스탈 파라케라테리움}}} || * 크리스탈 도에디쿠루스(Crystal Doedicurus) * 크리스탈 테리지노사우루스(Crystal Therizinosaur) * '''스코치드 어스 생물''' * 크리스탈 [[바위 정령|사막 정령]](Crystal Desert Elemental) * 크리스탈 나방(Crystal Moth) * '''라그나로크 생물''' * 크리스탈 그리핀(Crystal Griffin)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크크리스탈그리핀.jpg|width=300]]}}} || ||<#e3b8ff> {{{#922bf4 크리스탈 그리핀}}} || [[ARK: Crystal Isles/모드 당시 생물|기존 맵 모드에 있었다가 잘려나간 생물]]로, 보라색과 연보라색, 흰색 계통의 색상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보면 상당히 예쁜 것이 특징. 스탯 자체는 맵 모드 시절에는 변경사항이 없기는 하나 현재 모드 기준으로는 불명. * '''에버레이션 생물''' * 크리스탈 바실리스크(Crystal Basilisk) * 크리스탈 [[락 드레이크|드레이크]](Crystal Drak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 드레이크.jpg|width=300]]}}} || ||<#cf3e10> {{{#fff08e 크리스탈 드레이크}}} || * '''익스팅션 생물''' * 크리스탈 눈올빼미(Crystal Snow Owl)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 눈올.jpg|width=300]]}}} || ||<#0e0974> {{{#a6ffff 크리스탈 눈올빼미}}} || * '''발게로 생물''' * 크리스탈 데이노니쿠스(Crystal Deinonychu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 데이노.jpg|width=300]]}}} || ||<#e3e3e3> {{{#f60500 크리스탈 데이노니쿠스}}} || [[크리스탈 와이번|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과 비슷하게 무채색 계열이나 붉은색 계통을 가지고 있으며, 둥지에서 알을 훔쳐 육아를 해야 조련되었던 원종과 다르게 기절 조련이기에 원종 대비 조련 자체는 매우 간단하게 된 것이 특징. 또한 원종과 안장이 호환되는 다른 생물과 다르게 유일하게 별개의 안장을 사용하는지라 굳이 따로 엔그램을 배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현재 치명적인 버그가 있는데 야생 개체 중 일부가 가까이 가면 증발한다. * '''제네시스: 파트 1 생물''' * 크리스탈 [[마그마사우루스]](Crystal Magmasaur)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리스탈 마그마.jpg|width=300]]}}} || ||<#64120b> {{{#fae301 크리스탈 마그마사우루스}}} || 원작과는 다르게 평범한 기절 테이밍이다. 유의할 점은 크리스탈 생물 중에서 마비수치가 가장 빠르게 떨어지기 때문에[* '''기가노토사우르스보다도 더 빠르게 떨어진다.'''] 서버 배율에 상관 없이 많은 양의 생채 독소나 마비약을 준비해야 한다. * 크리스탈 메가셸론(Crystal Megachelon)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탈 메셸.jpg|width=300]]}}} || ||<#487f9e> {{{#4aebf3 크리스탈 메가셸론}}} || * '''오리지널 생물''' * 크리스탈 스티기몰로크(Crystal Stygimoloch) * 크리스탈 웰핑(Crystal Whelping) * 크리스탈 운카(Crystal Unka) ==== 크리스탈 [[스티기몰로크]] (Crystal Stigymoloch) ==== ==== 크리스탈 [[새끼 드래곤|웰핑]] (Crystal Whelping) ==== |||||||||||||| '''{{{+1 {{{#a7b7e6 크리스탈 웰핑}}}}}}''' '''{{{#a7b7e6 Crystal Whelping}}}''' |||||||||||||| ||<|2>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width=80px]] ||<:><|2> {{{#a7b7e6 '''조련 여부'''}}} ||<:> 평화 조련 ||<:><|2> {{{#a7b7e6 '''휴대 여부'''}}} ||<:><|2> '''안장 불필요''' ||<:><|2> {{{#a7b7e6 '''수상 전투'''}}} ||<:><|2> 어깨 위 || || 프라임 크리스탈 || ||<|2><:><-2> {{{#a7b7e6 '''능력치'''}}} ||<|2><:><-2> {{{#a7b7e6 '''기본 능력치'''}}} ||<:><-3> {{{#a7b7e6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250 || || ||<#ff9494>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150 ||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900 ||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50 ||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 || ||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100 || || || || |||||||||||||| {{{#!folding 【 소환 명령어 】 '''크리스탈 운카'''[br]admincheat SpawnDino "Blueprint'/Game/Mods/CI_Dinos/Crystal_Dragons/Crystal_Whelp_BP.Crystal_Whelp_BP'" 500 0 0 1}}} |||||||||||||| 작은 새끼 용으로, 조련 시 좌측 상단에 하트가 뜨나 자세한 효과는 불명.[* 이 하트의 색은 웰핑의 눈 색에 따라 달라진다.] 쓰다듬으면 눈의 색과 하트의 색이 달라진다. ==== 크리스탈 운카 (Crystal Unka)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리스탈 운카 이미지.png|width=600]]}}}|| ||<#dddddd> 인게임 스크린샷 || |||||||||||||| '''{{{+1 {{{#a7b7e6 크리스탈 운카}}}}}}''' '''{{{#a7b7e6 Crystal Unka}}}''' |||||||||||||| ||<|2>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width=80px]] ||<:><|2> {{{#a7b7e6 '''조련 여부'''}}} ||<:> 기절 조련 ||<:><|2> {{{#a7b7e6 '''탑승 여부'''}}} ||<:><|2> '''안장 불필요''' ||<:><|2> {{{#a7b7e6 '''수상 전투'''}}} ||<:><|2> 불가능 || || 프라임 크리스탈 || ||<|2><:><-2> {{{#a7b7e6 '''능력치'''}}} ||<|2><:><-2> {{{#a7b7e6 '''기본 능력치'''}}} ||<:><-3> {{{#a7b7e6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3725 || || ||<#ff9494> -1050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275 ||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300 ||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400 ||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24[*브레스 화염 브레스 데미지] || || ||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725 || || || || |||||||||||||| {{{#!folding 【 소환 명령어 】 '''크리스탈 운카'''[br]cheat spawndino "/Game/Mods/CI_Dinos/Crystal_Dragons/Crystal_Unka_BP.Crystal_Unka_BP" 500 0 0 1}}} |||||||||||||| 무료배포 드래곤 모델인 [[https://youtu.be/upI4zo4IQSk|운카 더 드래곤(Unka the Dragon)]]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생물이다. 때문에 액화나 크리스탈 아종과 같이 기존 아크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생물들과 다르게 이질감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 [[크리스탈 아일]] 기준 남쪽 사막에서 대거 스폰되는 것이 특징으로, 테크 생물처럼 20% 더 높은 만렙 한도를 가지고 있다. 모습은 원 모델 명이 그렇듯 일반적으로 [[드래곤]] 하면 생각되는 그 모습을 하고 있으며, [[크리스탈 와이번]]에 비해서 비교적 작은데다 날개가 빛이 나고 수가 워낙 많기에 찾기는 쉬운 편이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운카 공중기동.gif|height=250]]}}} || ||<#dddddd> '''질주 전환 / 기본 전환 시 기동''' || 상당히 빠른 이속을 가지고 있는 생물로, 일받 걷기와 질주 상태를 서로 바꿀 때 날고 있는 상태라면 공중제비를 돈다. 통상 → 질주 변환 시에는 '''전진 기동'''을 하며, 질주 → 통상 변환 시에는 '''후진 기동'''을 한다. 또한 통상 → 질주 변환 시에 전진 키를 누르고 있다면 추가적으로 누른 만큼 이동을 해 이동기로 제법 쓸만한 속도가 나온다. 특이하게도 공중에서 후진이 가능해 후진 속도가 독보적으로 빠른 것 역시 특징이었으나, 이후 패치로 인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공중에서 아무리 후진 키를 눌러도 작동이 되지 않는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운카 그리핀 크기비교.png|height=200]]}}} || ||<#dddddd> '''그리핀과의 크기 비교''' || 이러한 빠른 속도와 기동성이 조련 시에 상당히 골때리는 점으로 작용한다. 그리핀이랑 덩치가 비슷해 공룡 게이트를 통과할 수 있지만 어그로가 끌리면 독보적인 속도로 주변을 날아다니며 불을 뿜는데다 특유의 넓은 선회각으로 인해 공룡게이트를 이용한 함정에 가두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리핀을 타고 고등급 장총을 쏘며 카이팅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먹이는 해당 모드에서 추가되는 특수한 크리스탈[* 크리스탈 크래프터로 제작되는 그것이다.] 종류들 뿐이며, 그중에서도 보라색의 프라임 크리스탈을 가장 선호하기에 조련 전에 미리 만들어두고 가야한다. 조련한 뒤에는 다른 육식 생물들처럼 고기를 먹는다. 스펙은 [[렉스(ARK: Survival Evolved)|렉스]]나 [[와이번(ARK: Survival Evolved)|와이번]]을 섞어놓은 정도로, 공격 방식은 물기와 염증 상태이상을 붙이는 브레스가 존재하며, 브레스의 경우 [[와이번(ARK: Survival Evolved)|화염 와이번]]에 비해 뿜는 시간이 길다. 땅에도 불타는 이펙트가 남아있긴 하나 해당 이펙트는 단순히 이펙트로, 따로 남아서 염증을 건다던가 딜을 준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엔트리 아이콘은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와 같다. 다만 액화 인렉스와 다르게 성별이 존재하며, 교배 역시 가능하기에 Dino Storage v2 등 성별이 표시되는 모드라면 구분하기는 쉬우나, 크라이오포드 등에서는 언뜻 아이콘만 봐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 엠버 생물 === 불이 타는 듯한 효과와 함께 기존 [[ARK: Scorched Earth|스코치드 어스]]의 불새와 유사한 느낌과 색상을 가진 색상을 가지고 있다. 원래 맵 모드 상에서는 [[크리스탈 와이번|엠버 크리스탈 와이번]][* '크리스탈 와이번' 인 만큼 크리스탈 생물에도 포함된다.]과 순수하게 엠버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 그랜드 엠버트로스(Grand Embertross) 정도 뿐이었으나, 모드가 확장되면서 몇 종류가 더 늘어났다. 조련 시 먹는 먹이는 크리스탈 생물들과 같이 크리스탈류 아이템을 먹으나, 기존의 생물들이 선호하던 일반 음식들도 먹는다. * 그랜드 엠버트로스(Grand Embertross) * 엠버 유티라누스(Ember Yutyrannus) * 엠버 페가수스(Ember Pegasus) ==== 엠버 페가수스 (Ember Pegasus) ==== === 액화 생물 === ||
<-4><#282d5b> '''{{{#5de2ff CIDA의 액화 생물}}}''' || ||<-4> '''{{{#ffffff 공룡 및 조류}}}''' || ||<#ffffff> 액화 브론토 ||<#ffffff> 액화 기가노토사우루스 ||<#ffffff> 액화 랩터 ||<#ffffff> 액화 렉스 || ||<#ffffff> 액화 스테고 ||<#ffffff> 액화 트리케 ||<#ffffff>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 ||<#ffffff> 액화 원소 구체 || ||<-4> '''{{{#ffffff 포유류 및 와이번 }}}''' || || 액화 캥거루 쥐 || 액화 와이번 || 액화 알파 와이번 || 액화 그리핀 || 뼈 스킨의 재탕으로, 뼈를 제외한 몸이 푸르고 반투명한 액체로 구성되어 있다. 잘 보면 뼈 역시도 몸체보다 진할 뿐 짙은 액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같다. 액체의 성분은 드랍템에 원소 파편이 있는 것과 생물 중 액화 '''원소 구체'''가 있는 것을 보면 사실상 [[원소(아크 시리즈)|액화 원소]]인 것이 확정이다. 공통 시 조련이 가능하며 가장 선호하는 먹이는 덤불 가시. 당연히 외형에서도 보이듯 짝짓기는 불가능하며, 원종이 존재하는 생물의 스펙은 원종과 같다. ==== 액화 [[원소(아크 시리즈)|원소 구체]] (Liquefied Element Orb) ==== 엘드리치 섬의 환경 요소로 있는 원소 구체를 줄여놓은 것 같이 생긴 생물. ====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 (Liquefied Indominus Re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액화 인렉스.png|width=100%]]}}}|| ||<#dddddd> 인게임 스크린샷 || |||||||||||||| '''{{{+1 {{{#5de2ff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 '''{{{#5de2ff Liquefied Indominus Rex}}}''' |||||||||||||| ||<|2>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width=80px]] ||<:><|2> {{{#5de2ff '''조련 여부'''}}} ||<:> 기절 조련 ||<:><|2> {{{#5de2ff '''탑승 여부'''}}} ||<:><|2> '''안장 필요'''[br](레벨 97) ||<:><|2> {{{#5de2ff '''수상 전투'''}}} ||<:><|2> 불가능 || || 덤불 가시 || ||<|2><:><-2> {{{#5de2ff '''능력치'''}}} ||<|2><:><-2> {{{#5de2ff '''기본 능력치'''}}} ||<:><-3> {{{#5de2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140000 → 30000 || || ||<#ff9494> '''-110000'''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800 ||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4000 ||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800 ||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880[*일반 통상 공격 데미지] / '''8800'''[*은신 은신 시 데미지] → 350[*일반 통상 공격 데미지] / '''3500'''[*은신 은신 시 데미지] || || ||<#ff9494> '''-80%'''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11000 || || || || ||<|2><:><-2> {{{#5de2ff '''기본 속도'''}}} ||<:><-2> {{{#5de2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5de2ff '''증가량'''}}} ||<|2><:> {{{#5de2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 '''지상''' ||<:> ||<:> ||<:> ||<|2><:> ||<|2><:> ||<|2><:> || |||||||||||||| {{{#5de2ff '''아종 여부'''}}} |||||||||||||| |||||||||||||| 존재하지 않음 |||||||||||||| |||||||||||||| {{{#!folding 【 소환 명령어 】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br]cheat spawndino "/Game/Mods/CI_Dinos/Dinos_Liquefied/Indom/Liq_Indom_BP.Liq_Indom_BP" 500 0 0 1 '''인도미누스 렉스 안장'''[br]cheat giveitem "/Game/Mods/CI_Dinos/_Saddles/PrimalItemArmor_Liq_IndomSaddle.PrimalItemArmor_Liq_IndomSaddle" 1 0 0 false }}} |||||||||||||| [[쥬라기 월드]]의 유명 혼종 공룡인 [[인도미누스 렉스]]가 액화 생물이 된 생물. 액화 기가노토사우루스와 닮았으나 두상과 엔트리 아이콘이 다르며, '''훨씬 더 강한''' 근접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크리스탈 아일]] 기준으로 여타 액화 생물이 그렇듯 북동쪽 엘드리치 섬에 한해서 스폰된다. 야생 개체는 기가노토 급의 필드 보스 수준으로, 순수 근접 데미지로만 따지면 500인 기가노토보다 훨씬 높은 '''880'''이다. 또한 은신 특수능력을 통해 데미지가 10배 가량 높아지며, 야생 개체도 은신 능력을 적극적으로 쓴다. 은신 능력이 매우 뛰어나며, 투명도 역시 [[락 드레이크]]나 [[섀도메인]]보다 훨씬 투명하고 구분이 힘들다. [[락 드레이크]]는 약간 푸른 테두리가 보였고 [[섀도메인]] 역시 발자국이 보여 위에 있으면 알 수 있으나 액화 인도미누스 렉스는 그런 것이 전무하며, 투명도 역시 이들보다 더 투명하다. 사실상 약간 풍경이 왜곡되는 것으로만 찾아야 하는데 모델링에 따른 왜곡만으로는 초근접상태가 아닌 이상 보기 힘들며, 대개 왜곡이 보일 정도로 가까이 왔다면 십중팔구 인도미누스 렉스의 공격범위 안이기에 순식간에 비명횡사한다. 또한 보이지 않는 것도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은신 상태 특유의 대미지 증가로, 은신 상태의 대미지는 10배인 '''8800'''이라는 무지막지한 수치이다. 사실상 대미지로만 따지면 기가노토가 아닌 어지간한 알파 난이도의 보스와 싸운다고 생각해야 한다. 즉, 언제 날아올 지도 모르는 알파 보스를 상회하는 데미지를 생각하며 기절을 시켜야 하는 셈이며, 엘드리치 섬 자체로도 선공 생물들과 액화 원소 구체가 떠다니는 상황이며, 액화 인렉스 자체 속도 역시 빠른 편이기에 사실상 맨발로는 불가능에 가깝다. 마비수치 역시 고레벨로 갈수록 어이없을 수준으로 높아 한참을 쏴야 기절하기에 기가노토처럼 철제 공룡문으로 가둬놓고 하는 것이 속 편하다. 다만 가공할만한 강력함은 야생 개체일 때 한한 얘기로, 조련 상태로는 액화 인렉스의 기반이 된 [[기가노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기가노토]]와 비슷하게 능력치에 막대한 너프가 가해진다. 베이스 스탯 기준 체력은 무려 '''11만'''이나 깎여 나가고, 근접공격력 역시 880에서 350이 되는데 이마저도 저레벨의 경우에는 퍼센티지까지 낮춰져[* 1레벨에 효율 100% 기준 '''20%'''로 줄어들어 실 데미지는 '''70'''밖에 안된다.] 사실상 저레벨 개체는 은신을 켜야만 [[렉스(ARK: Survival Evolved)|렉스]] 같은 대형 수각류와 비슷한 공격력이 나와 결국 고레벨 개체를 잡는 것이 이득. 특수 능력은 '''은신'''으로, 상술했듯 데미지를 정확히 10배정도 올리기에 고레벨 개체가 은신을 쓴 상태로 딜을 넣을 시 수천 ~ 1만 정도의 가공할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비슷한 포지션인 기가노토사우루스가 근접공격력에 최소 100포인트 가량을 할애해야 비슷한 데미지가 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매우 강하다. 단점으로는 액화 생물 특성상 교배가 불가능해 교배와 돌연변이를 통한 능력치 상승은 기대할 수 없으며, 죽으면 새 생물을 조련해야 한다. 그래도 공룡 자체가 상당히 강력하기에 고레벨 개체를 제대로 잡아놨다면 기가노토 이상으로 꽤나 쓸만하다. === [[Atlas|아틀라스]] 기반 생물 === ==== 실드혼 (Shieldhorn) ==== ==== 레이저투스 (Razortooth) ==== == 추가되는 아이템 == === 구조물 === * '''크리스탈 크래프터''' ||<-2><#505050> {{{+1 {{{#ffffff '''크리스탈 크래프터'''}}}}}} {{{#ffffff '''Crystal Crafter'''}}} || ||<-2> [[파일:크탈 크래프터.png|width=100px]] || ||<-2> Place materials along with blueprints in this to create certain advanced forged items.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4 || ||<#dddddd> {{{#010101 '''중첩량'''}}} || 100 || ||<#dddddd> {{{#010101 '''내구도'''}}} || 1,500 || ||<#dddddd> {{{#010101 '''엔그램 습득 레벨'''}}} || 0레벨 (EP 필요하지 않음) || ||<#dddddd> {{{#010101 '''제작 경험치'''}}} || 25 XP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인벤토리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Metal_Ingot.png|width=25px]] 5 × 철 주괴 [[파일:앜돌.png|width=25px]] 50 × 돌 [[파일:아크목재.png|width=25px]] 30 × 목재 [[파일:아크 가죽.png|width=25px]] 20 × 가죽 [[파일:128px-Crystal.png|width=25px]] 250 × 크리스탈 }}} || 해당 모드에서 추가된 아이템들을 제작할 수 있는 장소다. 크리스탈 공룡들이나 액화 공룡을 길들이려면 특유의 먹이가 필요하기에 모드를 즐기려면 필수로 만들어야 할 구조물이다. === 소모품 === * '''덤불 가시''' ||<-2><#505050> {{{+1 {{{#ffffff '''덤불 가시'''}}}}}} {{{#ffffff '''Briar Thorn'''}}} || ||<-2> [[파일:가시덤불불.png|width=100px]] || ||<-2> A thick, sharp thorn that the liquefied creatures greatly enjoy.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0.1 || ||<#dddddd> {{{#010101 '''중첩량'''}}} || 20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크리스탈 크래프터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아크 케라틴.png|width=25px]] 124 × 케라틴, 키틴 혹은 껍데기 조각 [[파일:Cementing_Paste.png|width=25px]] 35 × 시멘트 풀 }}} || 모드 시절 [[크리스탈 아일]]에 있었던 자원으로, 액화 공룡을 조련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먹이이다. * '''크리스탈류''' 프라임 크리스탈을 제외하면 기존 모드 시절 [[크리스탈 아일]]에 있었던 자원들로, 공식 DLC가 될 때 최고등급의 프라이멀 크리스탈을 제외하면 모두 잘려나갔다. 크리스탈 공룡을 조련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먹이다. 또한 플레이어가 섭취 가능하며, 공통적으로 섭취 시 체력을 10 회복한다. 다만 아래에 크리스탈류가 이것저것 많은 것에 비해 실질적으로는 최고 등급의 프라임 크리스탈의 경우 그냥 거친 크리스탈 20개에 블루 젬과 시멘트풀 몇 개만 있으면 만들 수 있는데다, 블루젬과 시멘트풀 역시 현재의 아크 내에서는 그렇게 구하기가 어렵지 않은 자원이라 아래에 늘어놔져있는 크리스탈 종류를 전부 쓸 필요가 없다. 즉, 거친 크리스탈과 프라임 크리스탈만 생산하고 나머지 그 사이의 것들을 바로 건너뛸 수 있다는 것. 블루 젬이고 자시고 없는 초반에 크리스탈 생물들을 쓸 일이 생긴다고 해도 크리스탈과 시멘트풀을 많이 구해둔 뒤 바로 아랫등급인 정제된 크리스탈을 쓰면 되는지라 사이 등급이 애매해지긴 마찬가지다. * '''거친 크리스탈''' ||<-2><#505050> {{{+1 {{{#ffffff '''거친 크리스탈'''}}}}}} {{{#ffffff '''Rough Crystal'''}}} || ||<-2> [[파일:더러운크탈.png|width=100px]] || ||<-2> This crystal makes for a tasty treat for Crystal Dinos.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0.1 || ||<#dddddd> {{{#010101 '''중첩량'''}}} || 20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크리스탈 크래프터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128px-Crystal.png|width=25px]] 15 × 크리스탈 }}} || 모드에서 추가된 가장 낮은 등급의 크리스탈. 후술할 모든 크리스탈류의 기본 재료다. * '''깔끔한 크리스탈''' ||<-2><#505050> {{{+1 {{{#ffffff '''깔끔한 크리스탈'''}}}}}} {{{#ffffff '''Pure Crystal'''}}} || ||<-2> [[파일:퓨어크탈.png|width=100px]] || ||<-2> This crystal is pure and one of the treats to feed a Crystal Dinos.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0.1 || ||<#dddddd> {{{#010101 '''중첩량'''}}} || 20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크리스탈 크래프터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더러운크탈.png|width=25px]] 5 × 거친 크리스탈 [[파일:Cementing_Paste.png|width=25px]] 25 × 시멘트 풀 }}} || * '''처리된 크리스탈''' ||<-2><#505050> {{{+1 {{{#ffffff '''처리된 크리스탈'''}}}}}} {{{#ffffff '''Faceted Crystal'''}}} || ||<-2> [[파일:처리크탈.png|width=100px]] || ||<-2> This crystal has been polished naturally and is extra tastey to the Crystal Dinos.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0.1 || ||<#dddddd> {{{#010101 '''중첩량'''}}} || 20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크리스탈 크래프터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더러운크탈.png|width=25px]] 10 × 거친 크리스탈 [[파일:Cementing_Paste.png|width=25px]] 25 × 시멘트 풀 }}} || * '''정제된 크리스탈''' ||<-2><#505050> {{{+1 {{{#ffffff '''정제된 크리스탈'''}}}}}} {{{#ffffff '''Refined Crystal'''}}} || ||<-2> [[파일:정제크탈.png|width=100px]] || ||<-2> This crystal has been refined over time and can make a treat for the Crystal Dinos.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0.1 || ||<#dddddd> {{{#010101 '''중첩량'''}}} || 20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크리스탈 크래프터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더러운크탈.png|width=25px]] 15 × 거친 크리스탈 [[파일:Cementing_Paste.png|width=25px]] 25 × 시멘트 풀 }}} || * '''프라임 크리스탈''' ||<-2><#505050> {{{+1 {{{#ffffff '''프라임 크리스탈'''}}}}}} {{{#ffffff '''Prime Crystal'''}}} || ||<-2> [[파일:프라임크탈.png|width=100px]] || ||<-2> This crystal pulses with primal energy and is the Crystal Dinos favorite Food. || ||<-2><#505050> {{{#ffffff '''세부 정보'''}}} || ||<#dddddd> {{{#010101 '''무게'''}}} || 0.1 || ||<#dddddd> {{{#010101 '''중첩량'''}}} || 20 || ||<#dddddd> {{{#010101 '''제작 장소'''}}} || 크리스탈 크래프터 || ||<-2><#505050> {{{#ffffff '''요구 재료'''}}} || ||<-2> {{{#!folding [ 목록 ] [[파일:Blue_Gem_%28Aberration%29.png|width=25px]] 15 × 블루 젬 [[파일:더러운크탈.png|width=25px]] 20 × 거친 크리스탈 [[파일:Cementing_Paste.png|width=25px]] 25 × 시멘트 풀 }}} || 본 모드의 최고등급 크리스탈. 기존 프라이멀 크리스탈의 포지션으로 생긴 것도 유사하다. 크리스탈 생물들이 가장 선호하는 먹이이기도 하며, 새끼 크리스탈 생물들이 공통적으로 프라임 크리스탈만 먹기에 성장 배율이 높지 않다면 반드시 양산을 해둘 필요가 있다. * '''크리스탈 데이노니쿠스 알''' * '''크리스탈 드레이크 알''' * '''크리스탈 마그마사우루스 알''' * '''크리스탈 눈올빼미 알''' === 장비 === * '''크리스탈 데이노 안장''' * '''엠버트로스 안장''' * '''인도미누스 렉스 안장''' == ini 세팅 == ||<-4>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e829e, #740306)" '''{{{#a7b7e6 GameUserSettings.ini에서의 [CI_Settings] 하위 항목}}}''' }}} || ||<#dddddd> '''옵션''' ||<#dddddd> '''유형''' ||<#dddddd> '''기본 세팅''' ||<#dddddd> '''상세''' || ||CI_MagmaPreventMating || 논리 연산 || False ||크리스탈 [[마그마사우루스]]의 짝짓기를 가능/불가능하게 만든다. || ||CI_GriffinPreventMating || 논리 연산 || False ||크리스탈 그리핀의 짝짓기를 가능/불가능하게 만든다. || ||CI_DrakePreventMating || 논리 연산 || False ||크리스탈 [[락 드레이크|드레이크]]의 짝짓기를 가능/불가능하게 만든다. || ||CI_EmbertrossPreventMating || 논리 연산 || False ||그레이트 엠버트로스의 짝짓기를 가능/불가능하게 만든다. || ||CI_DeinoLimitAmount || 숫자 || 30 ||크리스탈 데이노니쿠스의 스폰률을 제한한다. || ||CI_EnableMapSpawner || 논리 연산 || True ||크리스탈 아일의 맵 스폰을 활성화/비활성화한다. || ||CI_Fearless || 논리 연산 || True ||크리스탈 생물의 최후의 저항(Last Stand) 버프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