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펜타비전 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던 [[디자이너]]. 본명은 정현예. [[EZ2DJ]]와 [[DJMAX 시리즈]]의 배경 디자이너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같은 디자이너인 [[Ache]]와는 친형제로 Ache가 형, D가 동생이다. 허나 갖가지 표절 행위와 [[영 좋지 못한]] 언행으로 인해 현재 평가가 바닥으로 추락해버린 형 [[Ache]]와는 반대로, [[갈모형제|현재까지도 리듬게이머들에게 본좌급 일러스트레이터이자 비주얼 제작자로써 평가되는 인물.]] 패턴제작자로 활동하는 [[D(EZ2AC)|D]]와는 다른 인물이다. == 상세 ==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것은 [[EZ2DJ 3rd TRAX ~Absolute Pitch~]]의 수록곡인 [[Black Market(EZ2AC)|Black Market]]의 BGA를 담당하면서부터. 당시 어딘가의 오피셜로 공개된 코멘트 중에 해당 BGA 제작했을 때 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이었다는 것이 알려졌는데, 완성도 높은 BGA 대비 어린 나이라는 점에서 비주얼 아티스트들 사이에서는 입소문이 생겼다. Black Market의 경우 이전부터 동인활동을 해오면서도 인정받았던 특유의 둥글둥글하면서도 날카로운 느낌이 혼합된 영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아, 뒤이어 다음 작품인 [[EZ2DJ 4th TRAX ~Over Mind~]]에서는 [[J.M.J]]. [[Tokyo 9 P.M]]의 배경을 담당했다. 이때까지는 D.L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엔씨소프트]]에 입사하여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리니지2]]의 초기 컨셉등을 다량 작업하였다. 주로 보스 몬스터 등을 많이 디자인하였는데 컨셉작업을 한 작품들중 잘 알려진 컨셉으로는 첫 번째 드래곤이었던 '안타라스' '바이움' '자켄' '아나킴' 등이다. UI 디자인에도 참여한 모양. 이후 군 입대 관계로 퇴사하였고 제대 후 펜타비전에 입사. [[DJMAX 시리즈]]에서는 [[Out Law]]의 BGA와 초기곡인 [[Say My Love]]의 타이틀 이미지를 제외하면 뚜렷한 활동이 없다가 군복무를 하였는데, 군복무 시기 중에 나온 [[DJMAX Portable]] 시리즈에 그가 작업한 작업물이 들어갔었다. [[BlythE]]의 BGA가 그것. 군 입대 전에 작업을 해놓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지만, 사실은 앞에서 언급한 Say My Love의 BGA로 사용하려던 것이 늦어져 BlythE에 채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작업물들은 군 입대 이후 소실되었다고 한다. 이후 [[고백, 꽃, 늑대]] 연작과 [[DARK ENVY]]의 실사 영상, 아이돌 뮤직비디오 풍의 [[First Kiss]] 등 다양한 형태의 아트웍을 제작했다. 특히 고꽃늑 BGA 제작기는 군복무 시기 중 각종 이면지를 긁어모아 만든 것이라고 전해졌는데, D의 장인정신적 면모가 게이머들에게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DJMAX TECHNIKA 2에서 [[Dual Strikers]]의 원화를 맡아 [[Landscape]]를 만든 [[KIMYS]]와 함께 본좌급으로 주가 상승중. TECHNIKA2때 완성된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박혀있었는데 2에선 공개되지않은 [[Emblem]]이 3로 넘어오면서 수록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콘티까지는 다른 디자이너들도 많이 하지만, BGA 감독까지 하는 경우는 (적어도 펜타비전 내에선) D가 거의 유일. 때문에 BlythE부터 Emblem까지 그의 작품을 보면 모두 음악과 잘 어우러진다. 특히 [[고백, 꽃, 늑대]] 연작, [[Dual Strikers]], [[Emblem]]은 싱크로가 수준급이라는 평. [[XLASHER]] 스태프 일람에는 '''영상감수'''담당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런 커리어는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상당히 시사하는 바가 큰데, EZ2DJ 3rd~4th 시절 이미지 시퀀스 위주로 아트웍을 제작하던 시스템에서 테크니카 이후 영상매체를 제작하는 시스템으로 넘어오는 과정을 완벽하게 적응한 몇 안되는 디자이너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상을 제작하는 일은 제작해야 하는 아트웍의 형태적 카테고리가 급격하게 넓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DJMAX TECHNIKA 수록곡들의 영상을 보면 기존의 셀애니메이션 중심의 아트웍뿐만 아니라 3D결합 애니메이션(ex: XLASHER, Fermion), 실사합성 애니메이션(처음만 힘들지), 컷편집 영상기반 특촬물(Dark Envy), 타이포그래피 영상(ex:내게로 와) 등으로 급격하게 다양해졌는데 이들 중 여러 분야의 제작에 두루두루 관여하고 감수[* XLASHER의 감수를 맡았다고만 알려져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보편적인 근무 방식을 생각하면 많은 영상 중 딱 XLASHER만 감수했다고 판단하는 건 무리가 있다.]했다는 점은 폭넓은 아트적 역량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지투 시절부터 3D 기반의 아트를 제작해온 아티스트이거나 그때 이미 프로듀서급이었던 인물을 제외하고 나면 거의 없다. [[Out Law : Reborn]]을 기점으로, DJMAX 시리즈에서 자진 하차, 지금은 [[S4리그]]로 작업장을 옮겼다. S4에 가서도 원화활동과 영상 감독을 하실 모양. 그런데.... [[DJMAX TECHNIKA 3]]에 있는 [[Raconteur]]의 미션팩 이미지를 그렸다. 하지만 원래 이곳에 쓰일 그림은 아니었지만 테크니카 3의 PD [[Xeronion]]과의 친분 때문에 이 곳에 사용되게 되었다고 한다.[* 블로그에 있는 내용이다.] 테크니카3 이후 펜타비전을 퇴사하였다. 이후 [[DJMAX RAY]]의 [[Ztar Trek_RE Edit]]의 아이캐치와 [[DJMAX TECHNIKA Q]] 신곡인 [[Love☆panic]]의 BGA에 외주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 [[넥슨]]에 입사하였고, [[넥스트플로어]]에서 근무했다가 2019년 12월에 [[네오위즈]]에 입사하였다가 2021년 퇴사하였다. == 참여작 == * [[EZ2DJ 시리즈]] * [[Black Market(EZ2AC)|Black Market]] * [[Tokyo 9 P.M]] * [[J.M.J]] * [[판타지 마스터즈]] * [[리니지2]] * [[DJMAX 시리즈]] * [[DJMAX 온라인]] * [[Out Law]] * [[DJMAX Portable]] * [[BlythE]] * [[메트로 프로젝트]] * [[고백,꽃,늑대]] * [[DARK ENVY]] * [[First Kiss(DJMAX)|First Kiss]] (원화, 애니메이션) * [[Get Down]] * [[SuperSonic(DJMAX)|SuperSonic]] (프로모션 비디오) * [[DJMAX TECHNIKA 2]] * [[Dual Strikers]] (2D) * [[BEE-U-TIFUL]] * [[Ray of Illuminati]] * [[DJMAX TECHNIKA 3]] * [[Emblem]] * [[DJMAX RAY]] * [[Ztar Trek_RE Edit]] * [[DJMAX TECHNIKA Q]] * [[Love☆panic]] * [[S4리그]] * [[마비노기]] * 플레비 퀘스트: 더 크루세이즈 * 스타폴 [[https://mobile.twitter.com/junghyunyei|트위터]]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디자이너]][[분류:198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