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어드벤처 게임]] 《[[Steins;Gate]]》에 등장하는 [[설정]]. 우연의 연속으로 [[미래 가제트]] 8호기, "'''전화 레인지(임시)'''"를 이용하여 과거로 메일을 송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뒤, 이 메일에 붙여진 이름. 원래 이름 후보로는... * "'''시간을 뛰어넘은 향수로의 여로(노스탤지어 드라이브)'''" / 명명자 : [[오카베 린타로]] - 외우기 어렵다는 이유로 기각[* 이 이름은 [[Steins;Gate 0]] [[트루 엔딩]]인 교차좌표의 스타더스트에서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D메일과는 다르게 용량 제한도 없으며 보낼 수 있는 시간도 제한이 없는 그야말로 완벽한 D메일 송신기. 약칭 ND메일. 이를 통해 보내진 것이 바로 크리스의 구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프롤로그에서 수신된 노이즈 영상이다.] * "'''소행(遡行)메일'''" / 명명자 : [[마키세 크리스]] - 마유리가 소행이 무슨 뜻인지 이해 못해서, 외우기 어려운건 피차일반이라는 이유로 기각[* 이에 마키세는 "그건 마유시가..."라고 말하다 입을 다물었다. 정황상 [[바보]]라라서 이해 못한다고 하려다 차마 그럴 순 없었던 모양.] * "'''[[시간을 달리는 소녀|시간을 달리는 메일]]'''" / 명명자 : [[하시다 이타루]] - 너무 있는 그대로의 이름이라 로망이 없다는 이유로 기각 * "'''[[백 투 더 퓨처 시리즈|백 투 더 메일]]'''" / 명명자 : [[시이나 마유리]] - 영화 드립은 이미 자신이 썼다는 다루의 태클 & 번역하면 의미가 이상하다는 이유로 기각 * "'''[[드로리안|드로리안]] 메일'''" / 명명자 : 하시다 이타루 - 앞서 마유리의 안건을 피드백했으나, 무슨 메일인지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로 기각 등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론 드로리안 메일을 줄여 '''D메일'''이 된 것이다.[* 소설판에서는 그냥 크리스가 그냥 Dimension mail 약자로 해! 라는 한마디로 끝. 디멘션은 차원이란 뜻이고, 우리의 선입견과 다르게 차원에는 시간 차원 역시 존재한다. 아무런이유도없이 그냥 D메일로 하자고 결정나버리는 경우도있다.] == 특징 == 사용법은 전화 레인지(임시)를 기동시키고, 레인지의 문을 열어 방전 현상을 일으킨다. 그리고 그 때 레인지에 연결된 휴대전화를 중개역으로 보내고 싶은 주소로 메일을 보내면 과거로 메일이 날아가는 것이다. 대략적인 개요는 아래와 같다. || '''D메일 개요''' || ||<(> * [[전자레인지|전자 레인지]]의 데우기 기능에서 개조 커맨드로 타이머 입력(역회전).[* 예를 들어 120초라고 하면 #120초가 맞지만, 역회전은 120#.] * 데우는 중에 전자 레인지의 덮개를 강제적으로 연다(타이밍→미확인).[* 이후 개량 과정에서 덮개가 열려도 작동하도록 개조한뒤 오카베가 덮개를 뜯어버린다.]|| || ↓[br]'''{{{#red 방전 현상 }}}'''[br]↓ || ||<(> * 방전 현상 중에 전화 레인지(임시)에 연결된 휴대폰 메일을 송신. * 방전 현상의 발생 조건은 있는가?(12시쯤에서~18시쯤까지?) * D메일로 보내지는 문자수→(반각 12문자 or 전각 6문자) x 3. * (그 이후의 문자는 닿지 못한 채 소실)[* 그러니까 영어로는 36문자까지 가능하며, 일본어로는 18문자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일본어 19문자나 37문자 이상의 문자는 소멸한다는 것이다. 다루의 말에 의하면 분할된 메일 하나당 대충 12byte 정도의 용량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본문 내용 앞에 발신자와 수신자 정보와 전송시간등을 담은 [[헤더|헤더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기 때문에 12바이트씩 세번이면 헤더 데이터도 다 전송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 전화 레인지(임시) 타이머에 입력한 문자에 의해 보낼 시간을 조정 가능. * 타이머의 1초 = 현실의 1시간 * 동시에, 전자 레인지에 넣어 놨던 물건은 [[젤리맨즈 리포트|젤리화]]한다..[* 원인은 전화레인지가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이 최소 12, 최대 36바이트 뿐이라 그 이상의 용량을 가진 물체는 블랙홀의 초중력에 노출되어 일그러지기 때문. 하지만 소금 같이 가루로 된 물질은 알갱이가 하나하나가 12바이트 미만으로 치기 때문에 젤리화되지 않았다. 즉, 이론 상으로는 전화레인지로 전송시킬 수 있는 물질의 수는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그게 딱 전화레인지에 들어갈만큼이여야 하고, 데이터로 환산했을 때 36바이트의 용량이어야 한다는 것.][* 애니에서 전자 레인지 덮개를 열어 방전현상이 일어났을때 안에있던 물건이 새까맣게 타버렸다.] * (순간이동도 확인)|| 상기 조건을 만족시켜 과거로 메일을 전송하는데 성공하면, 내용에 따라서 [[나비효과]]가 일어나 그 [[타임 패러독스]]를 수습하기 위해 [[어트랙터 필드]]의 수속이 일어나면서 간접적인 [[역사 개변]]이 가능하게 된다.[* 정확히는 내용 자체에 따라서라기보다는 해당 메일을 받은 사람이 그 메일의 내용에 따라 취하는 행동에 따라 달라진다. 무시하거나 무언가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큰 차이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세계선 변동은 일어나지 않거나 일어나더라도 지극히 작은 변동만 발생한다.] 작중에서 보낸 메일과 이로 인한 세계선 변동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차 실험 / [[오카베 린타로]] : 일주일 전의 자신에게 로또 6의 '''3등'''(...) 당첨번호[* 1등이 2억엔이라는 사실을 알자 자신은 기관에 쫒기는 몸이라 눈에 띄면 안된다는 이유로(사실은 쫄려서) 타협한 결과. 70만엔인 3등으로 결정했다. 속물이라고 까는 마유리를 설득할 때 한 말을 보면 100만엔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를 보냄[* 다만, 과거의 자신이 보고 혹할 만한 문구가 떠오르지 않아 휴대폰 문자를 보내는데 도가 튼 [[키류 모에카]]한테 대신 작성하게 했다.] → '''성공'''. 오카베는 처음 [[리딩 슈타이너|세계선 변동을 감지하였고]], 정신을 차렸을 때에는 복권 당첨번호를 보낸 역사가 없던 일이 되고 D메일의 과거 개입 실험을 하기 전으로 돌아와 있었다. 다만, 복권에는 당첨되지 않았는데, 일주일 전의 오카베가 D메일의 내용을 [[반신반의]]한건지 당첨번호를 [[루카]]한테 알려줬기 때문. 하지만 루카가 숫자 하나를 잘못 써서 3등도 당첨되지 못했다. * 2, 3차 실험 / [[하시다 이타루]] : 오카베는 세계선 변동 전의 일을 기억하는 이유가 'D메일을 수신받은 사람만 가능하다'는 가설을 증명하고자 이번엔 작은 사건을 바꾸기로 했다. 그래서 이번엔 다루가 [[페이리스 냥냥]]과의 카드게임 대회를 자신이 이겼던 역사로 바꾸고자 당시 페이리스의 카드배치를 보냈다. → '''실패'''. 애초에 카드게임에는 변수가 많다보니 D메일을 답안지 삼아 이길 수는 없었다.[* 다만, 이는 후에 밝혀지는 [[어트랙터 필드]]의 복선이 된다. 어트랙터 필드는 세계선이 변동될 정도가 아닌 미세한 변화로는 과정만 달라지고, 수렴된 결과대로 흘러가기 때문.] * 4차 실험 / [[시이나 마유리]] : 변수가 많은 사건은 바꾸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니 이번에는 1시간 전에 [[자판기]] 앞에서 무엇을 살지 10분 동안 고민했다는 마유리에게 '오뎅 캔을 사라'는 메일을 보내 역사를 바꿔보기로 했다. → '''실패'''. 전화렌지는 타이머 1초 당 1시간 전의 과거이기 때문에, 메일을 보내기도 전에 전화렌지의 타이머가 끝나버렸다.(...) * 5차 실험 / [[키류 모에카]] : ~~4일 전의 자신에게 휴대폰 기종을 바꿔보라~~는 문자를 보냄. → '''성공'''. 세계선이 바뀌면서 모에카가 라보멘에 들어왔다는 역사가 없던 일이 되었다. 하지만 휴대폰 기종을 바꾸라는 문자를 보낸 것은 '''거짓말'''. 자세한 건 해당 캐릭터의 항목 참고. * 6차 실험 / [[우루시바라 루카]] : 자신의 외모에 콤플렉스를 가진 나머지 여자 같은 남자가 아니라 진짜 여자가 되고자 [[태교]]가 아이의 성별에 영향을 준다는 속설을 확인해볼겸 자신을 임신하던 시절의 어머니의 [[삐삐]]에 '야채를 많이 먹음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어'[* 용량 한계 때문에 텍스트를 줄여야 했던 관계로 [[줄임말]]을 동원했다.]라는 메일을 보냈다. → '''성공'''. 다만 당시에는 루카의 외형에 변화가 없어서 실패한 줄 알았다가 이후 몇차례 세계선이 변경되고 나서야 깨달았다. * 7차 실험 / [[페이리스 냥냥]] : 처음의 모에카처럼 문자의 내용을 숨겨서 알 수 없었음. → '''성공'''. [[오타쿠]]의 성지였을 [[아키하바라]]가 '''[[아키하 유키타카|평범한 전자상가로 바뀐다.]]'''[* 다루 曰 "[[모에]]의 성지는 [[나카노 브로드웨이|나카노]]인게 상식이잖아."] 때문에 페이리스 냥냥도 메이퀸+냥에서 만난 것이 아니라, 카드게임 대회에서 다루의 대리로 나갔다가 만난 것으로 개변. 자세한 사항은 해당 캐릭터의 항목 참고. * 8차 실험 / 오카베 린타로 : 아버지를 찾아 아키하바라로 온 [[아마네 스즈하]]가 결국 포기하고 떠나버린 사실에 안쓰러워진 오카베가 '무슨 일이 있어도 스즈하를 미행하라'는 메일을 몇시간 전의 자신에게 보냄 → '''성공'''. 그러나 이후 '''비가 오면서''' 스즈하에게 예상치 못한 참변이 일어났고, 이 때문에 오카베가 세계선을 바로잡고자 '''최초로 취소시킨 D메일'''이 된다. 전화 레인지(임시)는 [[SERN]]에서 개발한 [[LHC]]의 축소판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기능은 메일을 보내는 용도이므로, 레인지라고는 하더라도 딱히 안에 물건을 넣지 않아도 된다. 전화레인지 자체도 [[타임머신]]의 기능은 할 수 있지만, 기껏해야 전자레인지에 들어갈 크기의 물건만 가능하고, 데이터 환산 시 36바이트를 초과한 질량의 물질은 초중력에 짓눌려 젤리로 변질되기 때문에 별 쓸모는 없다. D메일의 정체를 알 수 없었던 초반에서는 [[시이나 마유리]]가 사온 바나나가 꾸준히 젤바나가 되었다(…) [[LHC]]에는 [[블랙홀#s-8.1.2|커 블랙홀]]의 링 특이점에 전자를 주입해 특이점을 알몸으로 만드는 장치인 [[http://www.youtube.com/watch?v=uF8otSSPgdA|리프터]][* 리프터는 실제로 존재하는 물건이며, 작중 취급을 보면 무슨 반중력 장치처럼 설명해 놓았지만, 사실은 그냥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장치다. 애초에 반중력 장치는 오카베의 추리(?) 중 하나였고, 실제 용도는 특이점에 전자를 주입하는 장치일 뿐이며, 이온크래프트는 현실에서도 원리가 정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고전압으로 공기를 이온화(=이 과정에서 전자가 외부로 방출됨)시킨다는 점만은 확실한 만큼 이를 가져다 쓴다고 해도 작중에서의 이론상 문제는 없다. 애초에 작중 리프터에 대해 조사할 때 다루가 구글링으로 '''실제로 본 문서에 링크되어 있는 유튜브 영상을 본다.''' 패러디긴 하지만.]가 있는데, 전화 레인지(임시)에는 그 [[리프터]]에 대응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후일 1층의 [[브라운관]] 공방의 42형 [[브라운관 TV]]가 [[리프터]]의 역할을 하고 있던 것으로 밝혀져[* [[브라운관]]은 내장된 전자총에서 전자빔을 발사해 [[스크린]]의 형광점을 발광시키는 구조로 되어있어 소량이나마 외부에까지 전자가 뿜어져 나온다. 이것이 전화렌지에 주입되어 [[리프터]]의 역할을 하게 된 것. 특히나 42인치씩이나 되는 터무니 없이 큰 물건이었기에 그 소량으로 방출되는 전자가 리프터로서 충분히 기능할 정도의 수준이 된 것이다.][* 여담이지만, 사실 [[브라운관]]은 [[입자가속기]]의 원리를 응용한 장치 혹은 소형 입자가속기 그 자체로 분류된다][* 방전 현상을 일으키던 시간대가 오전 11시에서 오후 6~7시 정도였던 것도, 브라운관 공방의 영업 시간 때문이었다.] [[타임 리프(Steins;Gate)|타임 리프 머신]]이 완성된다. == 여담 == [[β세계선]]에서 [[2025년]]의 [[오카베]]는 "'''[[노스탤지어 드라이브]]'''"라고 하는 용량 제한도 없고 동영상 첨부도 가능한 완벽한 D메일을 보낼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다. 위에 설명한 저것을 자기가 나중에 채용한 것이다. 최근의 한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가능할 수 있다'''고 한다. [[http://news.nate.com/view/20140525n09707|관련 기사]] β세계선 엔딩의 약 4개월 후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슈타인즈 게이트 제로]]에서는 개념이 약간 바뀌어 등장한다. 작중 이면루트 후반 딱 한번 등장하며, 그대로 엔딩을 맞이하는데, 그 이름은 [[D-RINE]]이라 칭하며, 역할은 D메일과 같다. RINE은 [[LINE]]의 패러디. 즉, D-RINE의 역할은 과거로 메신저 메시지를 보내는 역할이다. 구조적으로 D메일과 다른 것은 아니고, 메시지를 메일로 보냈다간 SERN의 애셜론에 감지되어 α 세계선으로 날아가게 되기 때문에 메일이 아닌 메신저로 전송 수단만 바꾼 것일 뿐이다.[* 작중에 등장하는 RINE은 다루가 개발하고 나서 테스트 목적으로 라보멤들에게만 배포한, 아직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메신저라는 설정이라 [[SERN]]은 '이런 메신저가 존재한다'는 것부터 모르고 있기 때문에 [[애셜론]]의 감시대상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대신 [[RINE]]이 개발되기 시작한 시점인 [[2010년]] 초까지만 전송이 가능하며, 그시점에는 라보멤에게도 배포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D-RINE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개발 중이던 다루밖에 없다는 제약이 있다.] 실제 작중에서는 D메일의 맹점도 그대로 갖고 있기에 완벽한 1문단으로 보낸 메시지가 작중 과거로 보내졌을 때에는 여러 문단으로 나뉘어서 전송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파일을 첨부해서 보내는 등 D메일의 용량 제약이 D-RINE에는 적용되지 않는 듯한 모습이 나온다.] 참고로 이 D-RINE은 트루 엔딩의 발동 조건. 전작의 작중에선 D메일이 모든 것을 꼬아놓은 반면 이번 작에서는 [[2010년]]의 오카베가 슈타인즈 게이트 세계선에 도달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 참고로 이 유일한 D-RINE의 내용의 개요는 '''세계를 속여라.'''[* [[마키세 크리스|맹세의 리나시멘토]] 루트 엔딩에서 '''"세계를 속여라. 가능성을 이어라. 세계는 속는다."''' 라는 내용의 D라인을 보낸다. 이후 게임을 새로 시작하면 폐시곡선의 에피그래프 챕터에서 이 D라인을 받게 된다.] 다만, 작중 D-RINE은 [[하시다 이타루]]가 최근에 개발한 라보멘 사이에서만 사용하는 메신저라서 RINE 개발 이전의 시간대나 RINE을 사용하지 않는 라보멘 이외의 사람에게는 보낼 수가 없다. [[분류:Steins;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