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Force-OW.png]] || 한글판 명칭 ||'''D-포스'''|| || 일어판 명칭 ||'''[ruby(D, ruby=ディー)]-フォース'''|| || 영어판 명칭 ||'''D - Force'''|| ||<-2> 일반 마법 || ||<-2>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덱 맨 위에 둔다. 이 카드가 자신의 덱 맨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때, 자신은 드로우 페이즈에 드로우할 수 없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98화에서부터 등장. 작중에서는 [[DD(유희왕 GX)|DD]]가 [[닥터 컬렉터]]와의 듀얼 중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이후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도 블루-D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패배 후 블루-D가 [[에드 피닉스]]에게로 넘어가면서 이 카드 또한 에드가 사용하게 되었다. 효과만 보면 빼도박도 못 할 디메리트 카드지만 블루-D는 이 카드가 있어야만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가 활성화됐기에, 블루-D가 등장할 때마다 높은 확률로 발동됐다. 파멸의 빛에 씌였을 때는 이 카드가 발동됨과 동시에 파멸의 빛이 발현했다. === [[유희왕/OCG|OCG]] === [[파일:D-フォ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D-포스, 일어판 명칭=D(ディー)-フォース, 영어판 명칭=D-Force,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가 존재하는 한\,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3=●자신은 드로우 페이즈에 드로우할 수 없다., 효과4=●자신 필드의 카드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5=●자신 필드의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는\, 공격력을 서로의 묘지의 몬스터의 수 × 100 올리고\,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OCG화되면서 덱 맨 위에 앞면 표시로 놓는 일반 마법이라는 것은 무시되고, 평범한 지속 마법으로 나왔다. [[사신의 큰 낫-데스사이스]]와는 달리 OCG화되면서 썰렁한 배경이 핵융합을 연상케하는 모습이 되어 조금 더 강렬하게 바뀌었다.[* 아마도 애드 VS DD 에피소드 마지막에 배가 폭파하는 장면이 있는데 이걸 오마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①번 효과는 덱 및 묘지에서 블루-D 1장을 서치하는 오리지널 효과. 본디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이나 [[엑스트라 히어로 크로스 가이]] 등 서치가 수월했던 블루-D지만, 전용 서치가 생긴 덕분에 타 고성능 서치를 다른 히어로 몬스터에 할애할 수 있게 되었다. ②번 효과는 자신 필드에 블루-D가 존재하는 한 이하의 효과를 적용하는 효과. * 일반 드로우 봉쇄 기본적으로는 큰 디메리트지만, 어차피 블루-D는 전개 결과물로 세워두는 몬스터고 [[히어로 비트]]도 단기전을 선호하는 덱이므로 큰 피해가 되지는 않는다. * 자신 필드의 카드에 대상 지정 내성 부여 자신 필드의 모든 카드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D-포스 자체도 대상 지정 내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이요 내성이 빈약한 타 히어로 몬스터에게도 이득을 준다. * 블루-D에 타점 강화, 효과 파괴 내성, 더블 어택 부여 효과 파괴 내성은 원작에도 있었던 것이고, 타점 강화는 DD가 블루-D를 이용해 살해한 사람의 영혼을 흡수한 것, 더블 어택은 에드나 DD가 피니시를 위해 연속 공격 카드를 자주 사용한 점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것으로 예상된다. 자체 내성이 없고 기본 타점도 빈약한 블루-D에게, 안전한 상대 억제 역할과 강력한 어태커 역할을 동시에 부여한다. 블루-D의 밸류를 높여주는 강력한 효과로 무장했지만 [[파괴수(유희왕)|파괴수]], [[초융합]], [[금지된 일적]], [[라이트닝 스톰]] 등 주된 돌파 요원에게는 여전히 무력하다는 것에 주의. [[히어로 비트]]에서는 [[어리석은 부장]]이나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로 브레이크 더 데스티니를 묘지로 보내 D-포스를 확보하는 방법이 주류이다. 블루-D보다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 및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를 선턴 결과물로 우선시하니만큼, 입상 레시피에 D-포스는 잘 채용되지 않는 편.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1]] || AC01-JP009 || [[슈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version=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