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 [include(틀:유기화합물/카복실산)] [[파일:docosahexaenoic acid.png|bgcolor=#fff]] [[등푸른 생선]]의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다가불포화[[지방산]]. 끝부분에서부터 3번째부터 이중결합이 있기 때문에 '''[[오메가3]] 지방산'''으로 분류한다. 건강보조식품 재료로는 멸치, 정어리, 고등어, 연어에서 뽑아낸 기름을 쓰며[* [[물개]]의 지방에서 뽑아낸 것도 시판된 적이 있으나, 동물애호단체 등의 비판으로 인해 현재는 거의 사라졌다.] 오메가3라고 부르는 영양제의 대부분의 성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명확하게 말하자면 DHA는 오메가3의 일종일 뿐이지 DHA가 오메가3인 것은 아니다. 구조를 보면 이중결합이 무려 6개다. 그래서 [[트랜스 지방|열로 인해서 이중결합 한두 개 정도가 트랜스 결합으로 바뀌어도]] 큰 지장이 없다. 그러나 그만큼 산패되기 쉬운데, 이게 엄청난 비린내를 풍긴다. 뇌 세포의 원형질에 10% 함유되어 있으며,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어린이, 청소년용 건강기능식품에 DHA를 넣기도 하고, 일부 만화에서 [[모범생]] 캐릭터는 이 물질이 함유된 식사나 간식을 즐기는 것이 [[클리셰]]로 들어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마케팅도 2010년대부터는 약발이 다했는지 미디어에 노출되는 빈도가 크게 줄어들었다. 과거에도 등푸른 생선을 많이 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 등의 이야기로 전해내려오던 이야기지만 실제로 DHA나 등푸른 생선을 많이 먹는다고 뇌 기능이 향상되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 뇌 세포를 이루는 구성물질이긴 하지만 뇌세포 구성물질 많이 먹는다고 뇌가 발달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이는 당연한 이야기다. 근육을 이루는 물질은 단백질인데, 그럼 단백질을 그저 많이 먹기만 해서 근육빵빵한 근육맨이 될 수 있는가? 당연히 불가능하다. 물론 반대로 운동을 아무리 많이 하더라도 식이조절 및 충분한 영양공급이 안되면 절대로 벌크업 및 체격향상을 이룰수는 없기에 영양공급을 경시할 수는 없지만 단백질은 하루 필요량인 체중 당 1g을 먹지 못해서 단백질 결핍인 사람이 많은 반면 오메가3는 결핍된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오메가3 복용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가질 필요는 없는 것이다.] 명확한 임상시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효과에 대해서 단정지을 수 없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신뢰할 만한 연구 결과[* 동물실험이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이중맹검 대규모 임상시험 또는 그러한 논문을 바탕으로 한 메타분석 등]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뇌 기능 향상에 대한 이야기 때문인지 [[치킨]] 체인점 중 하나인 [[에디슨치킨]]에서 이를 이용해 광고한 적 있고 아인슈타인 우유에도 들어가 있다고 하지만 둘 다 극미량 함유되어 있다. 너무 적게 들어서 의미는 없는 수준. 사실 DHA의 양이 너무 적다고 불평할 수도 없는 것이, 앞에서도 말했듯이 산패되기 쉽고 비린내가 심해서 효능을 보일 정도로 넣게 되면 이미 [[독요리]]가 되어버린다. 그러니까 생선이나 영양제를 먹자. 자매품으로 [[EPA]]가 있다. EPA는 체내에서 지방산 신장효소와 델타-4 불포화효소의 도움을 받아 DHA로 변환된다. [[비타민A|레티닐]]아세트산과 [[구조 이성질체]] 관계이다. ==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Dehydroascorbic acid) == 산화된 [[비타민C]]. 오각형 고리에 있던 [[알코올]]기(-OH) 두 개가 케톤기(=O)로 대체된 형태이다. [[유인원]]들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비타민 C를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에서 DHA를 재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 산화된 [[글리세롤]]. 가운데의 [[알코올]]기(-OH)가 케톤기(=O)로 대체된 형태이다. 3탄당으로, 우리가 볼 수 있는 [[단당류]] 중 가장 간단한 두 물질 중 하나다.[* 다른 하나는 글리세르알데히드(GA)] 케톤기를 들고 있어 케토오스로 분류된다.[* GA는 알데히드기를 들고 있어 알도오스로 분류된다.] 이 물질의 3번 탄소에 인산기가 붙으면 DHAP(DeHydroxyAcetonePhosphate)가 되며, 이는 [[해당 과정]]의 중요한 중간 산물이다. GA3P(GlycerAldehyde 3-Phosphate)로 상호전환이 매우 용이하여 평상시엔 DHAP로 많이 존재하다가, ATP를 필요로 하는 경우 즉시 GA3P로 바뀌어 [[해당 과정]]을 통해 [[피루브산]]으로 넘어갈 수 있다. DHAP는 글리세롤 3인산으로 쉽게 전환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글리세롤]]이 될 수 있다. 그 반대도 가역적이다. ==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Dihydroartemisinin) == [[말라리아]]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 성분 중 하나이다. == 디히드로알프레놀롤(Dihydroalprenolol) == == 9,10-디하이드로안트라센(9,10-Dihydroanthracene) == == 디하이드로알라닌 (Dehydroalanine) == == 디펜스 하우징 오스트레일라아(Defence Housing Australia) == [[1987]]년 호주 국방 주택법(Defense Housing Australia Act)에 의해 설립된 호주 공기업 [[https://dha.gov.au/|홈폐이지]] == 미국 국방보건국 (Defense Health Agency) == [include(틀:미국 연방 행정부)] 2013년에 창립된 평시와 전투 사령부에 의학적으로 준비된 병력과 준비된 의료 병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합동 통합 전투 지원 기관이다. 주소는 미국 [[버지니아주]] 폴스 처치(Falls Church, Virginia)에 있다. [[https://www.health.mil/About-MHS/OASDHA/Defense-Health-Agency|홈폐이지]] == 관련항목 == *[[오메가-6 지방산]] [[분류:동음이의어]][[분류:불포화지방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