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브랜드]] [목차] == 개요 == [[일본]]의 화장품 회사. 다만 처음부터 화장품이 본업은 아니었던게 대학의 연구소를 대상으로 번역을 하는 '大学翻訳センター(たいがくほんやくせんたー;대학 번역 센터)'로 시작하여[* '다이에 홀딩스 컴퍼니(ダイエ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의 약자도 DHC이지만 둘 사이에 관계는 없다.], 지금도 번역·출판분야에서 손에 꼽힐만한 규모라고 한다. 1983년부터 기초화장품의 통신판매업을 시작했다. 그 중 DHC 올리브 버진오일을 주성분으로 한 클렌징 오일을 간판상품으로 회사가 유명해졌다. 1992년에 출판 및 교육사업부를 설립했고 1995년부터 건강식품 사업을 시작했다. 통신판매로 회사가 큰 탓인지 진출한 해외사업부에서도 통신판매 등의 온라인 판매와 매장판매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현재는 일본 내 편의점 내에서의 화장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는 영화배급사업에도 진출했다. == 극우기업 == 일본국내 [[비지니스 호텔]] 업계의 '''[[APA 호텔]]과 쌍두마차를 달리는 [[극우]] [[혐한]] 기업이다. 회장이라는 인간인 요시다 요시아키부터가 극우 혐한이다.''' * 일본 주간지에서 [[와타나베 요시미]]의 극우정당인 [[다함께당]]에 (보고서에 쓰여져있지 않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6826586|8억엔을 빌려주었다]]고 수기에 당당히 밝혀서 물의를 일으켜 요시미기 당수직을 사퇴한 적도 있다. * '''[[넷 우익|일본은 정계, 법조계, 언론, 관저, 예능, 스포츠 등에서 재일에게 지배당하고 있으며,]] [[인종차별|재일들은 나라에 나쁜 영향을 끼치니 모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라는 망언을 [[https://top.dhc.co.jp/company/image/cp/message1.pdf|회장으로부터의 메세지]]로써 '''직접 공식사이트에 올렸다.''' [[http://news.livedoor.com/article/detail/12568519/|#]][* '헤이트 경영인은 일본의 수치다'라고 비판하는 포스트이다.] * 한때 위성방송 채널로써 운영되었으나 현재 [[https://www.youtube.com/user/theatertelevision|유튜브 채널을 통한 온라인 방송]]으로 연명하고 있는 미디어 자회사 및 스튜디오 '''DHC테레비'''도 [[사쿠라 TV]] 버금가는 극우성향 비 지상파 방송이다. 토라노몬 뉴스 등, 제작되는 시사 방송들은 하나같이 극우색이 짙으며, 뉴스여자 (ニュース女子)는 젋은 여성 탤런트들을 게스트로 불러와서 극우 성향의 논객들이 뉴스나 시사 문제들을 자기들 입맛에 맞추어 설명하고 토론하는 방송이다. * 원래 스카이퍼펙트 계열에서 채널을 받아 위성방송을 하던 시절에 동시간 경쟁(..?) 프로그램인 [[보도 스테이션]][* 경쟁 프로그램이라고하지만, 표면적인 인지도 및 규모에 비하면 지상파인 보도스테의 쨉도 안된다.]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방송인데, 서비스 물주였던 스카이 퍼펙트에서 폐국조치한건지 겨우겨우 몇몇 지방 방송국에 방영하고 있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02/0200000000AKR20170202201400073.HTML?input=1195m|오키나와 현에 헬기 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시위자들을 테러리스트라고 폄하하고 돈을 주고 시위자들을 모집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으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88748&code=11141700&cp=nv|이 시위를 주도하고있는 시민단체의 회장이 재일 한국인이라는걸 꼬집으며 비판한 방영분이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당연히 진보층은 이 편향적인 보도에 항의하며, DHC테레비의 방송들이 제작되는 토라노몬 뉴스가 입주한 교도통신회관 앞에서 시위를 하였다. * [[도쿄 MX]]에서 이 프로그램을 구매해 방영하고 있었고, 허위 보도가 계속되자 직접 제작에 관여하려는 시도도 했지만 DHC 측이 거절하여 결국 [[https://twitter.com/rkayama/status/974075012322811904|2018년 4월부터 방송하지 않기로]] [[참교육|했다]].[* 이때문에 빡친 DHC를 시청한 넷 우익들은 도쿄 MX도 까대기 시작했다. 한류 프로그램을 수입했다는 이유로 서울 MX라고 까지않나...] 이후로도 여러 지방 방송국들에서 퇴출되고 있는 상황에, DHC측은 인터넷에서 계속 진실을 알릴것이라며 정신승리를 하고있는중. * 토라노몬 뉴스도 다를바가 없으며, [[입헌민주당]]이 [[http://www.huffingtonpost.jp/2017/10/19/sitouyoken_a_23248344/|정당요건 미달이라는 허위 보도를 한 적도 있다.]] 이 방송에 단골로 출연하는 패널들은 [[켄트 길버트]]와 [[햐쿠타 나오키]]가 있다. * 여혐 논란 발언을 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내용은 여자는 임신하면 암컷이다, 암컷은 쓸모가 없다는 등 어이가 없는 무개념 발언. 이 때문에 진보층을 중심으로 일본에서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항하여 여러 [[넷 우익]]들이 [[2014년 광화문 폭식농성|폭매운동을 벌이거나]], 네토우요 계열 트위터에서는 #DHC応援이라는 해시도 돌고 있다. * 당연히 BPO(일본의 [[방통위]]격 기구)에서도 오키나와 리버럴 비하보도 관련 건부터 계속 뺀찌를 먹인듯. 이때문에 역시 넷 우익들 트위터 사이에서는 #DHC応援 해시를 쓸때#BPO解散 해시도 곁들여쓴다. 그런데도 한국에서 돈은 벌고 싶었는지 2002년 4월에 DHC Korea Inc.를 설립하면서 진출했다. 하지만 진실이 드러나면서 불매운동이 확산되어서 한때 소매점도 보유했었는데 지금은 그저 판매업에 연명하는중. == 광고 == '스베스베[* 일본어로 '매끈매끈'이라는 뜻.], DHC'라는 [[http://www.youtube.com/embed/VtI95Tw4nDc|광고]]가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7575333DHC'''라는 CM송이 일품이다.]. 2004년도에는 스베스베 퀸 선발대회를 열었는데, 4000:1의 경쟁을 뚫고 [[윤주희]]가 우승을 차지하며 김희선과 같이 광고를 찍기도 했다. 한국 진출 당시 [[김희선]]을 [[http://www.youtube.com/embed/thH-dBeb-v4|모델로 기용]], 이후 [[윤주희]], [[윤은혜]], [[송지효]]가 모델로 발탁되었다. 2012년 2월 한국지사 광고 모델로 [[다비치]]의 [[강민경]]을 발탁했다. 2014년 3월부로 [[애프터스쿨]], [[오렌지캬라멜]]의 [[나나(애프터스쿨)|나나]]가 새 모델로 발탁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DHC,version=74)] [[분류:화장품 브랜드]] [[분류:일본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