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e0e0e0, #fff, #fff, #fff)" [[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50]][br]{{{-2 {{{#202020 '''DJMAX 시리즈 타이틀 곡'''}}}}}}}}} || || [[Yo Max|{{{#!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6px; margin: 4px 6px; border-radius: 19px; 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c0c0c0, #c0c0c0); font-size: 0.8em;" {{{#fff '''Yo Ma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6px; margin: 4px 6px; border-radius: 19px; 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c0c0c0, #c0c0c0); font-size: 0.8em;" {{{#000 '''DJMAX'''}}}}}} ▶ [[The MAX|{{{#!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6px; margin: 4px 6px; border-radius: 19px; 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c0c0c0, #c0c0c0); font-size: 0.8em;" {{{#fff '''The MAX'''}}}}}}]] ||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rZog6QMak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MAX House}}} || || {{{-1 '''BPM'''}}} ||{{{-1 128}}} || || {{{-1 '''작곡'''}}} ||{{{-1 [[허밍 어반 스테레오|Humming Urban Stereo]]}}} || || {{{-1 '''보컬'''}}} ||{{{-1 J-Dogg (Rhymebus)}}} || || {{{-1 '''BGA'''}}} ||{{{-1 Rongbros}}} || ||<-2> {{{#!folding [ 가사 보기 ] Everybody the boring time is just gone The moment that bores you just turns to delight DJ DJ DJ MAX moving moving moving baby DJ DJ DJ MAX moving moving moving baby Shake your fingers and shake shake your body You're gonna feel up hight jump into the sky Game are for fun Remember the hero is you for that moment DJMAX do you wanna join us DJMAX let's play your party time DJMAX it's your very best choice DJMAX}}} || == 개요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부터 추가된 새로운 [[DJMAX 시리즈]]의 테마곡. 특히 CE에서는 조금 더 긴 버전이 엔딩 스태프 롤에 쓰였다.[[http://www.youtube.com/watch?v=jSEOWdsssn8|#]] DJMAX 시리즈의 주제가였던 [[Yo Max]]와 비슷한 의도로 만든 곡이다. 허밍 어반 스테레오의 스타일대로인 소프트 팝 스타일의 곡으로 작곡되어 부드러운 곡 진행과 쉬운 난이도를 보인다. 보컬은 MC로도 활동 중인 라임버스의 J-Dogg이 담당했다. 약칭은 당연히 '''디맥'''일텐데, 곡 이름이 게임 이름이라 애매하다. 게다가 비인기곡이기도 하다.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의 아케이드 모드에서 3곡의 평균 정확도가 99%이상이 되면 히든 스테이지로 출현한다. [[DJMAX Portable 2]]의 [[Your Own Miracle]]와 비슷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패턴은 프리스타일과 차이가 없다. == [[DJMAX TECHNIKA 2]]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 Star || D || 1500MAX || 2 || ||8박 스크롤|| || NM || B || 2500MAX || 3 || [[Sweet Sound Set]]의 선택곡 ||8박 스크롤|| || HD || A || 4500MAX || 4 || [[Black & White Set]]의 선택곡 ||4박 스크롤|| [youtube(XDMGpX1AIss)] NM 패턴 영상 [youtube(M56oAYXkHqs)] HD 패턴 영상 [[DJMAX TECHNIKA 2]]에도 수록되었는데, 오픈 곡이 아니기 때문에 맥스샵에서 사야 한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TECHNIKA)]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JMAX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6d71f6, #dc48a1, #7b1a68)" '''{{{#5c1949 TECHNIKA}}}'''}}} || ||<-4>'''{{{+5 DJMAX}}}'''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6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362}}}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60}}} || -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33}}}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1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99}}} || -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1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06}}}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9e8fed, #e47fbf, #c172a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DJMAX RESPECT]]에서는 [[DJMAX TECHNIKA]] 당시 수록곡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TECHNIKA 1 DLC에 수록되었다. RESPECT에서의 메트로 프로젝트 수록곡들이 수록된 공식에 따르면 이 곡은 CE & BS 동시 수록곡이므로 BS 팩에 수록되었어야 하고, 테크니카에 선행 수록되고 BS에 수록된 [[Colours of Sorrow]]가 테크니카 팩에 수록되었어야 하는 것이 맞지만, 곡 분위기상 이 곡이 더 마일드하고 Colours of Sorrow 쪽이 더 어두우므로 컨셉을 맞추기 위해 서로 자리를 맞바꾼 것으로 보인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xq5GACDWX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L9aDkAgRSQ)]}}}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5qu3w-dSR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aBE7GO08ok)]}}}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M9pbypeit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RQE1IIv6as)]}}}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7kG4VrtVr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KGVTsXRydw)]}}} ||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