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뮬러 E 출전 팀)] [include(틀:포뮬러 E)] ||<-2>
'''{{{#000 DS 펜스키 [br] DS Penske}}}''' || ||<-2> {{{#!wiki style="margin: -6px -12px" [br] [[파일:LogoDS_PENSKE.png|width=100%]]}}} [br] || ||<-2> || || '''{{{#000 본사}}}''' ||펜스키 오토스포트 || || '''{{{#000 타이틀 스폰서}}}''' ||- || || '''{{{#000 서브 스폰서}}}''' ||[[보쉬]], [[https://pmc.com/|펜스키 미디어 코퍼레이션(PMC)]][* Penske Media Corperation의 약자로, 뉴욕시와 로스 엔젤레스에 기반을 둔 디지털 미디어 프로듀싱 회사이며, 이 팀의 설립자인 제이 펜스키가 CEO로 재직하고 있는 회사이다.] || || '''{{{#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000 설립 연도}}}''' ||'''2007년''' || || '''{{{#000 본부}}}'''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 엔젤레스, [[영국]] 노스햄프셔 실버스톤 || || '''{{{#000 사령탑}}}''' ||제이 펜스키 (팀 감독) || || '''{{{#000 드라이버}}}''' ||'''#2''' [[스토펠 반두른]]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br] '''#25''' [[장에릭 베르뉴]]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 '''{{{#000 후보 드라이버}}}''' ||[[올리버 터비]][* 前 포뮬러 E 드라이버로 창립 시즌부터 [[니오 333 FE 팀|1팀]]에서만 무려 7시즌을 소화했다.][* 스포팅 어드바이저(고문) 역할도 수행한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2> || || '''{{{#000 섀시}}}''' ||STR05e || || '''{{{#000 파워 트레인}}}''' ||DS E-TENSE FE23 || ||<-2> || || '''{{{#000 공식 사이트/SNS}}}''' ||[[https://www.dsautomobiles.co.uk/ds-experience/electric-hybrid/e-tense.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mobile.twitter.com/ds_performance|[[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dragonracing_f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DragonRacingF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
[[파일:ds-penske-presentacion-10.jpg|width=100%]] || DS 오토모빌 포뮬러 E 팀 펜스키는 미국 국적의 모터스포츠 팀으로, 2007년에 제이 펜스키와 스테판 J. 루초가 설립했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는 [[인디카]]에 참여하였으며 2014년부터 현재까지는 포뮬러 E에 참가하고 있다. 안드레티 모터스포트에 이어 2번째로 포뮬러 E에 참가한 미국 국적의 팀이며 '''[[포뮬러 E]] 첫 개최 참가 팀들'''중 한 곳이기도 하고, 첫 시즌인 2014-15시즌에 2위를 달성하였지만 이후로는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 역대 시즌 == === 드래곤 레이싱(2014~2016)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에 등장하는 드래곤 경주, rd1=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 [[파일:Dragon-1.jpg|width=100%]] || 2014-15시즌에는 2위를 달성했으며 이듬해인 2015-16시즌에는 4위를 기록했다. || [[파일:loic-duval-dragon-racing.png|width=100%]] || 2015-16시즌은 벤추리의 파워트레인을 사용했으며 이후 2016-17시즌부터는 독자적인 펜스키만의 파워트레인을 개발 및 장착한다. === [[패러데이 퓨처]] 드래곤 레이싱(2016~2017) === || [[파일:Dragon-3.jpg|width=100%]] || 타이틀 스폰서로 중국의 전기차 회사 [[패러데이 퓨처]]가 합류했다. 하지만 독자 개발 1번째 시즌 파워트레인의 퍼포먼스는 저조했고 최종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는 8위에 그쳤다. === 드래곤 레이싱(2017~2018) === || [[파일:Formula-E-2.jpg|width=100%]] || [[패러데이 퓨처]]와는 1시즌만에 결별했고 로익 뒤발 대신 DS 버진에서 호세 마리아 로페스를 데려왔으나[* 시즌 1~2라운드는 [[닐 야니]]가 뛰었다.] 성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최종 순위는 작년보다 1계단 떨어진 9위. === 제옥스 드래곤(2018~2020) === || [[파일:article-feature.jpg|width=100%]] || 이 때부터 형편없는 파워트레인 성능과 효율로 인한 에너지 관리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좋은 그리드를 차지하고도 경기 막판에 순위가 곤두박질치기 일쑤였고 일부 경기에서는 잔여 에너지 부족으로 완주에 실패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 2018-19시즌 마힌드라로 떠난 제롬 담브로시오를 대체한 루키 [[막시밀리안 귄터]]가 20점을 득점하며 분전했으나 호세 마리아 로페스는 간혹 있었던 기회마저도 날려버리는 기대 이하의 모습을 시즌 내내 보이며 3점밖에 얻지 못했다. 최종 컨스트럭터 순위는 작년에서 다시 1계단이 떨어진 10위. || [[파일:4b9ba288620936.5e25991c0288e.jpg|width=100%]] || 2019-20시즌을 앞두고 호세 마리아 로페스를 방출했으며 막시밀리안 귄터는 BMW 안드레티로 이적했다. 대신 영입한 드라이버는 니코 뮐러와 [[브렌던 하틀리]]. 코로나로 시즌이 중단된 이후 마련된 베를린 헥사헤더를 앞두고 하틀리 대신 세르지우 세테 카마라를 영입하며 반전을 꾀했지만 해당 시즌 득점한 포인트는 시즌 초반에 하틀리가 얻은 2점이 전부였다. 최종 순위는 작년보다 또 1계단 떨어진 11위. === 드래곤/펜스키 오토스포트(2020~2022) === || [[파일:Dragon-7.jpg|width=100%]] || 제옥스가 떠나면서 다시 타이틀 스폰서 없이 2020-21시즌을 맞이했다. || [[파일:Formel-E-Valencia-Rennen-1-P2-für-Nico-Müller-und-Dragon-Penske©Dragon.jpg|width=100%]] || 수많은 드라이버들이 에너지 계산을 잘못해서 리타이어하거나 실격 처리된 혼돈의 발렌시아 E-프리에서는 니코 뮐러가 2위로 포디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뮐러는 포뮬러 E를 떠났으며 해당 시즌 잔여 경기는 조엘 에릭손이 소화했다. 최종 컨스트럭터 순위는 작년과 동일한 11위. || [[파일:Dragon-8.jpg|width=100%]] || 2021-22시즌에는 전 [[F1]] 드라이버 [[안토니오 지오비나치]]가 합류했으나 다른 팀들과 같은 페이스로 달리면 완주도 힘든 차량 성능 탓에 16경기 중에서 절반 가량을 리타이어하는 등 고전했다. 결국 지오비나치는 풀타임 드라이버 중 유일하게 노포인트로 시즌을 마쳤고 팀메이트인 세르지우 세테 카마라도 2점밖에 얻지 못하면서 드래곤 레이싱은 포뮬러 E 출전 이후 처음으로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꼴찌를 기록하게 된다. === DS 펜스키(2022~) === 파워트레인 독자 개발을 포기하고 DS 오토모빌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지난 몇 시즌 동안 파워트레인의 처참한 에너지 효율 때문에 완주조차 버거웠던 점을 생각하면 기대되는 부분. ||
[[파일:ds-penske-presentacion-10.jpg|width=100%]] || 작년(2021-22) 시즌 챔피언 [[스토펠 반두른]]과 현재까지 유일한 포뮬러 E 2회 월드 챔피언인 [[장에릭 베르뉴]]를 데려와 2022-23시즌 드라이버 라인업을 완성했다. == 기타 == 다른 포뮬러 E 팀들에 비해 엔지니어링 자원이 턱없이 부족했다. 2021-22시즌 팀의 전체 엔지니어 수가 고작 [[https://the-race.com/formula-e/i-look-like-a-clown-a-new-low-for-formula-es-wasted-hero/|4~5명]]이었을 정도. 세테 카마라 역시 막판 잔여 에너지 부족 문제 때문에 경기를 몇 번 망치고 무전으로 화를 냈다가 팀의 열악한 상황을 생각해서 바로 사과했다. 여러모로 총체적 난국이었으나 DS 오토모빌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로는 DS의 이전 파트너 테치타에서 활동하던 엔지니어들이 다수 합류할 예정이기에 다행히도 상황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포뮬러 E]] [[분류:모터스포츠 팀]][[분류:포뮬러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