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해체된 e스포츠 팀]][[분류:리그 오브 레전드/e스포츠 팀/한국]] [include(틀:상위 문서, top1=Dark Wolves)] [include(틀:해체된 LoL 프로게임단)] ---- ||<-2>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Dark_Wolveslogo_square.png|width=300]] || ||<-2> '''{{{+1 다크 울브즈}}}''' || ||<-2> '''{{{#fff {{{+1 Dark Wolves}}}}}}''' || || '''창단''' ||[[2015년]] [[6월 1일]] || || '''해체''' ||[[2016년]] [[5월 24일]] || || '''약칭''' ||'''{{{#fff {{{+1 DW}}}}}}'''|| ||<-2> '''{{{#fff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fff '''팀 컬러'''}}} || ||<-2> {{{+5 {{{#000000 ■}}} {{{#fff ■}}} {{{#495ca6 ■}}} }}} ||}}}}}}}}}}}} || [목차] [clearfix] == 소개 == ||<-2>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Dark_Wolveslogo_square.png|width=300]] || ||<-2> '''{{{#ffffff Dark Wolves}}}''' || || '''{{{#ffffff 감독}}}''' || 송창근(MorNinG) || || '''{{{#ffffff 탑}}}''' || 양요한(KaKaRoT) || || '''{{{#ffffff 정글}}}''' || [[사석찬]](Krvavy) || || '''{{{#ffffff 미드}}}''' || 김주현(Beast) || || '''{{{#ffffff 바텀}}}''' || 박승진(Jinny) || || '''{{{#ffffff 서포터}}}''' || [[손호경]](Jelly) || [[2013년]]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예선에 참가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4&l=1319|기사]] VTG의 공식적인 첫 행보이며 솔로랭크 유명인 [[리그 오브 레전드/유명인#s-2.2.3|Panic]]과 前 [[RoMg#s-1.2|GSG]] 멤버 Clear 등 유명 고위랭커들을 기용한 호화멤버진으로 인해 스폰서가 없는 팀임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관심을 받는 상태. 2013년 4월 5일 팀명을 VTG Monster로 정하고 임시 멤버였던 패닉 대신 [[애쉬(리그 오브 레전드)|부노궁]]으로 유명한 부노가 들어오면서 [[이엠텍 NLB Spring 2013]] 참가 준비를 마쳤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4&l=1461|기사]] 그리고 NLB에 참가한 팀중 하나인 Dynamic Universe Gaming을 지원해 VTG Dynamic이란 2팀을 만들었으나 그 2팀이 NLB 골드리그 16강에서 광탈하면서 빠르게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2013년]] [[HOT6 Champions Summer 2013]] 예선에서 신청해놓고 계정 정보가 일치하지가 않아 부전패를 당했다. [[http://www.virtualthrone.com/node/234|#]] [[GIGABYTE NLB Summer 2013]]에 원래 팀인 VTG Monsters는 나가지 못했으나[* 롤챔스 예선 결과로 NLB 진출팀이 정해지는데 앞서 말했듯이 예선에서 부전패를 당하는 바람에 NLB 역시 나가지 못했다.] NLB 12강에 진출한 Raon팀을 지원하게 되면서 드디어 NLB에 나가는 팀이 생기게 되었다. [[http://www.nicegame.tv/board/bbs/view/1001/24/-/-/504039/0/|#]] 2014 스프링 예선에도 나왔으나 조별 예선 4강에서 패하면서 NLB에도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사람답게 행동하자'팀을 지원하면서 [[빅파일 NLB Spring 2014]]에 '''VTG #2'''란 이름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이후 NLB와 CK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해체된 듯 보였지만 게임단명을 Dark Wolves로 변경, [[2015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League 1]]에서 아마추어팀이었던 NKT를 흡수해 오래간만에 소식을 알렸다. 아래 언급했듯 압도적인 모습으로 CK 리그 1을 우승하고 승격 가능성을 높였지만 일이 많이 꼬였다. 대리 문제로 이미지도 엄청나게 깎아먹었고, 선택권을 가진 롱주 IM이 준우승팀 Ever 대신 DW를 선택하며 망했다. 13 SKT, 14 삼화, 롤드컵 본능의 나진과 함께 세체팀 후보로 불리는 승강전의 롱주를 이겨야 승격할 수 있다. 게다가 롱주는 현재 솔랭 순위권에 팀원 3명[* [[엑스페션]], [[박종익|투신]], [[이동근(프로게이머)|이그나]].]을 올려놓으며 승강전이 다가왔음을 증명하는 중이다. 그리고 1:3으로 지면서 롤챔스 승격에 실패했다. 하지만 부족한 기량에도 불구하고 2세트를 따내고 3세트도 잡을뻔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DW 자체의 이미지는 그리 개선되지 않았으나 이래가지고 승강전 하는 의미가 있느냐, LCK 9위한테 선택권은 왜 줬느냐[* 사실 현재 LCS 방식을 따라한거다.]는 논란을 점화시키는 데는 성공했다. 그리고 지각을 해서 케스파컵에 못나왔다. 그리고 ESC의 우승 덕에 이미지가 약간 쇄신될까 싶었으나 그냥 롱주보다도 주목을 못받고 있다. 진지하게 말하면 애초에 로켄 - 키 - 아레스[* 이전까지는 로컨 - 토토로, 폴리스 - 키 조합을 쓰다가 로컨 - 키 조합을 쓰면서 바텀이 확 강해졌다고 한다. 아레스는 승강전이 다 끝나고 영입됨.] 라인업이 확립되기 전의 ESC는 개인 기량은 몰라도 케스파컵같은 좋은 운영을 보여준 적이 없고, DW는 이들을 이겼다고 해봐야 대각성이 없으면 1부 리그에서 먹히기 힘들어 보인다. 그리고 중국에서 2개월간 중체정으로 불리다 팀케미를 깨서 밀려난 '비스트' 김주현을 영입해 전력을 보강했다. 그러나 다크울브즈는 원래 하부리그에 취약한 정글서폿이 예외적으로 강해서 운영으로 먹고사는 팀으로 알려졌기에 왜 영입했는지 모르겠다는 의견도 존재. 2016 스프링에는 탑의 큐브를 빼면 거의 다 바꿨는데 멸망하고 있다. 현재 강력한 우승 후보인 ESC의 경우 전력 약화에도 불구하고 개인 기량이 탄탄해서 무를 재배해도 패는 쌓고있지 않지만 DW는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졌다. 2016 스프링 종료 후 팀 리빌딩에 들어갔었다. 그러나 이후 리빌딩 상황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서머 참가를 포기하였다. 공홈에는 아직 운영 종목으로 남아있지만 스프링 이후 활동이 전혀 없고 선수들도 흩어지면서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 前 멤버 == * VTG Monsters * [[리그 오브 레전드/유명인#s-2.2.3|조유빈]](Panic/Mid) - 13.04.05 탈퇴[* 임시멤버], 이후 [[Winners]]로 이적. * [[양준모]](Mes) - 13.05.03 탈퇴, 이후 [[MiG|MiG Wicked]]로 이적. * [[이진성]](buno/Mid) - 13.06.12 탈퇴[* 임시멤버]. * 김원(One) - 13.06.12자로 프런트 이동, 現 VTG 매니저. * [[이대범]](우마야대/Sub) - 13.06.12 탈퇴. * [[이재하(프로게이머)|이재하]](Banking/Top)[* 前 아이디 병킹년] - 13.06.17 탈퇴, 이후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LG-IM 2팀]]으로 이적. * [[김준환(프로게이머)|김준환]](Soft/Support)[* 現 GGyuAng] - 13.06.17 탈퇴, 이후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LG-IM 1팀]]으로 이적. * [[김한샘(프로게이머)]](GimGoon/Top) - 13.10.14 계약 종료, 이후 [[Xenics|Xenics Storm]]으로 이적. * [[장현수(프로게이머)|장현수]](Toten/Jungle) - 13.10.14 계약 종료, 이후 [[Winterfox]]로 이적. 현재 [[트위치]] 스트리머. * [[오규민]](OhQ/Mid)[* 前 아이디 인천최강오뀨] - 13.10.14 계약 종료, 이후 [[Xenics|Xenics Blast]]로 이적. 현재 [[아프리카TV]] BJ. * [[김재열]](When Rain Falls/AD)[* 前 [[RoMg#s-1.2|GSG]] Clear.] - 13.10.14 계약 종료. * [[차우재]](야옹야옹야옹야옹/Support) - 13.10.14 계약 종료, 이후 재입단. * VTG Raon * 정영훈(드림마스터/Top) - 13.10.07 탈퇴. * [[유재환(프로게이머)|유재환]](Gren/Top) - 13.10.14 계약 종료. * [[윤원용]](HoneyJam/Jungle)[* 前 Jorusin] - 13.10.14 계약 종료. * [[오동연]](New/Mid)[* 前 설날떡국] - 13.10.14 계약 종료. * [[안세영]](Leaf/AD)[* 前 원딜최강세영이] - 13.10.14 계약 종료. * [[진재훈]](Myuso/Support)[* 前 뮤소] - 13.10.14 계약 종료. * VTG #2 * [[박영진(프로게이머)|박영진]](Shadow/Jungle)[* 前 Nisekoi][* 무크 시크릿으로 아크갓(arkgod)] - 14.05.30 계약 종료, 현 아발란체 소속의 정글러 * 김준기(GGoTJunGi/AD) - 14.05.30 계약 종료. * 강민석(Aggro Boy) * [[김강윤]](Snow) * [[윤도경]](Mazer) * [[성제경]](FIFA) - [[피파 온라인 3]]으로 전향 * 하지훈(Creative 닉커) * [[용태영]](Viper) * [[차우재]](야옹야옹야옹야옹/Support) - 13.10.14 계약 종료, 이후 재입단. * [[한재혁]](Gomi/AD) * VTG 코치진 * 이수영 감독 * Dark Wolves * [[서지선]](Kyle/Mid) - 16.01.19 계약 종료. 현재 [[아프리카TV]] BJ, [[라이엇 게임즈]] 파트너 크리에이터,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9, 2020 대한민국 대표팀. * 김찬영(Colorless/Support) - 16.02.01 계약 종료, 이후 [[Virtuoso Gaming]]으로 이적. * [[김창성(프로게이머)|김창성]](Cube/Top) - 16.02.13 계약 종료, 이후 [[APK Prince/리그 오브 레전드|APK Prince]]로 이적. * 임경빈(Lumen/AD) - 16.02.13 계약 종료. * [[김무진]](SIryun/Jungle) - 16.02.15 계약 종료, 이후 [[Red Bulls]]로 이적. 전 [[러너웨이/리그 오브 레전드|RunAway]], 현 [[LJL]] [[V3 Esports]] 선수. * 윤찬호(Sign/Mid) - 16.03.29 계약 종료, 이후 [[Virtuoso Gaming]]으로 이적. * 양요한(KaKaRoT/Top) - 16.05.24 계약 종료. * [[사석찬]](Krvavy/Jungle) - 16.05.24 계약 종료, 이후 [[Virtuoso Gaming]]으로 이적. * 김주현(Beast/Mid) - 16.05.24 계약 종료. * [[박승진(프로게이머)]](Jinny/AD) - 16.05.24 계약 종료, 현재 [[농심 레드포스]] 2군 코치. * [[손호경]](Jelly/Support) - 16.05.24 계약 종료, 전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선수. * 송창근(MorNinG) 감독 - 16.05.24 계약 종료, 선수 은퇴 이후 2020년 4월까지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ANDBOX Gaming]] 코치. == 팀 주요 성적 == === VTG Monsters === || {{{#white 기간}}} || {{{#white 순위}}} || {{{#white 대회}}} ||<-2> {{{#white 결과}}} || {{{#white 획득 상금}}} || || 2013.03.23 || NLB 강등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예선]] || 1:2 || [[ahq Korea]] || || || 2013.04.21 || 3~4위 || 제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아경기대회 국가대표 선발전 || 1:2 || [[ahq Korea]] || || || 2013.05.02 || 13~16위 || [[이엠텍 NLB Spring 2013]] || 0:1 || Spero Spera || || || 2013.06.28 || 5~8위 || AMD-INVEN GamExperience 프로팀 최강전 || 1:2 || [[나진 e-mFire/리그 오브 레전드|나진 White Shield]] || || === VTG Raon === || {{{#white 기간}}} || {{{#white 순위}}} || {{{#white 대회}}} ||<-2> {{{#white 결과}}} || {{{#white 획득 상금}}} || || 2013.08.08 || 13~16위 || [[GIGABYTE NLB Summer 2013]] || 1:2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진에어 그린윙스 Stealth]] || || === VTG === || {{{#white 기간}}} || {{{#white 순위}}} || {{{#white 대회}}} || {{{#white 결과}}} || {{{#white 상대팀}}} || {{{#white 획득 상금}}} || || 2014.04.15 || 9~12위 || [[빅파일 NLB Spring 2014]] || 0:2 || [[Xenics Storm]] || || || 2014.06.04 || NLB 강등 || [[HOT6 Champions Summer 2014/예선]] || 0:1 || Prime Optimus || || || 2014.07.17 || 13~16위 || [[IT ENJOY NLB Summer 2014]] || 0:2 || Mook Secret || || === Dark Wolves === || {{{#white 기간}}} || {{{#white 순위}}} || {{{#white 대회}}} || {{{#white 결과}}} || {{{#white 상대팀}}} || {{{#white 획득 상금}}} || || 2015.08.23 || 우승 || [[2015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League 1]] || 2:1 || [[ESC Ever]] || ₩ 20,000,000 || || 2015.09.02 || 챌린저스 강등 || [[2016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 || 1:3 || LZ-IM || || || 2015.11.06 || 탈락 || [[NAVER 2015 LoL KeSPA Cup]] || || || || || 2016.03.29 || 5위 || [[2016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 2:0 || Pathos || ₩ 3,000,000 || == 대회 관련 ==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온라인 예선전 C조 결승에서 [[Xenics|Xenics Storm]]과 맞붙었다! 그리고 승리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 2013 제 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안게임 한국대표선발전에서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LG-IM 1팀]]과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엔투스 Frost]]를 이기는 이변을 일으켰지만 준결승전에서 [[ahq Korea]]에게 패배했다. * 리그 예선에서 제닉스 스톰을 꺾는 등 나름 선전하는듯 보였지만 [[이엠텍 NLB Spring 2013]]의 최하위 리그인 골드리그도 통과하지 못하고 1, 2팀 모두 탈락함으로 결국 아무런 결과도 얻지 못한채 시즌을 마쳐야 했다. * [[빅파일 NLB Spring 2014]] 16강에서 일본리그 우승팀인 Rascal Jester와의 대진이 성사되었는데 2:0으로 승리하였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236&article_id=0000100147|#]] * [[2015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League 1]]에서 Ever를 꺾고 우승했다. * [[NAVER 2015 LoL KeSPA Cup]]에서 지각으로 인해 몰수패를 당했다! == 논란 == === VTG 시절 === * VTG의 코치(VTG coach)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먼저 인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지난 2013년 11월에 VTG 측에서는 분석가를 모집하였는데, 코치가 팀의 사정을 이유로 면접 일자를 임의로 바꿔버렸다. 문제는 이를 지원자들에게 통지를 하지 않은 것. 해당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인벤에 화제글로 등록되었다. 현재 어떤 해명도 없는 상태.[[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53&l=6352028|링크]] * 또한 코치는 다른 유저에 의해 저격을 받게 되고 다시 한 번 논란이 된다. 이번에는 대리랭크 의혹. 코치의 시즌 2 티어는 브론즈 3에 위치했는데, 시즌3에 갑작스럽게 다이아에 진입했다. 그런데 이 구간의 소환사 주문의 설정 위치가 그 전후 시기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이후에 랭크 게임은 단지 휴면으로 인한 강등을 막기 위해서 가끔 2인 듀오로만 하며, 최근에도 일반 게임만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역시 이번에도 본인 해명은 없다. 이번 사건도 인벤에 화제글로 올라왔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53&l=6355499|링크]] vtg mes 일베의혹 == 수상 기록 == ||<-5> '''{{{#white 우승 기록 }}}''' || ||<-5> '''{{{#gold 리그 오브 레전드 }}}''' || ||<-5> [[2015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League 1]] '''우승''' || || [[Winners]] || → || '''Dark Wolves''' || → || [[ESC Ever]] || == 둘러 보기 == [include(틀:CK 역대 우승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