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이비드 보위/앨범)] ||<-5><#000> [[데이비드 보위|[[파일:Bowie.jpg|width=110]][br]'''{{{#fff 데이비드 보위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6da6d9> {{{#FF2828 {{{-2 1973년 10월 19일}}}[br]{{{-2 7집}}} [[Pin Ups|{{{#FF2828 '''Pin Ups'''}}}]]}}} || → ||<#efba59> {{{#fff {{{-2 1974년 5월 24일}}}[br]{{{-2 8집}}} [[Diamond Dogs|{{{#fff '''Diamond Dogs'''}}}]]}}} || → ||<#000> {{{#fff {{{-2 1975년 3월 7일}}}[br]{{{-2 9집}}} [[Young Americans|{{{#fff '''{{{#!html Young Americans}}}'''}}}]]}}} || ||<-5><#efba59> '''{{{#fff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The Singles: 1969–1973, 전번_아티스트=카펜터즈, 이번_앨범=Diamond Dogs, 이번_아티스트=데이비드 보위, 1위_기간=4주 연속, 후번_앨범=The Singles: 1969–1973, 후번_아티스트=카펜터즈)]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447)]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995, 연도=2000)]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566)]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93)] ---- }}} || ||<-2><#efba59> '''{{{#fff {{{+1 Diamond Dog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4_diamonddogs.jpg|width=100%]]}}} || || '''발매일''' ||[[1974년]] 5월 24일 || || '''녹음일''' ||[[1974년]] 1월 - 2월 || || '''장르''' ||[[글램 록]], [[아트 록]] || || '''재생 시간''' ||38:25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데이비드 보위 || || '''스튜디오''' ||올림픽 스튜디오[br]아일랜드 스튜디오[br]루돌프 스튜디오 || || '''레이블''' ||[[RCA 레코드|[[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65]]]]|| [목차] [clearfix] == 개요 == [[데이비드 보위]]의 8번째 스튜디오 앨범. 1974년 5월 24일 발매되었다. 보위의 마지막 글램 록 앨범이다. == 상세 == [[지기 스타더스트]] 활동 이후 보위는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었는데, 대부분이 무산되었다. 그 중에는 [[조지 오웰]]의 [[1984(소설)|1984]]를 록 뮤지컬로 각색하려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조지 오웰의 미망인이였던 소니아 오웰이 판권 제공을 거부하면서 이루어질 수 없었다. 프로젝트가 엎어지자 분노한 보위는 [[윌리엄 S. 버로스]]의 기법에 영향을 받은 자신만의 종말론적 시나리오를 만들기로 하고, 무산된 프로젝트에서 만들어진 곡 몇 개를 건져 새 앨범을 만들기로 한다. 지기 스타더스트와 글램 록에 싫증이 난 보위는 할로윈 잭(Halloween Jack)이라는 새로운 페르소나를 만들어냈다. 할로윈 잭은 아이섀도우나 붉은 헤어스타일 등 지기와 닮은 면이 있었지만 화성에서 온 로큰롤 메시아라는 설정을 가진 지기와 달리 1984풍 디스토피아 도시에서 사는 쿨한 캐릭터라는 설정이다. 따라서 지기 시절의 백밴드인 화성에서 온 거미들을 해체하고 켄 스콧이나 믹 론슨과도 결별했다. 데뷔 초기 프로듀싱을 담당했던 토니 비스콘티를 불러오긴 했지만 현악 편곡만을 담당했고, 앨범 제작의 전체적인 과정은 보위 본인이 진두지휘했다. 앨범의 분위기는 글램 록의 그림자가 어느정도 남아있긴 하지만 더 강한 느낌의 [[개러지 록]]의 느낌이 나는 사운드로 바뀌었다. 일각에서는 훌륭한 [[프로토 펑크]] 앨범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R&B나 펑크(funk)같은 흑인 음악의 요소가 일부 묻어나기도 하는데, 흑인 음악에 대한 보위의 헌사는 다음 앨범 [[Young Americans]]로 이어진다. 지나치게 음울하고 극적인 면 때문에 발매 당시 호불호가 갈렸지만 전작에 이어 상업적인 흥행을 이어나갔다. 캐나다, 영국에서 1위, 미국 차트에서 5위를 차지했고 미국에서 50만 장 이상을 판매해 골드를 달성했다. 그 백미는 발매 직후 북미에서 이루어진 Diamond Dogs 투어인데, 20년대 독일 표현주의 미술에 영향을 받은 무대 연출, 보위의 압도적인 카리스마와 무대 장악력으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7월 10일에서 13일 분의 공연은 [[David Live]]라는 이름으로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1. Future Legend * 앨범을 시작하는 곡. 멸망 직전의 세상의 정경을 묘사하며 앞으로의 전개를 암시하는 나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 ---- {{{#fff {{{+2 '''Future Legend'''}}}}}} ---- And in the death 그리고 죽음 속에서 As the last few corpses lay rotting on the slimy thoroughfare 마지막 몇 구의 시체들이 진흙으로 뒤덥힌 도로 위에서 썩고 있을 때 The shutters lifted in inches in Temperance Building high on Poacher's Hill 포처스 힐 위에 위치한 템퍼런스 빌딩의 셔터가 살짝 들어 올려졌네 And red, mutant eyes gaze down on Hunger City 그리고 붉은 돌연변이 안광들은 헝거 시티를 내려다보고 있지 No more big wheels 최상위 포식자는 더 이상 없네 Fleas the size of rats sucked on rats the size of cats 쥐만한 벼룩들이 고양이만한 쥐들의 피를 빨았고 And ten thousand peoploids split into small tribes 그리고 만 명의 인간 비슷한 것들은 작은 부족을 이루며 살아갔네 Coveting the highest of the sterile skyscrapers 깨끗한 마천루의 꼭대기를 탐내며 Like packs of dogs assaulting the glass fronts of Love-Me Avenue 러브미 대로의 유리문 공격하는 개 무리처럼 Ripping and rewrapping mink and shiny silver fox, now legwarmers 이제는 발싸개가 되버린 밍크와 은빛 여우의 가죽을 찢고 다시 감으며 Family badge of sapphire and cracked emerald 사파이어와 금이 간 에메랄드로 만든 문장 Any day now 때는 바야흐로 The Year of the Diamond Dogs 다이아몬드 독스의 해 This ain't Rock'n'Roll 이건 로큰롤이 아니야 This is Genocide 이건 대량학살이야 ---- [[데이비드 보위|[[파일:bowie_logo.png|width=100]]]] || * 2. [[Diamond Dogs(노래)|Diamond Dogs]]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iamond Dogs(노래))] * 3. Sweet Thing * 4. Candidate * 5. Sweet Thing(Reprise) * 3번 트랙에서 5번 트랙까지는 모두 이어지는 구성이다. Diamond Dogs 앨범의 핵심 부분으로 평가받는다. 격정적이고 음울한 묘사가 극대화되는 장엄한 록 오페라 대곡으로 보위의 천재성을 엿볼 수 있는 부분. 후반부의 기타 솔로는 보위가 기타리스트로서도 훌륭한 연주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6. [[Rebel Rebel]] === Side B === * 1. Rock 'n' Roll with Me * 2. We are the Dead * 3. 1984 * 1984 프로젝트 당시 만들어졌던 곡. 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보위가 아닌 앨런 파커가 리드 기타를 연주했다. * 4. Big Brother * 위 트랙과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1984 프로젝트의 흔적이 보이는 곡. * 5. Chant of the Ever Circling Skeletal Family * Big Brother와 이어지는 곡이다. == 참여자 == * [[데이비드 보위]] - 리드 보컬, 배킹 보컬, 기타, 색소폰, 신디사이저, 멜로트론 * 마크 가슨 - 키보드 * 허비 플라워스 - 베이스 * 토니 뉴먼 - 드럼 * 앤슬리 던바 - 드럼 * 앨런 파커 - 기타 [[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1974년 음반]][[분류:글램 록]][[분류:아트 록]][[분류:데이비드 보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