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매직 더 개더링/확장판|Doctor Who]][[분류:닥터후]] [include(틀:매직 더 개더링의 확장판)] [목차] Doctor Who == 개요 == [[TCG]] [[매직 더 개더링]]의 확장판. 2023년 10월 13일에 테이블탑으로 발매되는 [[유니버스 비욘드|Universes Beyond]] 세트이며, 또한 커맨더 전용 세트다. 세트 이니셜은 WHO다. == 상세 == [[BBC]]의 [[SF]] [[드라마]] 시리즈 [[닥터후]]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발매된 세트. 사전 구성된(preconstructed) 커맨더 덱 4개와 컬렉터 부스터가 출시되었으며, 카드의 종류는 둘 모두 같지만(즉, 커맨더 덱 4개를 사면 닥터 후 세트의 모든 카드를 한 장씩 얻을 수 있지만), 부스터에서만 얻을 수 있는 타디스 프레임의 대체 삽화(alternative art) 카드들이 존재한다. 또한 닥터의 시공간 여행을 표현하기 위해 각 커맨더 덱마다 10장의 새로운 [[매직 더 개더링/특별 세트#Planechase|Planechase]]용 Plane 카드가 동봉된다. 컬렉터 부스터에서 나오는 타디스 프레임의 닥터 카드들은 한정된 개수의 'Serialized' 카드들이 존재한다. 이 카드의 총 장수가 특이한데, 보통은 500개, 250개 등 1의 자리 단위가 0으로 맞아떨어지게 출시되었지만 닥터들의 경우 1대 닥터는 시리얼 처리된 카드가 총 501장, 2대 닥터는 총 502장, ..., 13대 닥터는 513장이 있다. == 카드 일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매직 더 개더링/카드 일람/Doctor Who)] == 키워드 및 메커니즘 == === 생물 유형 === * '''Time Lord''' 매직 최초로 두 단어로 이루어졌으면서 중간에 띄어쓰기가 있는 생물 유형으로, 이러한 특징이 알려지자마자 많은 유저들의 반발을 샀다. 매직은 하위 유형을 기본적으로 띄어쓰기로 구분하는데, 기존에는 두 단어를 조합한 유형인 Assembly-Worker(조립공) 유형이 있었지만 -(하이픈)으로 두 단어를 연결하여 한 단어로 만들었기에 띄어쓰기로 하위 유형을 구분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Time Lord 유형은 띄어쓰기 때문에 Time과 Lord라는 두 가지의 유형을 가진 생물로 착각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Lord는 지금은 없어졌지만 옛날에는 존재하던 하위 유형이기도 하다. 유저들은 아마 이 세트가 타사 IP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이루어진 만큼 저작권 등의 문제가 얽혀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중이다. * '''Doctor''' 세트 이름이 '''닥터''' 후인 만큼 [[닥터(닥터후)|Doctor]] 유형 역시 등장한다. 모든 Doctor 유형의 카드들은 Time Lord 유형을 동시에 갖고 있다. * '''Cyberman''' [[사이버맨]]은 특정 개체 몇몇만이 카드로 등장하며, 카드를 뒷면 상태로 뒤집은 후 2/2 마법물체 생물로 만드는, Morph나 Manifest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들이 몇몇 존재하며 이렇게 뒤집어진 카드들이 Cyberman 유형을 얻는다. * '''Dalek''' [[달렉]] 역시 특정 개체 몇몇만이 카드로 등장하며, 호전적을 가진 3/3 흑색 마법물체 생물 토큰으로도 존재한다. 이 토큰은 [[데브로스]]를 비롯한 특정 카드들이 만들어낼 수 있다. * '''Detective''' [[야스민 칸]] 등 몇몇 카드가 가지고 있는 유형으로, 2024년 2월에 발매되는 정규 세트 [[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에서 재등장한다. * '''Alien''' [[Unset]]에서 먼저 등장했던 유형이 이터널 리걸이 된 케이스로, [[우는 천사]]를 비롯한 외계 종족들이 갖고 있는 유형이다. === 배경어 === 능력어(Ability Word)의 변형으로,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Warhammer 40,000(매직 더 개더링)|Warhammer 40k]] 커맨더 세트 등을 비롯한 [[유니버스 비욘드|Universes Beyond]] 세트들에 사용되었고 이후 계속 UB 세트에서 보이는 카드 메커닉이다. 닥터 후 세트에서도 역시 사용되어 카드의 몰입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 Doctor's Companion === >'''You can have two commanders if the other is the Doctor.''' ''(당신은 다른 쪽 커맨더가 Doctor라면 커맨더를 둘 가질 수 있다.)'' Partner를 약간 비튼 능력으로, 닥터와 컴패니언 조합이라면 커맨더를 두 장 쓸 수 있게 해준다. 닥터와 닥터, 컴패니언과 컴패니언 조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 역사적 === > '''마법물체와 전설적, 서사시가 역사적이다.''' '''Historic''' [[도미나리아]]에 등장했던 메커니즘으로, Blast from the Past 덱의 주요 메커니즘이다. === 시간 카운터 관련 메커니즘 === ==== 유예 / 소실 ==== > '''이 카드를 당신의 손에서 발동하는 대신, (마나 비용)을 지불하여 이 카드에 시간 카운터 X개를 올려놓고 추방할 수 있다. 당신의 유지단 시작에, 시간 카운터 한 개를 제거한다. 마지막 카운터가 제거됐을 때, 마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이 카드를 발동한다.''' > '''이 지속물은 시간 카운터 X개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온다. 당신의 유지단 시작에, 이 지속물에서 시간 카운터 한 개를 제거한다. 마지막 카운터가 제거될 때, 이 지속물을 희생한다.''' '''Suspend / Vanishing''' 두 키워드 모두 시간 카운터(Time Counter)를 참조하며, Timey-Wimey 덱의 주요 메커니즘. ==== Time Travel ==== > '''For each suspended card you own and each permanent you control with a time counter on it, you may add or remove a time counter.''' ''(당신이 소유한 유예된 각 카드 및 당신이 조종하는 시간 카운터가 올려져 있는 각 지속물마다, 당신은 시간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거나 제거할 수 있다. )'' 유예 및 소실을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추가된 키워드 행동. Time Travel을 하면서, '내가 조종하는 지속물' 및 '내가 소유한 추방 영역의 카드' 중 시간 카운터를 가진 각 대상마다 시간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전자는 소실에, 후자는 유예에 대응되어, 유예된 카드를 더 빨리 발동하거나 소실 키워드를 가진 지속물의 희생 타이밍을 늦추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 능력어: Paradox === > '''Whenever you cast a spell from anywhere other than your hand ...''' ''(당신이 당신의 손이 아닌 다른 곳에서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 Paradox Power 덱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칼드하임|예고]], 연쇄 등으로 추방 영역에서 주문을 발동한다거나, 무덤, 또는 덱 맨 위 등 핸드에서 발동하지 않으면 추가적인 보너스를 주는 것을 나타낸 능력어. === Face a villainous choice === > '''Face a villainous choice - [option 1], or [option 2].''' ''([선택지 1]을 하거나, [선택지 2]를 한다.)'' 상대(또는 상대들)에게 선택지를 강요하는 능력으로, 전자는 상대에게 손해를 강요하는 선택지, 후자는 본인에게 이득을 안겨줘야하는 선택지로 구성되어 있다. Masters of Evil 덱의 주요 메커니즘. === 서사시 === >'''(이 서서시가 전장에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Saga''' [[도미나리아]]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많은 정규 세트에 출시된 부여마법의 한 종류로, 이번 세트에서는 닥터 후의 유명 에피소드들 중 일부를 서사시 카드로 구현하였다. 네 가지 커맨더 덱에 모두 공통적으로 포함된 메커니즘. == 커맨더 덱 == === Blast from the Past === * '''닥터''' * [[1대 닥터]] * [[2대 닥터]] * [[3대 닥터]] * [[4대 닥터]]: 덱의 메인 커맨더. * [[5대 닥터]] * [[6대 닥터]] * [[7대 닥터]] * [[8대 닥터]] * '''닥터의 컴패니언 및 기타 등장인물''' * [[사라 제인 스미스]]: 덱의 메인 커맨더. * [[에이스(닥터후)|에이스]] * [[아드릭]] * [[앨리스터 고든 레스브리지-스튜어트]] * [[바바라 라이트]] * [[이언 체스터턴]] * [[제이미 매크리먼]] * [[조 그랜트]] * [[K9(닥터후)|K-9]] 마크 I * [[릴라(닥터후)|릴라]] * [[네사]] * [[페리 브라운]] * [[2대 로마나]] * [[존 벤튼]] * [[수전 포어먼]] * [[테간 조반카]] === Timey-Wimey === * '''닥터''' * [[전쟁의 닥터]] * [[9대 닥터]] * [[10대 닥터]]: 덱의 메인 커맨더. * [[11대 닥터]] * '''닥터의 컴패니언 및 기타 등장인물''' * [[로즈 타일러]]: 덱의 메인 커맨더. * [[에이미 폰드]] * [[Voyage of the Damned|아스트리드 페스]] * [[도나 노블]] * [[이드리스#닥터후의 등장인물]] * [[제니(닥터후)|제니]] * [[케이트 스튜어트]] * [[마사 존스]] * [[로리 윌리엄스]] * [[샐리 스패로우]] * [[보의 얼굴]] * [[윌프레드 모트]] === Masters of Evil === * '''등장인물''' * [[데브로스]]: 덱의 메인 커맨더. * [[사이버맨/계보#몬다스 사이버맨|아샤드]] * [[스카로 교단]] * [[미시(닥터후)|미시]] * [[라실론]] * [[사이버맨/계보#사이버 컨트롤러/킹|사이버 컨트롤러]] * [[달렉 황제]] * [[마스터(닥터후)|마스터]] * [[레니(닥터후)|레니]] * [[발리야드]] * [[비즈롤 터로우]] === Paradox Power === * '''닥터''' * [[12대 닥터]] * [[13대 닥터]]: 덱의 메인 커맨더. * [[도망자 닥터]] * '''닥터의 컴패니언 및 기타 등장인물''' * [[야스민 칸]]: 덱의 메인 커맨더. * [[빌 포츠]] * [[클라라 오스왈드]] * [[댄 루이스]] * [[대니 핑크]] * [[그레이엄 오브라이언]] * [[아이스 워리어|이락사]] * [[제니 플린트]] * [[카바니스타]] * [[바스트라]] * [[아쉴다|나]] * [[나돌]] * [[오스굿]] * [[리버 송]] * [[라이언 싱클레어]] * [[스트랙스]] == [[매직 더 개더링/제품#Secret Lair|Secret Lair Drop]] == === Secret Lair × Doctor Who: [[달렉|Dalek]] Lands === 달렉이 그려진 [[칼라데시의 2색 대지|상극색 패스트 랜드]] 5종. === Secret Lair × Doctor Who: [[우는 천사|Weeping Angels]] === 매직의 각종 천사 카드들을 우는 천사 일러스트 버전으로 다시 찍어 판매했다. === Secret Lair × Doctor Who: [[재생성|Regeneration]] === 이들은 시크릿 레어로 판매된 달렉 대지/우는 천사와 달리 신규 Universes Beyond 카드들이다. * '''닥터''' * [[14대 닥터]] * [[15대 닥터]] * '''그 외 등장인물''' * [[로즈 노블]] * [[비프 더 미프]] * [[토이메이커#The Celestial Toymaker (천상의 장난감장이)|토이메이커]] == 기타 == 전쟁의 닥터와 도망자 닥터를 제외한 모든 닥터 카드는 청색이 포함된 2색인데, 이는 매직에서 청색이 [[Time Walk]]나 [[Timetwister]]와 같이 시간을 다루는 색상인 만큼 의도적으로 디자인한 사항이다. 또한 매직에서 보통 '악함'을 다룰 때 많이 사용하는 흑색은 닥터와 그들의 컴패니언 카드들의 색상에서 배제되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커맨더 게임 방식은 덱을 구성 할 때 카드의 색 정체성[* 카드의 색상을 넘어, 텍스트 란의 활성화능력 비용 등의 색상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커맨더(매직 더 개더링)]] 문서에 더 자세한 설명이 적혀있다.]이 '커맨더'로 지정한 카드의 색 정체성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닥터들의 색 정체성은 흑색을 제외한 4색 중 청색을 포함한 두 가지 색상이고 컴패니언 역시 흑색을 제외한[* 엄밀하게는 내가 커맨더로 사용하면 게임 시작 전 색을 고르고 그 색이 되는 '클라라 오스왈드' 카드가 있어 흑색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 나머지 색상의 단색 카드들이기 때문에 닥터와 컴패니언으로 커맨더를 구성해도 4색을 채울 수 없어 모든 닥터들을 한 덱에 넣으려면 아이러니하게도 닥터를 커맨더로 사용할 수 없었는데, 시크릿 레어로 발매된 14대 닥터가 닥터들의 색인 백청흑녹을 전부 갖고 있어 닥터를 커맨더로 쓰는 닥터 종족 덱을 짜는 것이 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