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2차 창작]] [include(틀:상위 문서, top1=Dr. Robotnik's Ring Racers)] [목차] == 개요 == [[닥터 로보트닉의 링 레이서]]의 발매 전 정보를 정리하는 문서. == 엔진 == * [[SRB2]] 버전 2.2 기반으로 바뀐다. * 새로운 하드웨어 렌더러가 개발된다고 한다. OpenGL은 전작보다도 호환성이 나빠져 현재 플레이만 가능한 수준이라고. 만약 완성된다면 본래 주 렌더러의 자리를 꿰차고 소프트웨어 렌더러를 사용만 가능한 수준으로 내려버리거나 '''아예 게임에서 없앨 예정'''이라고 한다. == 인게임 시스템 == * [[링(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링]] 시스템이 추가된다. [[마리오 카트]]의 코인처럼 트랙에 놓여져 있고 아이템 박스에서 얻을 수 있으며, 최대 20개까지 모을 수 있다. 아이템이 없을 시 아이템 버튼을 홀드해 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면 효과가 확실히 느껴질 정도의 부스트를 얻는다. 플레이어들끼리 부딪히거나 대미지를 입으면 일정량 떨어뜨리며, 링 카운트는 대미지를 입어 계속 잃을 경우 -20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링이 음수로 내려가면 머리 위에 !가 표시된다. * 점프 액션 시스템이 추가된다. 의도했건 아니건 초대작의 어드밴스 트릭 모드와 비슷해 보이며, 스프링이나 풍선같은 점프 액션을 발동시키는 오브젝트에 의해 공중에 뜨면 두 반원 표시가 화면 밖에서 중앙으로 날아오는데, 이때 앞, 뒤, 좌우를 입력해서 각각 포워드 대시, 업워드 리프, 수평 스핀 킥을 발동시킬 수 있다. 포워드 대시는 앞으로 빠르게 대시하며, 업워드 리프는 속도를 늦추고 높게 점프하며, 수평 스핀 킥은 입력한 방향으로 빠르게 대시한다. 액션은 언제든 입력할 수 있지만 입력한 타이밍이 두 반원이 원에 가까워지는 타이밍과 가까울 수록 완벽한 액션을 취한다. 만약 액션을 하지 않을 경우 스핀한다. * [[스핀 대시]] 시스템이 추가된다. 거의 멈춘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길게 채울 경우 이전의 스타트 대시와 맞먹는 위력을 내뿜는다. * '''출발 시스템이 완전히 바뀌었다.''' 레이스 시작 시 POSITION!! 이라는 문구가 반짝거리면서 정해진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포지션 시간은 맵과 플레이어 수마다 다르며, 포지션 시간이 끝나면 익숙한 3초 카운트가 시작된다. 카운트다운이 끝나기 전에 스타트 라인을 넘어 부정출발도 시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리스폰 딜레이에 걸려 있어야 한다. 자발적이지 않았더라도 부정출발로 간주되기 때문에 일부러 다른 플레이어를 밀쳐 부정출발을 시킬 수도 있다. 고정된 스타트 위치가 없다 보니 스타트 대시도 사라졌으며, 이는 스핀 대시로 대체되었다. * 스타트 라인도 바뀌었는데, 포지션 시간 동안 빛나는 파티클 빔이 표시된다. 끝나면 이전과 동일. * 부스트 스태킹 시스템이 추가된다. 스니커나 부스트 패드 등 여러 부스트를 한번에 받을 시 겹친 만큼 계속 속도가 올라간다. 부스트 스태킹을 얼마나 받았는지는 플레이어 뒤의 잔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테더링 시스템이 추가된다. [[슬립스트림]]과 비슷하게 상대 뒤에 계속 붙어 있으면 테더가 형성되며, 부스트를 얻는다. 테더는 거리가 멀수록 빨간색, 거리가 가까울수록 파란색이 된다. 실제 테더링 효과가 일어나기까지의 시간이나 거리 등은 캐릭터의 스탯에 기반한다. * 상대가 뒤 보기로 자신을 쳐다볼 경우, 하얀색 테더가 형성된다. * 히트랙 시스템이 추가된다. 대부분의 대미지를 입으면 어느정도의 히트랙을 받으며, 히트랙이 끝나면 여전히 날아간다. * 또한 히트랙이 있는 대미지를 입었을 경우 무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테크닉#s-1.3.3|DI]]도 할 수 있다.''' * 텀블링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대미지가 추가된다. 예전의 수직 을 축으로 빙빙 돌던 스핀아웃과 달리 수평을 축으로 빙빙 돌며 통통 튕기며, 꽤나 오래 튕긴다. * 트랙에 캡슐이 추가된다. 전의 아이템 박스와는 다른 오브젝트이고, 아이템이 들은 빨간 캡슐과 링이 들은 노란 캡슐이 있다. 언제나 같은 아이템이 들어있으며, 꺼낸 아이템은 바로 쓸 수 있다. * 적당히 빠른 속도로 물에 달려들 경우 물 위에 떠서 달릴 수 있다. 속도가 느리면 예전처럼 물에 두 번 물수제비하는 건 똑같다. * 드리프트 미니 터보 컬러의 순서가 주황-파랑-보라(무지개?) 순으로 바뀌었다. * “압사”[* 바닥과 천장이 플레이어의 높이보다 낮아지거나 빅 아이템을 사용한 상대에 접촉할 시 나타나는 상태.] 상태가 사라진다. 플레이어가 전과 같은 상황에 처할 경우 그냥 [[폭사|폭발]](...)하고 리스폰하며, 빅의 경우는 특수한 텀블링 상태로 대체된다. == 아이템 == * [[소닉 3]]의 버블 실드가 추가된다. 장착한 상태로 상대와 부딪히면 상대를 튕겨내며, 아이템 버튼을 홀드해 크게 부풀릴 수도 있다. 쿨타임이 있으며, 너무 크게 부풀릴 경우에는 앞으로 튕겨나가며 트랩이 된다. 이 트랩에 들어갈 경우 느린 속도로 계속 뜨며, 좌우로 흔들어 나올 수 있다. * [[소닉 3]]의 플레임 실드가 추가된다. 상대와의 거리가 어떻든 테더링을 할 수 있으며, 아이템 버튼을 홀드하면 빠르게 대시할 수 있다. * 새로운 종류의 마인이 추가된다. [[소닉 붐]]의 마인과 닮았으며, 차이점은 빨간 띠가 파란색이라는 것 정도. 맞으면 원래 마인처럼 제자리에 멈춰서 스핀하는 대신 가던 방향 그대로 텀블링한다. * 자소폭탄이 타겟을 쫓을 때 [[가시돌이등껍질]]처럼 트랙을 달려서 쫓게 되었다. 타겟을 쫓는 중엔 자소폭탄 뒤에 링 트레일이 발생한다. 또한 자소폭탄에게 쫓기는 중엔 '''링 획득이 금지된다.''' * 죠즈가 턴을 조금 더 샤프하고 빠르게 돈다. 인데브 및 테스터 GIF에 따르면 타겟 가까이 다가가다가 자신을 맞히는 일도 더 쉬워진 듯 하다.(...) * 빅의 최고 속도 부스트 이펙트가 삭제된다. 즉 이제 그냥 커지기만 하고 상대를 날려 버리기만 하는 아이템이 된 셈. 또한 더이상 아이템 슬롯을 계속 차지하지 않는다. == 맵 == * 대부분의 버전 1 맵은 모두 돌아온다. * 모든 마리오 카트 맵이 사라진다. 또한 닌텐도 게임의 음악을 사용하던 맵(블루 마운틴 등)은 모두 음악이 교체된다. * '''헬 맵 기능이 사라진다.''' * 컵당 맵은 똑같이 5개이다. * 현재까지 확정된 레이스 맵만 해도 140개이며, 현재 개발 중인 세 번째 컵 리스트까지 추가하면 무려 '''210개'''이다. * 신규 맵이 대거 추가된다. 일부는 초대작 발매 이후에 개발팀이 합류한 멤버들의 커뮤니티 맵들. * 추가가 확정된 맵: 엄브렐라 러시윈드, 존드 시티, 다크 포트리스, 조이폴리스, 마블 가든, 엔젤 애로우, 어퓰렌스, 클라우드탑 스파이어, 그 외 다수. == 캐릭터 == * 보너스 캐릭터는 애드온 대신 처음부터 게임에 들어 있고, 수가 대폭 늘어나서 바닐라 캐릭터들만으로 모든 스탯(81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작과 같이 보너스 캐릭터의 일부는 전작의 커스텀 캐릭터들이거나 타 아티스트가 제작한 것이다. * 캐릭터 선택 화면이 좌우 스크롤 대신 스탯 그리드에서 커서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식으로 바뀌었으며, 로컬 플레이어가 여러명이여도 한번에 모두 고를 수 있도록 바뀌었다. * 캐릭터들끼리 스탯이 겹칠 경우, 원래 먼저 그 스탯을 차지하는 캐릭터를 선택한 다음 선택해야 한다. * 추가가 확정된 캐릭터: [[다이너마이트 헤디|헤디]], [[돌고래 에코|에코]] == 그래픽/UI == * 캐릭터가 수직으로 계속 이동할 경우 스프라이트가 위아래로 늘어나고 찌그러진다. * 캐릭터가 밟고 있는 바닥의 경사에 따라 스프라이트가 좌우로 회전한다. * 레이싱 인트로 화면이 달라졌다. * 중형 폰트가 좀 더 깔끔해졌다. == 그 외 == * 마이 카드[* 모티브는 [[마스터 시스템]]의 세가 마이 카드.] 기능이 추가된다. 프로필 기능을 하며 자신의 디폴트 캐릭터, 컬러, 이름, 디스플레이용 이름 등을 정할 수 있다. * 초당 프레임 증가 기능이 추가된다.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2차 창작]][[분류:공개 전 정보(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