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43)] ||<-2><#ffffff> '''{{{+1 Dreams}}}'''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1737163-1335199417.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다른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the-cranberries-dreams-2nd-uk-7-inch-vinyl-single-is594-33513_1000x992.webp|width=100%]]}}}}}}}}} || || '''싱글 발매일''' ||[[1992년]] [[9월 8일]] || || '''싱글 B면''' ||[[https://www.youtube.com/watch?v=sVRmMYcOe6M|What You Were]][br][[https://www.youtube.com/watch?v=_xZ74POZWe8|Liar]]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3D68; background: #000000; font-size: .8em" [[Everybody Else Is Doing It, So Why Can't We?|{{{#fefee1 '''Everybody Else Is Doing It, So Why Can't We?'''}}}]]}}}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드림 팝]] || || '''재생 시간''' ||4분 02초 {{{-1 (미국 라디오 버전)}}} [br] 4분 15초 {{{-1 (영국 라디오 버전)}}}} [br] 4분 32초 {{{-1 (앨범 버전)}}} || || '''송라이터''' ||돌로레스 오리어던, 노엘 호건 || || '''프로듀서''' ||스티븐 스트리트 || ||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아일랜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일랜드의 록 밴드 [[크랜베리스]]의 데뷔 싱글. == 특징 == 크랜베리스의 보컬 돌로레스 오리어던과 리드 기타리스트 노엘 호건이 공동으로 작사, 작곡한 노래이다. 밝고 희망찬 사랑 노래이며, [[드림 팝]]의 영향을 받은 곡이다. 돌로레스는 [[https://www.songfacts.com/blog/interviews/dolores-oriordan-of-the-cranberries|인터뷰]]에서 이 노래에 대해 "제가 [[아일랜드]]에 살 때 [[첫사랑]]에 대해 쓴 노래입니다. 처음으로 진정으로 사랑에 빠졌다는 느낌을 표현한 노래입니다"라고 말했으며, 노엘은 "〈Dreams〉는 초기 곡들 중 하나입니다. 아마도 네 번째나 다섯 번째 노래입니다. 이 노래는 우리가 생각해낸 매우 간단한 곡이었고, 정말 빨리 완성했습니다"라고 말했다. [[http://cranberriesworld.com/music/song-list-a-z/dreams-2/|#]] 크랜베리스의 드러머 퍼걸 롤러는 [[http://cranberriesworld.com/music/song-list-a-z/dreams-2/|인터뷰]]에서 "이 노래를 만들 때, 노엘이 코드를 가져왔고, 노래가 시작되자마자, 저는 이것은 다르다고 말했습니다. 데모[* 이 데모 버전은 1990년에 녹음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GR7c-hItCw|듣기]]]는 앨범에 수록된 것과 크게 다르지 않고, 앨범 버전은 약간 더 팝적이고, 조금 더 업템포적입니다. 그 무렵 우리는 [[피터 가브리엘]]의 〈Passion〉 앨범과 많은 월드 뮤직을 듣고 있었습니다. 그게 확실히 이 노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라고 말했다. 본작의 프로듀서 스티븐 스트리트[* [[더 스미스]]의 후기 앨범 프로듀싱을 맡았던 프로듀서다.]는 "진정한 [[아일랜드어]]적인 반전이 있는 정말 좋은 노래"라고 평했다. [[https://www.udiscovermusic.com/stories/best-cranberries-songs-20-essential-tracks/|#]] 이 노래는 1992년 9월 28일 데뷔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1993년 3월에 발매한 데뷔 앨범 〈[[Everybody Else Is Doing It, So Why Can't We?]]〉에도 수록되었다. 싱글 발매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1994년에 다시 재발매되어 어느 정도 히트를 기록했다.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42위를 기록했고,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는 27위를 기록했으며, 캐나다 차트에서는 27위, 호주 차트에서는 30위를 기록했다. 특히 본국인 아일랜드 차트에서는 9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평론가들에게 많은 호평을 받은 노래이다. 음악지 [[https://www.spin.com/2018/01/cranberries-dreams-perfect-song-dolores-oriordan/|스핀 매거진]]은 "완벽한 록 송"이라고 평했고, [[https://www.billboard.com/music/rock/the-cranberries-dreams-best-song-dolores-oriordan-8094289/|빌보드]]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중 하나. 놀랍도록 풍부한 사랑 노래"라고 평했다. [[피치포크]]는 "당신의 뱃속에서 나는 나비의 감각을 구체화한 노래. 궁극적으로 그 행복감은 말로 표현하기에는 너무 크다. 돌로레스는 격렬한 [[요들]]을 내뿜으며 목을 하늘로 벌리고 그 설렘을 쏟아낸다"라고 평하며, 본작을 [[https://pitchfork.com/features/lists-and-guides/the-best-songs-of-the-1990s/|1990년대 최고의 노래 중 하나]]로 선정했다.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노래인데, 많은 가수들이 커버해서 커버곡들이 다수 존재하며, 각종 미디어 매체[* 〈[[중경삼림]]〉, 〈[[미션 임파서블]]〉, 〈[[유브 갓 메일]]〉, 〈[[보이즈 온 더 사이드]]〉, 〈마이 소 콜드 라이프〉, 〈[[데리 걸스]]〉, 〈[[마담 웹(영화)|마담 웹]]〉 등 수많은 작품에 삽입되었다.]에서 굉장히 많이 삽입되고 있는 노래 이기도 하다. 노엘 호건은 [[https://www.telegraph.co.uk/music/artists/cranberries-interview-no-way-ever-try-replace-dolores/|인터뷰]]에서 이에 대해 "돌로레스가 세상을 떠났을 때 〈Linger〉와 〈Dreams〉 같은 노래가 다시 널리 퍼지게 되었고, 저는 이 노래들이 6개월 전에 녹음될 수 있었던 것처럼 들린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라고 말했다. == 영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ezuFrHm8f0, 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PKuNJHM2ig, width=100%)]}}} || ||<-2><#ffffff> {{{#001C39 '''앨범 버전'''}}} ||<#ffffff> {{{#001C39 '''어쿠스틱 버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am5uK6e-bQ)]}}}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Aab9gufGW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6H9XkqlBQ0c)]}}} || ||<-2><#ffffff> {{{#001C39 '''뮤직비디오 (피터 스캠멜 연출)'''}}} ||<#ffffff> {{{#001C39 '''뮤직비디오 (존 메이버리 연출)'''}}} ||<#ffffff> {{{#001C39 '''뮤직비디오 (니코스 솔타나키 연출)'''}}} || [[뮤직비디오]]가 세 개나 존재하며, 각 버전마다 감독이 다르다. 존 메이버리가 연출한 뮤직비디오는 [[MTV]] 방송 〈120 Minutes〉에서 많이 틀어줬다고 한다. == 가사 == || ---- {{{+2 '''Dreams'''}}} ---- Oh, my life 오 나의 삶은 Is changin' every day 매일마다 변하고 있어요 In every possible way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길로 And oh, my dreams 그리고 오 내 꿈은 It's never quite as it seems 항상 보기와는 달랐죠 Never quite as it seems 항상 보기와는 달랐죠 I know I've felt like this before 전에도 이렇게 느낀적이 있어요 But now I'm feelin' it even more 하지만 지금은 더한 기분이예요 Because it came from you 당신이 그 이유이기에 Then I open up and see 그리고 난 깨닫게되죠 The person falling here is me 여기서 빠지는 사람이 나라는 걸 A different way to be 생각과는 다르다는걸 Ah La-ah-ya-ah La-ya-ya La-ah-ya-ah Ya-ah, ah, ah I want more 난 좀더 원해요 Impossible to ignore 무시할 수 없어요 Impossible to ignore 무시할 수 없어요 And they'll come true 그건 현실이 될거예요 Impossible not to do 그렇지 않다는 걸 불가능해요 Impossible not to do 그렇지 않다는 걸 불가능해요 And now I tell you openly 이젠 솔직하게 말해줄게요 You have my heart, so don't hurt me 당신은 내 마음을 가졌으니 날 아프게하지 마세요 You're what I couldn't find 당신은 내가 찾을 수 없었던 거예요 Totally amazing mind 놀랍기만 한 그 마음 So understanding and so kind 너무나 이해심있고 친절한 You're everything to me 당신은 나의 전부에요 Oh, my life 오 나의 삶은 Is changin' every day 매일마다 변하고 있어요 In every possible way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길로 And oh, my dreams 그리고 오 내 꿈은 It's never quite as it seems 항상 보기와는 달랐죠 'Cause you're a dream to me, dream to me 당신은 나에게 꿈이기에, 나에게 꿈이기에 Ah, la-a-la-ah, la la la La-a-la-ah, la-ah ah ah Ah, la-a-la-ah, la la la La-a-la-ah, la-ah ah ah ---- [[파일:Cranberries_logo.png|width=170]] || == 커버 == === [[왕페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75keT6Tm_g, 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RPqycqglXA, width=100%)]}}} || ||<-2><#ffffff> {{{#001C39 '''광둥어 버전 〈夢中人〉'''}}} ||<#ffffff> {{{#001C39 '''보통화 버전 〈掙脫〉'''}}} || [[홍콩]]의 가수 겸 배우 [[왕페이]]가 커버했다. 커버곡의 제목은 〈夢中人(몽중인)〉. 이 노래는 1994년 6월 29일에 발매한 왕페이의 광둥어 앨범 〈胡思亂想〉에 수록되었다. 또한 1994년 11월 10일 발매한 보통화 앨범 '天空'에도 이 노래를 수록했다. 이 커버곡은 [[왕가위]] 연출의 1994년작 영화 〈[[중경삼림]]〉에 수록되었다. 영화 결말의 여운 속에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면서 흘러나온다. 〈중경삼림〉이 크게 성공하고, 노래도 좋은 평가를 받아서 1995년 6월 25일에는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지금까지도 아시아권에서는 원곡보다 이 커버곡이 인지도가 더 높다. 또한 왕페이의 커버곡이 큰 인기를 얻자, 크랜베리스의 중화권 인기도 크게 올라갔다고 한다. 크랜베리스의 기타리스트 노엘 호건은 [[https://lwlies.com/articles/chungking-express-soundtrack-faye-wong-the-cranberries-cocteau-twins/|인터뷰]]에서 "중국에서 우리의 인기가 상당부분 〈Dreams〉 덕분인 것 같아요. 그런 영화는 딱 한 편이면 됩니다. 그러면 문이 열립니다"라고 말했다. === 기타 === * 2001년 영국의 일렉트로닉 듀오 다리오 G가 [[https://www.youtube.com/watch?v=pegDpYc1KIc|커버]]했다. 이 커버곡은 루마니아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고, 오스트리아, 독일, 영국에서 TOP 10 히트를 기록했다. * 2018년 [[재패니즈 브렉퍼스트]]가 피치포크 페스티벌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unwRWGr-JWY|커버]]했다. * 2018년 [[더 보이스]] UK 참가자 루티 올라주그바그베가 [[https://www.youtube.com/watch?v=LXyNqXgcUMc|커버]]했다. 루티는 이 노래로 결승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커버곡은 싱글로도 발매되어 영국 차트에서 14위를 기록했다. * 2018년 미국 가수 리자 앤이 [[https://www.youtube.com/watch?v=S25V4f41q0o|커버]]했다. 이 커버곡은 영화 〈[[애프터썬]]〉의 예고편에 삽입되었다. * 2020년 [[펜타토닉스]]가 [[https://www.youtube.com/watch?v=oY0RvTVp5i0|커버]]했다. 이 커버곡은 펜타토닉스의 앨범 〈At Home〉에 수록되었다. * 2020년 아일랜드 가수 앨리 셜록이 [[https://www.youtube.com/watch?v=5UuPW5qaZek|커버]]했다. * 2020년 아일랜드 그룹 Irish Women In Harmony가 [[https://www.youtube.com/watch?v=Jv4MYqzg-P4|커버]]했다. [[코로나 19]] 펜데믹 기간 동안 자선 단체를 돕기 위해 녹음했다고 한다. * 2023년 미국 가수 제이다 파서가 [[https://www.youtube.com/watch?v=CmyT8wsJ_jc|커버]]했다. * 2023년 [[파라모어]]가 더블린 콘서트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3msNbis3GRE|커버]]했다. [[분류:1992년 노래]][[분류:1992년 싱글]][[분류:데뷔 싱글]][[분류:아일랜드의 록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드림 팝]][[분류:영화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