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2014년 출시]][[분류:JR 동일본]] ||<-3>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8900 '''JR 동일본 {{{+1 E129계 전동차}}}'''[br]{{{-1 JR 東日本 }}} E129系 電車 [br]{{{-1 JR East}}} E129 series (EMU) }}} ||}}}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JRE_E129_A5.jpg|width=100%]] || ||<-3> {{{#008900 외부}}}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근교형 전동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급전 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제어 방식 ||<-2> 도요전기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인버터 제어 || || 영업 속도 ||<-2> 110km/h || || 영업 최고 속도 ||<-2> 110km/h || || 설계 최고 속도 ||<-2> 120km/h || || 신호 방식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Ps, ATS-P]] || || 제작 회사 ||<-2> [[종합차량제작소|[[파일:JTREC.svg|width=130]]]] || || 도입 연도 ||<-2> 2014년 ~ 생산 중 || || 동력 장치 ||<-2> 농형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전장 ||<-2> 20,000mm || || 전폭 ||<-2> 2,966mm || || 전고 ||<-2> 3,985 mm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4년에 영업운전을 개시한 JR 동일본의 직류 근교형 전동차. 2014년까지 니가타지사에서 운행되고 있었던 보통열차의 주력차종은 [[115계 전동차]]로, 제조 50년이 경과한 차량도 존재했다.--자랑이다-- --[[JR 서일본|누구]] 못지 않네-- 일부는 리뉴얼 개조를 받았지만, [[똥차|워낙에 오래된]] [[도큐 8500계 전동차|차량]]이라 차량의 노후화는 걷잡을 수 없이 진행되었다. 또한 2015년 3월에 [[호쿠리쿠 신칸센]]의 나가노역 - 가나자와역 사이에 호쿠리쿠 신칸센 개업에 따라 병행 재래선의 니가타 현 구간에 해당하는 [[신에츠 본선]] 의 묘코고원-나오에츠 사이가 [[제3섹터]] 회사로 설립된 [[에치고 토키메키 철도]]에 이관되어, JR동일본에서 당시 니가타지사 관내에서 운용되고 있었던 E127계 12편성[* 원래는 13편성을 도입했으나, 2008년 사고로 1편성이 폐차되었다.] 중 10편성을 양도해서 차량이 부족하게 되었다.~~생각좀 하고 양도하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sustina]]를 기반으로 센다이 지사 관내에서 운행되는 [[E721계 전동차|E721계]]와 같은 짧은 편성 시설과 내한/내설구조를 채용해, 니가타 지역의 실정에 맞춘 니가타 지사를 위한 신형 차량으로 개발이 된것이다. 또한 [[E127계 전동차|E127계]] 등의 다른 형식의 병결은 긴급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고려되지 않는다. 이 계열의 모든 차량의 제작은 니가타 시에 소재한 [[종합차량제작소]] 니이츠 사업소에서 제작했다. 즉, 니가타 지역에서 다닐 전동차를 니가타 지역에서 제조했다. 니가타 차량센터와 니츠역 구간은 13km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JR화물을 빌리지 않고 자사의 전기기관차를 이용하여 갑종회송하였다. == 형식 == 2량 편성의 100번대(A편성)와 4량 편성의 0번대(B편성)가 있다. 1량 내에 동력 대차와 무동력 대차가 모두 존재하는 0.5M/0.5T 구조가 적용되어 있으며, 따라서 모든 차량이 동력차이나 실제 MT비는 1:1이다. === 0번대(B편성) === 0번대의 이름을 달고 있지만, 100번대보다 늦게 제작되었다. 이는 아까 말했던 [[에치고 토키메키 철도]]로의 [[E127계 전동차|E127계]] 양도로 인해 2량 편성 열차들이 부족해졌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차량 제작이 시급했기 때문이었다. 어쨌든 총 25편성 100량이 제조되어 2016년 1월부터 투입되고 있다. === 100번대(A편성) === 우선 2량편성의 100번대가 생산되었고 [[2014년]]부터 [[2016년]] 초에 걸쳐 총 30편성 60량이 제조되었다. [[종합차량제작소]]의 차세대 스테인리스 차량 플랫폼인 [[sustina]]가 적용된 최초의 양산차이기도 하다. 특히 2량편성의 A편성은 1인승무에 대응하기도 하므로 [[신에츠 본선]], [[하쿠신선]], [[에치고선]], [[야히코선]], [[조에츠선]] 일부 열차의 경우 1인승무 운전을 실시하고 있으며 1인승무 운전 대응기기도 갖추고 있다. 특히 미나카미~미야우치 구간의 죠에츠선 구간은 신형 신호체계인 ATS-P가 설치되어서 구형 신호체계가 장비된 [[115계]]는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전량 E129계로 교체된 상황이다. 2019년 기준으로 니가타 지사 내 일반 열차의 80%는 이 차량으로 교체되었으며, 추가 투입을 진행하여 남아있는 [[115계 전동차]], [[E127계 전동차]]도 몰아냈다. === [[시나노 철도]] SR1계 === [[파일:SR1系 100番台.jpg]] [[https://www.shinanorailway.co.jp/sr1/|홍보 홈페이지]] 시나노 철도에서도 구형 [[115계 전동차]]를 대체할 목적으로 2020년부터 2027년까지 도입중인 차량. 2020년 7월 4일부터 영업운전을 시작했다. 2량편성. 특별차량의 경우 수도권 대형 사철에서나 볼 수 있던 롱시트-크로스시트 전환좌석을 채용, 유료열차(시나노 선라이즈, 시나노 선셋, 가루이자와 리조트) 운행시에는 크로스시트로, 보통열차 운행시에는 롱시트로 운행한다. 이후 일반열차용 일반차량이 2021년 도입되었다. 원래 총 23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나 적자로 [[시나노 철도선]]이 대량 감편되며 20편성으로 예정이 줄었다. 차번은 쿠모하(クモハ) SR111, SR112-100(특별차량), 200/300(일반차량)번대이다. 승강촉진 방송 멜로디는 [[시나노노쿠니]]의 마지막 부분을 사용한다. == 운용 == 2014년 12월 6일부터 2량 편성이 [[신에츠 본선]]의 나가오카역 - 니가타역 사이, 하쿠신선 및 [[우에츠 본선]] 니가타역 - 시바타역 - 무라카미역 사이, 에치고선의 요시다역 - 니가타역간 운영을 시작했다. 운용 형태는 2량 단독열차(주로 원맨 운전 열차로 투입), 4량 단독열차, 2+2, 2+4, 2+2+2 병결열차 등으로 다채롭게 운용되고 있다. 그 후, 야히코선 전선, 에치고선의 가시와자키역 - 요시다역 사이, [[신에츠 본선]]의 나오에츠역 - 나가오카역 사이, 죠에츠선의 미나카미역 - 미야우치역 - 나가오카역 사이에서도 순차적으로 운용을 개시했다. 향후 니가타 지사 관내의 직류 전화 구간 전선에서의 운용이 예정되어 있으며, [[우에츠 본선]]의 니이츠역 - 시바타역 사이에서도 향후 운용을 개시 할 예정이다. 2016년 1월 이후로 [[조에츠선]]의 미나카미역-나가오카역 구간에서도 운행을 하기 시작했다. 시나노 철도에서는 2019년부터 E129계 전동차를 기반으로 한 SR1계 전동차를 도입하고 있다. 2020년 7월 4일 영업운전 개시. 후속작으로는 수도권 로컬선용 4도어 차량인 [[E131계 전동차]]가 있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JR 동일본]] * [[전동차]] * [[sustina]] * [[신에츠 본선]] * [[우에츠 본선]] * [[하쿠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