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5183 '''[[파일:EBS 1TV 로고.svg|height=15]]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의 방송)] ---- [include(틀:한국방송공사의 송출 채널)] ---- [include(틀:EBS의 채널 목록)]}}} || ||<-4>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BS 1TV 로고.svg|width=80]]||{{{#005183 '''{{{+1 EBS 1TV}}}'''[br]EBS 제1텔레비전}}} ||}}} || ||<-3>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3> '''개국''' ||[[1981년]] [[2월 2일]] ([[KBS 3TV]])[br][[1990년]] [[12월 27일]] (EBS TV)[* 1990년 12월 26일까지는 그냥 EBS-TV였다. 12월27일 [[KBS 3TV]] 강제 통합과 동시에 1TV로 바뀜.] || ||<-3> '''{{{#FFFFFF 구분}}}''' ||[[지상파 방송|지상파]] [[공영방송]] || ||<-3> '''{{{#FFFFFF 분야}}}''' ||뉴스, 통찰, 교육 || ||<-3> '''호출부호''' ||--HLQL-TV--[* 아날로그 TV HLQL-TV는 지난 [[2012년]] [[12월 31일]] 새벽 4시, 이미 대한민국에선 [[EBS]] 외 지상파 방송 3사([[KBS]], [[MBC]], [[SBS]])가 수신 송출이 종료되었다. 또한 [[http://www.kea.kr/elechistory/ecatalog5.php?Dir=553&catimage=|1998년 전기연감(518p, 호출부호는 1996년 기준)]]에 따르면 1990년대 후반기 이전에는 HLQK-TV를 호출부호로 사용했으며 [[http://www.kea.kr/elechistory/ecatalog5.php?Dir=554&catimage=|1999년 전기연감(486p)]]부터 현재의 HLQL-TV가 수록된 것을 볼 때 1990년대 후반기에 호출부호가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HLQL-DTV, --HLQL-UHDTV-- || ||<-3> '''채널''' ||[[파일:EBS 1TV 로고.svg|width=50]]|[[EBS 2TV|[[파일:EBS 2TV 로고.svg|width=55]]]]|| ||<|3> '''채널[br]번호''' ||<-2> {{{#fff '''ATV'''}}} ||~~'''13'''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서울)]|'''2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부산)]~~ || ||<|2> {{{#fff '''[[디지털 방송|{{{#fff '''DTV'''}}}]]'''}}} || {{{#fff '''[[HDTV|{{{#fff '''HD'''}}}]]'''}}} ||'''18'''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서울)]|'''10-1'''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가상)]|'''3''' [[스카이라이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스카이라이프)]]]| [br] '''13''' [[B tv|[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617CE,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B tv)]]], [[Genie TV|[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Genie TV)]]] |'''14''' [[U+tv|[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A58F4,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U+tv)]]] || || {{{#fff '''--[[4K UHD|{{{#fff '''UHD'''}}}]]--'''}}} ||'''--54--'''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전국)]--[*KBS UHD 채널은 할당되어 있으나 KBS가 EBS UHD 송출을 거부해서 2020년 6월 1일 현재까지도 송출을 하지 못하고 있다. [[https://youtu.be/Uwyhk8OKUKE|#]] ]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방송[br]품질'''}}}}}}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화질}}}'''}}} ||--[[NTSC|NTSC-M]] [[SD(해상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0/60㎐)]]]--[* [[1981년]] [[2월 2일]] ~ [[2001년]] [[11월 4일]](단독 송출, KBS 3TV → EBS)/[[2001년]] [[11월 5일]] ~ [[2012년]] [[12월 31일]](병행 송출)], [[ATSC]] [[HD(해상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i)]]][* [[2001년]] [[11월 5일]] ~ [[2012년]] [[12월 31일]](병행 송출)/[[2012년]] [[12월 31일]] ~ (NTSC-M 아날로그 방송 종료로 인한 단독 송출)],[br]--[[4K UHD|[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UHD 2160p(4K))]]]--[*KBS]||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2채널 스테레오)][* [[1981년]] [[2월 2일]] ~ [[1985년]](1채널 모노)/[[1985년]] ~ [[2001년]] [[11월 4일]](투 캐리어 방식 FM 스테레오 단독 송출, KBS 3TV → EBS)/[[2001년]] [[11월 5일]] ~ [[2012년]] [[12월 31일]](투 캐리어 방식 FM 스테레오, [[돌비|돌비 디지털]] 병행 송출)/[[2012년]] [[12월 31일]] ~([[돌비|돌비 디지털]] 단독 송출)][* 단, 뉴스 같은 일부 프로그램은 1채널 모노로 송출. 코덱은 [[돌비|돌비 디지털]]로 동일하다.], --[[MPEG|[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278b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H 3D Audio)]]]--[*KBS] || ||<-3> '''방송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한국방송공사|[[파일:한국방송공사워드마크.svg|width=110]]]]}}}{{{-3 (비수도권 위탁)}}} || ||<-3> '''언어''' ||[[한국어]] || ||<-3> '''가시청권''' ||[[대한민국]] 전역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방송[br]책임'''}}}}}}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편성}}}'''}}} ||김광호 ,,(편성센터장),,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광고}}}'''}}} ||문교병 ,,(사업센터장),, || ||<-3> '''운영주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한국교육방송공사|[[파일:한국교육방송공사워드마크.svg|width=90]]]]}}} {{{-2 편성센터(편성)}}}[* KBS와 송출 외 업무가 분리된 이후 공사 창립 전까지는 편성을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에서 담당했다.] || ||<-3> '''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한국교육방송공사|[[파일:한국교육방송공사워드마크.svg|width=90]]]]}}} || ||<-3> '''송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한국방송공사|[[파일:한국방송공사워드마크.svg|width=11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교육방송공사]]가 제작하고 [[한국방송공사]]가 송출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 콜사인은 HLQL-DTV, 디지털 방송 가상채널은 10-1번. 아날로그 방송 시절에는 HLQL-TV, 남산 송신소 기준 채널 13번이었다. 당시 위성교육방송 채널 중 EBS 위성 1TV(현 [[EBS 플러스 1]])의 강좌 [[수능특강]]은 EBS-TV의 오후/저녁/밤 시간대의 지상파 재전송 및 재방송을 내보내며 채널이었으나, EBS 위성 2TV(현 [[EBS 플러스 2]])는 EBS-TV의 월요일~토요일의 오전 시간대의 지상파 재전송을 내보낸 채널이었다. EBS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EBS야말로 [[한국방송공사|수신료의 가치]]를 하는 채널'''이라고 좋아하고[* EBS도 수신료를 받긴 한다. KBS에 비해 비중이 매우 낮을 뿐. 한 가구당 70원을 받는다.], 싫어하는 사람들은 [[노잼]]이라고 욕하는 극과 극의 평가를 받는 방송이며 EBS채널중 키즈와 함께 유이하게 상업광고가 있으며 EBS전체 채널중 유일하게 영화에 한해서 연령제한표시가 있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BS/역사)] == 송출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방송공사/전국 방송망)] == 특징 == [[HD]] 시스템이 다른 [[지상파]] [[방송국]]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다. 설령 기자재가 비슷하더라도 방송의 특성상(아무래도 좀 차분한 프로그램이 많으니) 조명 등에 있어 비교 우위가 있어서 HD 화질이 굉장히 좋은 편이다. [[영화]]도 거의 [[블루레이]]에 근접할 화질을 보여준다. 1TV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편성된다. [[EBS]]와 [[수능]]이 연계되지 않던 시절, 교육방송공사의 재정상태가 너무나 취약해서 [[수신료]]만으로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는 지금도 EBS가 교재 출판업을 병행하는 이유이기도 하며 수신료 배분을 늘려달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 로고 변천사 == [[파일:EBS 1TV 로고(2015-2018).svg]] [[2015년]] [[2월 11일]]부터 [[2018년]] [[1월 28일]]까지 사용한 로고. [[파일:EBS 1TV 로고.svg]] [[2018년]] [[1월 29일]]부터 [[2023년]] [[4월 2일]]까지 사용한 로고. == 편성 == [[파일:attachment/img_2.jpg]] 프로그램 편성은 주로 영유아와 부모를 노리고 있다. 아침과 저녁에는 부모들이 볼만한 프로그램을, 오후에는 아이들이 볼만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특히 EBS의 [[교양]]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한국에서 수준급. EBS에서도 자체적으로 [[어린이 드라마]], [[청소년 드라마]]를 제작했으며, 대체로 수위가 낮은 건전한 드라마였다.[* 청소년 드라마의 경우 나름 수위가 높아서 남녀 간의 사랑이나 주먹질하는 장면은 기본에 가깝다. 다만 수위가 있는 장면으로, 또는 다음에 이어지는 전개가 막장 드라마 등에 비해 건전한 편.] 이는 [[막장 드라마]]와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EBS에서 드라마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지 않는데,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다. 청소년 드라마 특성상 적은 비용에 1년 계획으로 제작을 하지만, 매니아층을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어도 엄청난 시청률은 보장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 애니메이션 === * 관련 분류 : [[:분류:EBS 방영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뽀통령]], [[꼬마버스 타요|타요]], [[로보카 폴리|폴리]], [[플라워링 하트|플하]]의 고향'''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한국 애니메이션]]의 최후의 보루로 불린다. 애초에 주 시청층이 어린이 층이다보니 [[지상파]] 방송사 가운데서 [[애니메이션]]에 가장 많이 신경쓰는 편이다. 최근들어 [[한국 애니메이션]]에도 여러모로 신경쓰고 있기에 [[한애갤]]에서의 반응도 좋다. 2014년 3월 봄 편성 정기 개편 이후로는 명실상부 한국 애니메이션의 산실([[인큐베이터]])라는 명성을 얻었다. 이 시기를 '''EBS 애니메이션의 [[르네상스]]'''라고 부르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 지상파 방송사 중 유일하게 황금시간대에 애니를 틀어주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반응도 좋다. 더빙 애니의 경우 지상파/케이블 통틀어서 가장 원작과 싱크로가 맞는, 혹은 [[원작 초월|원작을 초월하는]] 더빙을 보여주는 곳이라고 해도 좋다. 더군다나 지상파 방송사 중 유일하게 '''[[http://news.joins.com/article/20697613|장난감 관련 광고]]'''[* 사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KBS]], [[MBC]], [[SBS]]에서도 장난감 광고를 송출하였으나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1~3%대로 떨어지면서 메리트가 상실했다. EBS 애니 시청률이 높다는 방증. (사실 EBS는 [[시청률 무용론|시청률을 잘 공개하지 않는다.]])]가 붙기 때문에 자사 방송국에서 한 애니의 장난감을 광고하면 이쪽으로도 꽤나 유리하다. 특히 [[심슨 가족]] 같은 경우는 원작을 본 사람도 위화감이 없을 정도의 최고의 성우 캐스팅을 자랑하며 [[네모네모 스펀지송]]의 경우는 거의 전설이 되었다. (해당 항목 참고) 후에는 영어교육([[둘리의 배낭여행]])이란 이유로 자막판도 같이 방영했다고 한다. 주간 방송 애니메이션 수량으로 따져도 엄청나다. 2012년 8월 30일 기준으로, EBS의 주간 방송 애니메이션 작품 개수는 무려 '''50작품'''이다.[* 통계학에서는 EBS 애니메이션 편성 비율 같은 지표를 이상치(Outlier)로 부른다. 이상치는 해당 통계자료의 일반적인 경향과 완전히 동떨어진 값을 뜻한다.] 일본에서 애니메이션을 많이 하기로 유명한 [[TV 도쿄]]도 주간 방송 애니메이션 편성이 현재 39작품에 불과하다. 물론 재방송 작품이 많이 섞여 있어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그만큼 2010년 이후 많은 [[:분류:애니채널|애니채널]]들이 더빙을 포기하고 [[자막]] 방영 위주로 가고 있는 마당에, EBS는 애니메이션 방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다만, 수위가 높은 애니메이션 방영은 채널 특성상 방영하지 않는다.[* 다만, 수위가 높은 해외 드라마랑 영화는 방영한다.] 2012년에는 별개로 [[EBS U]]가 개국하였다. 2007년부터 과거 한국에서 더빙 방영된 고전 [[일본 애니메이션]][* 모두 1970~80년대에 제작된 작품들이다.]들을 재방영하는 용자스러운 행보를 보여주었다. 그것도 화질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지금까지 방영된 것들은 [[플랜더스의 개]][* 1980년대 KBS판을 재더빙하여 방영.]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 1990년대 MBC 재더빙판을 방영.], [[빨강머리 앤/애니메이션|빨간머리 앤]], [[미래소년 코난]][* 1980년대 KBS판을 방영.], [[모래요정 바람돌이]][* 1980년대에 방영한 KBS판의 상태가 좋지 않아서 재더빙하여 방영하였다.], [[독수리 오형제]], [[엄마찾아 삼만리]][*A 자체적으로 재더빙하여 방영하였다.], [[이상한 나라의 폴]][* 1980년대 KBS 방영판을 방영.], [[톰 소여의 모험]], [[꼬마자동차 붕붕]], [[요술공주 샐리]][* 1966년판을 자체적으로 재더빙하여 방영.], [[시간탐험대]][*A] 등...[* 저 중에서 빨간머리 앤, 엄마찾아 삼만리, 톰 소여의 모험과 같은 [[세계명작극장]] 시리즈는 나중에 [[대원방송]]에서도 재더빙하여 방영하였다.] 급기야 2011년 2월 28일부터는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베르사유의 장미]]를 재더빙해 방영'''하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굵직한 편집이라고는 28화의 [[앙드레 그랑디에|앙드레]]가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오스칼]]을 덮친 장면 뿐이었다.] 다만 그 이후로는 아직 다음 작품 소식이 없다. --그러나 [[해즈브로]]의 [[트랜스포머 프라임]]을 방송하여 세상을 놀래켰고, 이제 같은 해즈브로의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만 나온다면...--[* 결국 FiM은 [[투니버스]]가 먼저 꿰차서 2014년 4월부터 더빙 방영 중이다.] 한편 2010년에는 [[크로스 게임/애니메이션|크로스 게임]]을 방영하였다.[* 2008년 [[SBS]]에서 [[메이플스토리/애니메이션#s-2|메이플스토리]]가 종영한 이후 오래간만에 지상파에서 방영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2014년 경을 기준으로 애니메이션 편성을 거의 [[한국 애니메이션]] 위주로 했으며 시청자들의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 2014년 3월 24일 애니메이션에 대한 집중 다큐멘터리로 EBS 다큐프라임 - <인간과 애니메이션> 3부작을 3일에 걸쳐 방송하면서 [[https://docuprime.ebs.co.kr/docuprime/vodReplayView?siteCd=DP&courseId=BP0PAPB0000000005&stepId=01BP0PAPB0000000005&lectId=10206235|1부 '애니메이션, 세상을 사로잡다' 편]]에서는 디즈니‧픽사, 드림웍스, 지브리를 방문하고 [[겨울왕국]] 제작기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인터뷰 등을 통해 스튜디오들의 작품 특징과 성과를 다뤘으며 [[https://docuprime.ebs.co.kr/docuprime/vodReplayView?siteCd=DP&courseId=BP0PAPB0000000005&stepId=01BP0PAPB0000000005&lectId=10206432|2부 '나는 움직이는 것을 사랑한다' 편]]에서는 드림웍스가 만들고 있는 '천재 강아지 미스터 피바디'에 대한 제작과정, [[토이 스토리]]를 만든 존 라세터의 이야기와 애니메이션을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동덕여대 미디어디자인과 이윤희 교수 및 [[초속 5cm]]의 감독 신카이 마코토나 '피부 색깔-꿀색'의 감독 융 헤닌(전정식)의 인터뷰을 통해서 소통과 의미전달에 대한 메시지를 잘 담아냈으며 [[https://docuprime.ebs.co.kr/docuprime/vodReplayView?siteCd=DP&prodId=348&courseId=BP0PAPB0000000005&stepId=01BP0PAPB0000000005&lectId=10206615|3부 '한국, 애니메이션을 말하다' 편]]에서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오성윤 감독, 마리 이야기와 [[천년여우 여우비]]의 이성강 감독, [[로보카 폴리]]의 제작사 로이비쥬얼 이동우 대표, [[라바(애니메이션)|라바]]의 제작사 김광용 투바앤 대표, [[돼지의 왕]],[[사이비]]의 연상호 감독, 무림일검의 사생활,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의 장형윤 감독등 관계자들을 초청하고 토론을 해보는 등. 공을 들인 섭외와 기존 다큐에서의 과거지향적이고 경제적인 성과 중심이 아닌 애니메이션의 역사 및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현실적인 사정과 애니메이션 시장에 대해 매우 간략하고 마땅한 대안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현실감 있고 이해하기 쉽게 사실적으로 담아냄으로서 [[성갤|성우 갤러리]]의 관심도 받았고 [[한애갤|애니-한국 갤러리]]에서도 교육방송다운 교육용 개념 다큐맨터리로서 그전까지 다루지 않은 문제점과 현실적인 사정, 그리고 성과 및 비교적 최신 작품 소개등을 다룬 것만으로도 --갓비에스라고-- 칭송하고 현실적 문제에 대해 단순하게 요약된 점이 아쉽지만 [[한국 애니메이션]] 이해에 대한 필수 다큐로 칭하며 --공지로 삼으려--극찬하는 등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10|그리고 인간과 애니메이션 다큐 제작에 국내외 종사자들에 대한 전문적인 섭외를 위해 방영전 2013년 4월부터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해 온 것으로 알려져]] 더욱 좋은 평을 받았다. 한국 애니메이션 이외에도 [[미국 애니메이션]]([[출동! 파자마 삼총사]]), [[프랑스]](그림 그려줘 루이, [[파프리카]]), [[러시아]]([[마샤와 곰]]), [[싱가포르]]([[오드봇, 이상한 아이들]]) 등 애니를 방영중이다. === 드라마 === * 관련 분류 : [[:분류:EBS 드라마]] [[http://home.ebs.co.kr/drama10/main|EBS 특집 드라마 홈페이지]] [[http://home.ebs.co.kr/ebsdrama/main|EBS 세계의 드라마 홈페이지]] [[MBC]], [[SBS]]에서 외화 편성을 중단한 이후 [[KBS 1TV]]의 [[KBS 해외걸작드라마]]마저 [[2018년]] [[8월 24일]] 방송분을 끝으로 잠정 종영함으로서 지상파로서는 EBS에서 방송하는 세계의 드라마(자막 방영)가 유일한 해외 드라마 방송이 되었...으나 [[KBS 해외걸작드라마]]가 [[브렉시트: 치열한 전쟁]]으로 돌아왔다. 물론 해외에서 수입한 드라마이기 때문에 [[본방사수]]는 필수다. [[OTT/실시간 방송|실시간 온에어]]에서도 시청이 불가능하다. === 영화 === [[http://home.ebs.co.kr/ebsmovie/main|EBS 방영 특선영화 통합 홈페이지]] >외화 프로그램의 경우, EBS는 방송권만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저작권 상의 권리는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VOD 다시보기 서비스 혹은 VHS 복사 판매를 할 수 없음을 양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계의 명화]], 고전영화극장, 일요시네마, 한국영화특선이라는 이름으로 매주 토,일에 걸쳐 다양한 특선영화를 방영하고 있어 영화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고전영화극장, 한국영화특선같은 경우는 지상파에서 구하기 힘든 1960~70년대의 명작영화들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라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물론 대부분의 영화를 외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본방사수]]는 필수다. [[OTT/실시간 방송|실시간 온에어]]에서도 시청이 불가능하다. 다만 3사와는 달리 해외물의 경우 '''대부분 [[더빙]] 없이 [[자막]]으로만 방영'''하므로 이 점 유의할 것. 과거에 3사에서 더빙으로 방영된 영화도 얄짤없이 자막방송이다. 다만 [[아동용 애니메이션]]은 더빙으로 방송한다. 한때는 일부 가족영화이나 외화 드라마에서도 더빙으로 방송하기도 했지만 [[튜더스]] 방영부터 아예 더빙을 하지 않고 있다. 방송법에 따르면 국내에서 수입한 해외 영상물들은 반드시 더빙하는게 원칙이며 부득이한 경우에 한정해서 자막방송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한국교육방송공사]]는 '''시청자들이 [[외국어]]를 접하는 기회를 늘리는 차원'''에서 자막처리하여 내보낸다고 밝혔다. 즉, 그냥 자막만 달랑 붙였을 뿐, 원판을 그대로 내보내는 것을 '''아예 경영 전략으로 설정한''' [[애니플러스]]는 당당하게 편법을 저지르고 있다고 봐야 한다.[* EBS는 상술한 대로 시청자들이 [[외국어]]를 접하는 기회를 늘리는 차원에서 자막 방영을 한다고 하였으며, [[:분류:영화 및 드라마 채널|케이블 외화 채널]]([[OCN]], [[SCREEN]], [[캐치온]])들은 따로 우리말 녹음 제작을 할 정도까지의 자금이 부족한 면이 있기에 억울한 면이라도 있기야 하다.] 참고로 고전영화극장의 경우 2013년 8월에 신설된 프로그램으로, 고전영화극장 이전에는 금요극장이라는 제3세계 영화(주로 인도 영화나 그 외 아시아, 남미 영화)를 방송하는 프로그램이 있었고, 그 당시에는 세계의 명화와 일요시네마가 현재 고전영화극장의 역할을 해 왔다. 고전영화극장이 신설된 이후 세계의 명화와 일요시네마는 최근에 제작된 흥행작들이나 고전영화 중에서도 주로 1980~90년대의 영화들을 방송하는 걸로 노선을 살짝 바꿨다. 여담으로 방영하는 작품들의 화질이 타 방송사보다 뛰어나서 A/V마니아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감독이 의도한 효과도 그대로 보여주는건 덤. 가끔식 일본영화도 틀어준다. 2017년 10월 8일 밤에 추석 특선영화로 방송된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는 배우들의 흡연 장면을 지상파 3사와 다르게 모자이크 처리 하지 않고 그대로 방영하였다. 거기에 등급도 '''[[15세 이용가]]'''로 내려서 방영했다.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명절 특선영화가 지상파에서 편성되면서 등급이 한 단계 올라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을 생각한다면 이례적인 일.[* 물론 EBS도 [[머니볼(영화)|머니볼]]을 제외하면 [[12세 이용가]] 영화를 [[15세 이용가]]로 방영한다.] 그리고 [[말죽거리 잔혹사]]가 방영되었을 때는 15세에다가 '''욕설을 필터링 없이 내보냈다.''' === 밀리터리 === EBS 명화극장에서 [[도라도라도라]], [[특전 U보트]] 같은 고전 전쟁영화를 틀어주고, 다큐멘터리에 밀리터리 관련 소재도 나오기 때문에 [[밀덕후]]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 흑역사 == <리얼 실험 프로젝트X>라는 프로그램의 '무인도에서 한 달 살기' 프로젝트같은 경우, 참가한 사람들 중 대다수가 식량이나 물, 야전삽, 칼 등 서바이벌에 꼭 필요한 물품은 안 챙겨오고, 쓸데없는 물건만 챙겨오고, 거기에 식량 구할 생각은 하지도 않고 무인도 안에 있던 폐가에서 빈둥거리질 않나. 심지어 '''PD들의 식량을 강탈하러 PD들의 텐트를 털거나, 포기하는 척 잠깐 육지로 가서 배 채우고 돌아오는 작자'''들까지 있었다. 이쯤되면 식량 충분히 가져오고 야외취침하며 제대로 무인도 체험하려고 노력한 몇 명만 불쌍해질 뿐. 결국 이 사건 때문에 그 프로젝트에 참가한 사람들 중 개념있게 행동한 사람 몇 명[* [[스트라이다]]로만 후쿠오카-오사카-도쿄를 질주한 것으로 유명한 [[똘똘똘이|정태준]] 씨가 여기에 참여했는데, 정태준 씨와 그의 여자친구는 제대로 무인도 체험을 하려 노력한 몇 명 중 하나였다. 자세한 상황은 항목 참조.]을 제외하고 전원 제대로 욕만 먹었다(PD들 포함).[* [[1박 2일]] 등과는 달리 저런 개념없는 행동을 한 작자들도 은근슬쩍 냅두었고 잠깐 육지 가서 배 채우고 돌아온 작자들에게도 프로그램 수당을 주었다.] 처음부터 그 체험 프로그램이 막장이었던 건 아니었고 시골 아이와 도시 아이의 학교 바꿔 다녀보기 등 재미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많이 실시하였으나, 이후에는 비슷한 소재로 예비군들을 모아서 할 때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전투식량과 먹을 것이 있는 섬을 골라서 촬영했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은 한동안 짤방화되었다. [[http://cafe.naver.com/lemonapp/174|예시]] 또 하나의 흑역사가 있는데, 바로 고생물학적 오류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발견된 [[한반도의 공룡]]이다. 2017년에는 아동성범죄를 옹호하고 남성 혐오를 조장하는 프로그램인 [[까칠남녀]]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결국 이 프로그램은 2018년 초에 폐지되었다. [[분류:한국교육방송공사]][[분류:지상파]] [include(틀:포크됨2, title=EBS 1TV, d=2022-07-01 22:4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