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M(엔터메이트))] [목차] == 개요 == [[EM(엔터메이트)]] 문서에서 OCG화 되지 않은 카드 관련 내용을 분리한 문서 == 메인 덱 몬스터 == === 레벨 1 === ==== EM 언더커버 히포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palUndercoverHippo-JP-Anime-AV-N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언더커버 히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アンダーカバー・ヒッポ''' (비공식 번역명)||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Undercover Hippo''' (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땅]] || [[불명]] || 100 || 불명 || ||<-5><(>①: 텍스트 불명|| ==== EM 씰돈도코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palShieldrumm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씰돈도코'''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シールドンドコ'''||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Shieldrummer''' (비공식 번역명)||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땅]] || [[전사족]] || ?00 || 600 || || {{{#blue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6 ||<-3><(>(텍스트 미확정)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패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 || 6 || ||<-5><(>(텍스트 미확정)①: 자신 또는 상대 배틀 페이즈에 자신~ 파괴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배틀 페이즈~.|| ==== EM 파라라이노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palPararhino-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파라라이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パラライノ'''||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Pararhino''' (비공식 번역명)||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땅]] || [[불명]] || 500 || 불명 || || {{{#blue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5 ||<-3><(>①: (텍스트 미확정) || 5 || ||<-5><(>(텍스트 미확정)①: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 1장의 효과를 무효로 하여 선택하고, 패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해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과 동일하게 한다.|| === 레벨 2 === ==== EM 트랩 미믹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erformapalTrapMimic-JP-Anime-AV.png|width=30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트랩 미믹'''(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トラップ・ミミック'''||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Trap Mimic''' (비공식 번역명)||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400 || 200 || || {{{#blue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4 ||<-3><(>(상세 텍스트 불명)①: 자신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파괴하고,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4 || ||<-5><(>(상세 텍스트 불명)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이 카드를 대상 ~로 그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앞면 표시로 두고 ~이 효과를 발동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 === 레벨 3 === ==== EM 롤링 삼바 ====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롤링 삼바'''(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ローリング・サンバ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Rolling Sambaa''' (비공식 번역명)||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불명]] || [[불명]] || 300 || 800 || || {{{#blue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3> || || ||<-5><(>(텍스트 미확정) || 코믹스 21화에서 사용. === 레벨 4 === ==== EM 파이로브스터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erformapalPyroLobster-JP-Anime-AV.png|height=50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파이로브스터(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パイロブスタ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Pyro Lobster(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화염]] || [[물족]] || 0 || 1800 || ||<-5><(>①: 1턴에 1번, 레벨의 합계가 12 이하로 된 처럼, 자신 묘지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 2장을 고르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골랐던 몬스터 2장의 레벨의 합계와 같게 된다.|| ==== EM 나이트메어 나이트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palNightmareKnight-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나이트메어 나이트(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ナイトメア・ナイト'''||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Nightmare Knight(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어둠]] || [[전사족]] || 1700 || 0 || ||<-5><(>①: 자신 배틀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 할 수 있다. 이 턴에 전투 데미지를 받은 플레이어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OCG화되면 EM의 몇 안되는 전사족 몬스터가 된다. 첫 등장에는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고, 나중에는 자크화된 유우야가 이 카드의 효과로 아카바 부자를 끝장낼려고 했지만 유우쇼의 난입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중단하지 않았으면 레오와 레이지는 물론, 유우쇼, 레이라, 4명의 유즈들까지 리얼 데미지로 인한 피해에 휘말릴 뻔했다.] ==== EM 머☆메이드 ==== [[파일:EnterMateMerMaid-EN-Manga-AV-NC.png|width=5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머☆메이드(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マー☆メイド(비공식 번역명)'''||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Mer-maid(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불명]] || [[불명]] || 1400 || 1200 || ||<-5><(>①: (불명)|| 이름인 인어랑 메이드의 말장난. 이쪽도 유니&콘 못지않게 수려한 미모가 특징. 소라와의 2차전에서 등장. 수중(리얼 솔리드 비전이라서 호흡은 가능)에서 액션 듀얼을 할 때 맥주병인 유우야를 이동시켜줬다. ==== EM 미라클 미러빗 ====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미라클 미러빗(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ミラクル·ミラービット(비공식 번역명)'''||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Miracle Mirrorabbit(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불명]] || [[불명]] || 1200 || 1200 || ||<-5><(>①: (불명)|| ARC-V 144화에서 사용된 카드. 공격력 변화 효과의 대상을 자신 몬스터로 하고, 이 카드가 공격하지 않는 경우, 대신에 다른 몬스터가 2회 공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 EM 덕 딜러 ====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덕 딜러(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ダック・ディーラ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Duck Dealer(비공식 번역명)'''|| ||<-5><:>[[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유희왕/속성|바람]]||<:>[[불명]]||<:> 100 ||<:> 1100 || ||<:>{{{#blue P스케일}}}||<-3><:>펜듈럼 효과||<:>{{{#red P스케일}}}|| ||<:> 4 ||<-3><(>①: ||<:> 4 || EM 펜듈럼 몬스터를 일반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덱에서 1장 드로우할 수 있는 몬스터 효과를 가지고 있다. ==== EM 카드 버드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erformapalCardBird-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카드 버드(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カード・バード'''||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Card Bird(비공식 번역명)'''|| ||<-5><:>[[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유희왕/속성|바람]]||<:>[[비행야수족]]||<:> 800 ||<:> 1600 || ||<:>{{{#blue P스케일}}}||<-3><:>펜듈럼 효과||<:>{{{#red P스케일}}}|| ||<:> 5 ||<-3><(>① : ||<:> 5 || ||<-5><(>①: 자신 필드에 "EM(엔터메이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br]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된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 === 레벨 5 === ==== EM 드롭 갤럽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erformapalDropgallop-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드롭 갤럽(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ドロップ・ギャロップ'''||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Dropgallop(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땅]] || [[야수족]] || 800 || 1200 || ||<-5><(>①: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동시에 펜듈럼 소환한 "EM(엔터메이트)" 몬스터의 수만큼 자신은 덱에서 드로우한다.[br]②: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1~4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레벨이 된다.|| ==== EM 플랫래트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palFlatRat-JP-Anime-AV-N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플랫래트(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フラットラット(비공식 번역명)'''||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Flat Rat(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땅]] || [[야수족]] || 500 || || ||<-5><(>①: (불명)|| 이름은 플랫(평평한) + 래트(쥐)를 합친 것. 몬스터가 일반 / 특수 소환되었을 때, 그 레벨을 자신과 동일하게 하는 효과와 필드 몬스터의 공격력이 변동되었을때, 자신을 릴리스하고 1장의 공격력을 되돌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EM 이그니션 이글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erformapalIgnitionEagle-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이그니션 이글(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イグニッション・イーグル'''||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Ignition Eagle(비공식 번역명)'''|| ||<-5><:>[[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5||<:>[[유희왕/속성|어둠]]||<:>[[비행야수족]]||<:> 1100 ||<:> 1100 || ||<:>{{{#blue P스케일}}}||<-3><:>펜듈럼 효과||<:>{{{#red P스케일}}}|| ||<:> 10 ||<-3><(>①: 자신 또는 상대 배틀 페이즈에 자신의 펜듈럼 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과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의 수만큼 자신의 덱에서 "EM(엔터메이트)" 몬스터를 선택해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 할 수있다. 자신과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그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의 수 × 500 올린다. ||<:> 10 || ||<-5><(>①: 자신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공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카드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그 후,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 ==== EM 펜듈럼 컨덕터 ====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펜듈럼 컨덕터'''(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ペンデュラム・コンダクター '''||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Pendulum Conductor''' (비공식 번역명)||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불명]] || [[불명]] || 100 || 100 || || {{{#blue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1 ||<-3> || 1 || ||<-5><(>(텍스트 미확정) || 코믹스 23화에서 사용한 카드. == 마법 카드 == === EM 가드 댄스 === [[파일:external/img.atwikiimg.com/01.jp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가드 댄스(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ガード・ダンス'''||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Guard Dance(비공식 번역명)'''|| ||<-5> 속공 마법 || ||<-5><(>①: 이 턴,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그 전투에서 발생하는 자신에게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br]②: 배틀 페이즈 종료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전투를 실시한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와 그 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전부 바꾼다.|| 참고로 일러스트에서 EM랑 같이 춤추는 몬스터는 방해꾼 블랙, 옐로, 그린, 더스튼, 토마보다. === EM 펜듈럼 아트 & 클린 === [[파일:external/1bc465646e2ad8df9bec6b332373fb601acf78f1ce53de8b93a6caf9df746bb1.jp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펜듈럼 아트 & 클린(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ペンデュラム・アート&クリーン'''||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Pendulum Art and Clean(비공식 번역명)'''|| ||<-5> 일반 마법 || ||<-5><(>①: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이 카드의 효과 이외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레벨 1 "EM(엔터메이트)" 펜듈럼 몬스터를 가능한 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고, 그 원래의 효과는 무효화된다.[br]②: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모티브는 [[Wii U]]의 히트게임 [[스플래툰]]. 일러스트에 비 펜듈럼 몬스터인 EM 라이프 스워드맨과 OCG화 되지 않은 EM 씰돈도코가 나와있다. === 엔터메 익스체인지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nceExchange-JP-Anime-AV.png|width=40%]] || 한글판 명칭 ||<-4>'''엔터메 익스체인지'''|| || 일어판 명칭 ||<-4>'''エンタメ・エクスチェンジ'''|| || 영어판 명칭 ||<-4>'''Performance Exchange'''|| ||<-5> 일반 마법 || ||<-5><(>①: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보다 레벨이 낮은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컨트롤을 턴 종료시까지 가능한 한 상대에게 옮긴다.|| == 함정 카드 == === EM 애프터 엔드 롤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palCurtainCall-JP-Anime-AV.png|width=4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애프터 엔드 롤'''(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アフター・エンドロール'''||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Curtain Call''' (비공식 번역명)|| ||<-5><:>일반 함정|| ||<-5><(>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턴 파괴된 "EM(엔터메이트)" 몬스터 × 600만큼 올리고,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또한, 대상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의 마법 / 함정 / 효과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 EM 쇼 업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nterMateShowUp-JP-Manga-AV.png|width=10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쇼 업(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ショーアップ'''||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Showup(비공식 번역명)'''|| ||<-5> 일반 함정 || ||<-5><(>①: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배로 한다.|| === [[EM 스카이 매지션|EM 스카이 링]] === === EM 대가세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erformapalBigSupport-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대가세(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大加勢'''||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Big Support(비공식 번역명)'''|| ||<-5> 일반 함정 || ||<-5><(>①: 이 턴에 특수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에서 공격력 1000 이하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 배만큼 올리는 장착 카드 취급하고 대상 몬스터를 장착한다.[br]②: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 카드 취급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낸다.|| 잘하면 한번에 공격력 2000까지 기습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 EM 시그널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palSignal-JP-Anime-AV.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트)] 시그널(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ト)]シグナル'''|| || 영어판 명칭 ||<-4>'''Performapal Signal(비공식 번역명)'''|| ||<-5> 일반 함정 || ||<-5><(>①: 덱에서 1장 드로우하고, 드로우한 카드가 EM(엔터메이트) 몬스터라면 묘지로 보내 공격을 무효로 한다.|| === 부활의 엔터메 -리본 포스-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Entertainment_Resurrection_-_Reborn_Force.png|width=100%]]|| || 한글판 명칭 ||<-4>'''부활의 엔터메 -리본 포스-'''|| || 일어판 명칭 ||<-4>'''復活のエンタメ-リボーン・フォース-'''|| || 영어판 명칭 ||<-4>'''Performance Resurrection - Reborn Force'''(비공식 번역명)|| ||<-5><:>일반 함정|| ||<-5><(>① :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가 파괴 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1턴에 1번, 자신이 받을 효과 데미지를 상대에게 대신 준다. 이 효과를 배틀 페이즈 중에 발동 했을 경우,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 엔터메 턴 === ||[[파일:external/2cdcc442cf8cf17ba80a75419e461786009dc6f5fe89cef603023509de0bcb00.jpg|width=100%]]|| || 한글판 명칭 ||<-4>'''엔터메 턴'''(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エンタメターン'''|| || 영어판 명칭 ||<-4>'''Performance Turn''' (비공식 번역명)|| ||<-5><:>일반 함정|| ||<-5><(>(불명)|| === 반격의 엔터메이트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CounterattackEntermate-JP-Anime-AV.png|width=40%]] || 한글판 명칭 ||<-4>'''반격의 엔터메이트(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反撃のエンタメイト'''|| || 영어판 명칭 ||<-4>'''Counterattack Entermate(비공식 번역명)'''|| ||<-5> 일반 함정 || ||<-5><(>①: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 상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파괴한다.|| 일러스트는 라이프 스워드맨이 [[요선수|요선수 대유곡향]]이랑 격돌하고 있다. === 애크러뱃 타워 === [[파일:external/82306fe2d6e07479271841d560be0b045b2b4f7c8658b5dfc60a69acd156b444.jpg]] || 한글판 명칭 ||<-4>'''애크러뱃 타워(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アクロバット・タワー'''|| || 영어판 명칭 ||<-4>'''Acrobat Tower(비공식 번역명)'''|| ||<-5> 일반 함정 || ||<-5><(>①: 자신이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플레이어는 몬스터 카드를 1장 이상 드로우 할 때까지 각 덱에서 2장씩 드로우하고, 그 카드를 전부 묘지료 보낸다. 이 효과로 드로우 한 각각의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를 비교해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br]●자신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가 상대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이상일 경우, 자신은 자신 및 상대 필드 묘지의 몬스터의 수 × 200 데미지를 받는다.[br]● 자신의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가 상대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보다 낮은 경우, 상대는 자신 및 상대의 필드 묘지의 몬스터의 수×200 데미지를 받는다.|| 113화에서 [[카치도키 이사오]]와의 듀얼에서 사용. 이때 이사오는 합계 10, 유우야는 합계 6의 몬스터를 뽑아 이사오에게 2600 데미지를 줘 유우야가 이긴다. === [[EM 스카이 매지션|스카이 일루전]] === === 엔터메 드래곤즈 섀도우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erformanceDragonsShadow-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엔터메 드래곤즈 섀도우(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エンタメ・ドラゴンズ・シャド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nce Dragon's Shadow(비공식 번역명)'''|| ||<-5> 일반 함정 || ||<-5><(>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된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자신 필드의 카드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대상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카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의 수치만큼 올린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대상 몬스터에게 장착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EM(엔터메이트), version=1870, title2=EM 오드아이즈, version2=159)]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