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White EMG Inc.}}}}}}''' |||| |||| [[파일:EMG,_Inc._Logo.svg|width=80%]] |||| || '''{{{#White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White 창립}}}''' ||[[1976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로사 || || '''{{{#White 창립자}}}''' ||롭 터너 || || '''{{{#White 업종}}}''' ||[[기타]], [[베이스 기타|베이스]] 픽업 및 음향기기 제작 || || '''{{{#White 링크}}}''' ||[[https://www.emgpickup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emg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emgpickup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twitter.com/emg_pickup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2&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2&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emgpickup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MGS.jpg|width=100%]]}}} || || '''EMG에서 제작한 다양한 일렉트릭 기타용 픽업들''' || '''EMG'''는 [[미국]]의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베이스]]용 [[픽업(장치)|픽업]] 제조사이다. == 상세 == [[1976년]]에 설립된 회사로,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베이스]]용 액티브 픽업을 주력으로 제작하는 회사이다. 특유의 액티브 서킷 덕분에 잡음이 거의 없고 깔끔한 톤이 나오며 약간 컴프레서가 걸린듯한 톤이 특징이다. 이런 개성때문에 기타리스트간에 호불호가 극히 갈리는 픽업이긴 하나 ~~[[보드카|싫어하는 사람은 무향무취라고 한다]]~~, 잡음이 적고 출력이 좋기 때문에 라이브 현장에서는 상당히 요긴한 픽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그 강렬한 출력 때문에 모던 헤비니스 계통의 음악에서 사랑받고 있다. ~~아니면 싱글코일의 찰랑대는 소리는 필요한데 노이즈는 싫은 사람들이 찾기도 한다~~ [youtube(72P27ZpunAc)] [[잭 와일드]]의 솔로톤. EMG 특유의 매끄럽고 정돈된 톤을 잘 느낄 수 있다. [youtube(kphBbziT8y0)] [youtube(YdnhCa-815w)] 드라이브계열이 없이 리버브만 걸린 사운드. 대표 상품은 1981년 출시된 EMG 81. [[메탈리카]], [[슬레이어]], [[세풀투라]], [[앤스랙스]] 등을 비롯해 80/90년대 수많은 헤비메탈, 스래쉬, 데스메탈, 뉴메탈 밴드들이 사용했고 현재도 많은 사용자가 있는 EMG의 간판 픽업이다. 오늘날에는 [[Seymour Duncan]]의 블랙아웃 시리즈, 모던 메탈 기타리스트들에게 EMG의 대체품으로 많은 지지를 받는[* 피쉬맨을 사용하는 뮤지션들 중에 EMG를 쓰다 넘어온 경우가 많이 있다.] 피쉬맨 플루언스 모던 등 액티브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패시브처럼 자연스러운 톤 질감을 내주는 액티브 픽업이나, 부티크 픽업으로 유명한 베어너클 등 다양한 픽업이 등장하면서 예전같은 위상은 아니지만, 여전히 대표적인 메탈용 픽업으로 통하고 있다. 85/81, 60/81, 89/81, 81/81 등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되는데 85/81은 잭 와일드가 사용해서 [[잭 와일드]]셋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81에서 파생된 픽업으로 [[제임스 헷필드]] 시그니처 픽업인 'Het' 셋, [[커크 해밋]] 시그니처인 'Bone Breaker' 셋이 있다. 그밖의 제품으로는 패시브 픽업의 질감을 지향한 EMG 57/66 셋, 7현용 픽업 EMG 707, 패시브 픽업인 EMG-HZ 등이 있다.[* 알렉시 라이호가 액티브 서킷에 물려 쓰는 정도를 제외하면 소리가 힘이 없고 인위적이라는 점 때문에 별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메탈용 험버커 회사라는 인상과 달리, SA 같은 싱글 픽업이나 레트로한 픽업도 만들고 있다. 그러나 EMG를 쓰는 기타리스트 목록을 봐도 알 수 있듯, EMG를 쓰는 프로들의 10중 9는 메탈 쪽 뮤지션이고, 메탈용 기타를 많이 만드는 ESP(LTD), Schecter 등의 브랜드에 EMG 사양의 기타가 많다. == 사용자 목록 == === 현실 === * [[스티브 루카서]] ([[토토(밴드)|토토]]) * 알렉스 웹스터, 랍 바렛, 잭 오웬, 팻 오브라이언 ([[카니발 콥스]]) * [[알렉시 라이호]] ([[칠드런 오브 보덤]]) * [[데이빗 엘렙슨]] ([[메가데스(밴드)|메가데스]]) * 에릭 피터슨 ([[테스타먼트(밴드)|테스타먼트]]) * [[제프 한네만]], 케리 킹, 게리 홀트, 톰 아라야 ([[슬레이어(밴드)|슬레이어]]) * 이언 힐, KK 다우닝, 글렌 팁튼, 리치 포크너 ([[주다스 프리스트]]) * [[제임스 헷필드]], [[커크 해밋]], [[로버트 트루히요]] ([[메탈리카]]) * 제프 워커 ([[카르카스]]) * 짐 루트 ([[슬립낫]]) * [[카이 한센]] ([[헬로윈]]) * 존 캠벨 ([[램 오브 갓]]) * 댄 스피츠 ([[앤스랙스]], [[오버킬]]) * 조쉬 미들턴 ([[아키텍츠]]) * 카오루 ([[디르 앙 그레이]]) * 레스 클레이풀 ([[프라이머스(밴드)|프라이머스]]) * 네르갈, 오리온 ([[Behemoth(밴드)|베헤모스]]) * 맷 히피, 코리 블리외 ([[트리비움#s2|트리비움]]) * 리하르트 크루스페, 파울 란더스 ([[람슈타인]]) * 채드 크로거, 라이언 피크 ([[니켈백]]) * 샤그라쓰, 갈더 ([[딤무 보거]]) * 재키 빈센트, 데릭 존스 ([[폴링 인 리버스]]) * 스티븐 카펜터 ([[데프톤즈]]) * 안드레아스 키서 ([[세풀투라]]) * 렙 비치 ([[화이트 스네이크]]) * 트레버 페레스 ([[오비추어리]]) * 마이클 파젯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앤드류 크레이건 ([[마이 다잉 브라이드]]) * 니클라스 엥글린 ([[인 플레임스]]) * 제이크 피츠, 징스 ([[블랙 베일 브라이즈]]) * 올리 허버트, 마이크 마틴 ([[올 댓 리메인스]]) * 필 스그로소 ([[애즈 아이 레이 다잉]]) * 존 갤러거 ([[다잉 피터스]]) * [[Leda]], [[오오무라 타카요시]] ([[BABYMETAL]]) * SYU ([[가르네리우스]]) * [[톰 모렐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오디오슬레이브]]) * [[마티 프리드먼]] * [[잭 와일드]]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프린스는 다양한 기타를 썼는데, 그중에서 프린스가 한때 이름 대신 사용했던 독특한 기호 모양을 따서 디자인한 '심볼 기타'에 EMG SA/85가 달려있다.] * [[로이 뷰캐넌]][* 1987년부터 쓴 시그니처 텔레캐스터에 EMG 싱글 코일 픽업 3개가 달려있다.] === 가상 === * [[키리가야 토우코]][* [[ESP(기타)|ESP]]에서 발매된 시그니처 모델에는 넥, 브릿지 포지션에 전부 EMG81 픽업이 장착되어 있다.] ([[모르포니카]]) - [[BanG Dream!]]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픽업(장치),version=87,paragraph=4.1)] [[분류:픽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