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7f775a '''Electric Warrior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60,연도2=2020,순위2=18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70)] ---- ||<#FFFFFF><:>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70]]]] ||<#FFFFFF,#1F2023>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000,#fff '''피치포크 선정 1970년대 최고의 앨범'''}}}]][br]{{{+5 '''20위'''}}} ||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84)]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2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03, 연도=1998, 순위2=873,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130)]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Led Zeppelin IV, 전번_아티스트=레드 제플린, 이번_앨범=Electric Warrior, 이번_아티스트=티렉스, 1위_기간=6주 연속, 후번_앨범=The Concert for Bangladesh, 후번_아티스트=조지 해리슨 )]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 || ||<-2><#000000> '''{{{#7f775a {{{+1 Electric Warrio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rex.jpg|width=100%]]}}} || || '''발매일''' ||[[1971년]] [[9월 24일]] || || '''녹음일''' ||[[1971년]] 3월 - 6월 || || '''장르''' ||[[글램 록]] || || '''재생 시간''' ||39:02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토니 비스콘티 || || '''스튜디오''' ||트라이던트 스튜디오[br]어드비전 스튜디오[br]월리 하이더 스튜디오[br]미디어 사운드 스튜디오 || || '''레이블''' ||플라이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티렉스(밴드)|T.Rex]]의 2집 스튜디오 [[앨범]]. [[1971년]] 발매되었으며, '''최초의 [[글램 록]] 앨범'''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상세 == 과거 'Tyrannosaurus Rex'라는 풀네임으로 활동하던 시절부터 환산하면 6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서, 기존부터 양성적이고 파격적인 비주얼을 선보이며 활동하던 티렉스는 이름을 줄인뒤로 두번째로 앨범을 선보이게 되었다. 이렇게 발매된 Electric Warrior라는 앨범은 영국차트 1위를 찍음으로서 그들을 스타덤으로 올려주었고, 무려 1971년에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는 영광을 얻었으며 특히 싱글 곡 [[Get It On]]은 티렉스의 곡 중 유일하게 [[빌보드 핫 100]] 10위에 진입하는 성공을 거두었다. 이 앨범의 대성공은 [[글램 록]]이라는 장르의 포문을 열게 되며, 이후 [[데이비드 보위]] 등의 글램 록 뮤지션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함과 특유의 비주얼과 쇼맨십은 [[하드 록]], [[펑크 록]],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 등 장르를 불문하고 여러 뮤지션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런 음악적 유산을 인정받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도 188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앨범 커버는 [[힙노시스]]가 디자인했다.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트랙'''}}} || {{{-1 '''곡명'''}}} || {{{-1 '''작사 / 작곡'''}}} || {{{-1 '''재생 시간'''}}} || ||<-4><#000> {{{#!wiki style="margin:-3px 0px" {{{#7f775a {{{-1 '''Side A'''}}}}}}}}} || || {{{-2 '''1'''}}} || {{{-1 Mambo Sun}}} ||<|5> {{{-2 마크 볼란}}} || {{{-1 3:40}}} || || {{{-2 '''2'''}}} || {{{-1 Cosmic Dancer}}} || {{{-1 4:30}}} || || {{{-2 '''3'''}}} || {{{-1 Jeepster}}} || {{{-1 4:12}}} || || {{{-2 '''4'''}}} || {{{-1 Monolith}}} || {{{-1 3:49}}} || || {{{-2 '''5'''}}} || {{{-1 Lean Woman Blues}}} || {{{-1 3:02}}} || ||<-4><#000> {{{#!wiki style="margin:-3px 0px" {{{#7f775a {{{-1 '''Side B'''}}}}}}}}} || || {{{-2 '''1'''}}} || {{{-1 Get It On}}} ||<|6> {{{-2 마크 볼란}}} || {{{-1 4:27}}} || || {{{-2 '''2'''}}} || {{{-1 Planet Queen}}} || {{{-1 3:13}}} || || {{{-2 '''3'''}}} || {{{-1 Girl}}} || {{{-1 2:32}}} || || {{{-2 '''4'''}}} || {{{-1 The Motivator}}} || {{{-1 4:00}}} || || {{{-2 '''5'''}}} || {{{-1 Life's a Gas}}} || {{{-1 2:24}}} || || {{{-2 '''6'''}}} || {{{-1 Rip Off}}} || {{{-1 3:40}}} ||}}} === Side A === ==== Mambo Sun ==== [youtube(Ch3N-EPNX-U)] ==== Cosmic Dancer ==== [youtube(524swxaTJ1c)] * Gett it on 못지않게 인기가 많은 곡이다. [[빌리 엘리어트]]의 메인 테마로 유명하고 [[모리세이]]가 커버한적도 있다. ==== [[Jeepster]] ==== [youtube(U8kGuZMHycU)] ==== Monolith ==== [youtube(NWZGl8RV6EY)] ==== Lean Woman Blues ==== [youtube(GzuI_grHbyQ)] === Side B === ==== [[Get It On]] ==== [youtube(cp1m4B3HRhg)] ==== Planet Queen ==== [youtube(9L6wDdFOJLQ)] ==== Girl ==== [youtube(ADtcyVVQpmo)] ==== The Motivator ==== [youtube(Zpqtth96jX8)] ==== Life's a Gas ==== [youtube(G4z8Wi-5uwY)] ==== Rip Off ==== [youtube(zqtyIiV31cw)] [[분류:티렉스(밴드)]][[분류:1971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글램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