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lement Mystic)] [include(틀:해체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2><#fff,#191919> [[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width=300]] || ||<-2> '''{{{+1 엘리먼트 미스틱}}}''' || ||<-2><#ffc53d> '''{{{#281b2d {{{+1 Element Mystic}}}}}}''' || || '''창단''' ||[[2017년]] [[8월 27일]]|| || '''해체''' ||[[2020년]] [[12월 9일]][* 연말 대회를 마지막으로 해체 선언.]|| || '''팀명''' ||Lunatic-Hai(2017~2018) '''Element Mystic(2018~2020)'''|| ||<-2>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2> '''팀 컬러''' || ||<-2> {{{+5 {{{#281b2d ■}}} {{{#ffc53d ■}}} }}} ||}}}}}}}}}}}} || [목차] == 개요 == || '''Element Mystic'''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cs 1 em.png|width=100%]]}}}|| || '''{{{+1 #EMWIN}}}''' || 팀의 시초는 [[Lunatic-Hai]]가 창단한 [[PUBG: BATTLEGROUNDS|PLAYERUNKNOWN'S BATTLEGROUNDS]] 프로게임단으로 시작했다. [[2017년]] [[8월 27일]] 루나틱하이가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을 만들겠다고 발표했고 동년 [[9월 9일]], 이전 CS팀에서 활동하던 [[안영모]] 선수가 배틀그라운드 선수로 복귀하여 첫번째 로스터를 채웠으며, [[2017년]] [[10월 22일]] 나머지 3명의 로스터가 모두 공개되었다. 2018년 하반기 PKL부터 [[Element Mystic]]이 팀을 인수하여 게임단을 운영하고 있다. 팀 약자는 '''EM'''. 2020년 11월 3일, 롤팀의 프랜차이즈 실패 여파로 인해 [[https://twitter.com/ElementMystic/status/1323581965329551361|엘리먼트 미스틱 게임단 전 종목팀이 해체]]되었다. 일단 공식 발표상으로는 2021년은 휴식하고 2022년에 돌아온다는 식으로 내용을 남겼으나 실제로 이행할지는 미지수. == 구성원 == === 로스터 연혁 === ||<-6> '''{{{#ffc53d 로스터 연혁}}}''' || || ID || 이름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 Overclass || 진형범 ||<|2> FARK {{{-3 블랙스쿼드}}} ||<|4> 2017년 9월 9일 ||<|3> 2017년 12월 4일 ||<|3> ''은퇴'' || || FlashSound || 구교준 || || ungmel || 이인수 || ''N/A'' || || enemy || [[안영모]] || [[Lunatic-Hai/카운터 스트라이크|[[파일:lunatichaiheight20.png|width=25]] Lunatic-Hai]] {{{-3 카운터 스트라이크}}} ||<|2> 2018년 9월 || All Gamer {{{-3 감독}}} || || Conan || 전흥제 ||<|10> ''N/A'' ||<|5> 2017년 12월 4일 || [[DPG danawa|[[파일:DPG_logo.png|width=25]]DPG danawa]] || || GANJi || [[김성민(프로게이머)|김성민]] || 2017년 12월 12일 || [[Lunatic-Hai FLUX|[[파일:lunatichaiheight20.png|width=25]] Lunatic-Hai FLUX]] || || Lucky || 김강운 || 2018년 2월 21일 ||<|3> ''은퇴'' || || Chowon || 김초원 || 2018년 5월 9일 || || TIME || 김용욱 || 2018년 9월 || || Hana || 권진우 ||<|2> 2018년 2월 22일 ||<|2> 2018년 3월 23일 ||<|2> [[Lunatic-Hai FLUX|[[파일:lunatichaiheight20.png|width=25]] Lunatic-Hai FLUX]] || || YESUNG || 이예성 || || AsraN || 김재성 || 2018년 3월 23일 || 2018년 7월 12일 ||<|2> ''은퇴'' || || GodMn || 최성민 ||<|2> 2018년 5월 30일 ||<|2> 2018년 9월 || ||<|2> DDDoit ||<|2> 이충근 || [[Lunatic-Hai/배틀그라운드|[[파일:lunatichaiheight20.png|width=25]] Lunatic-Hai]] || || [[Lunatic-Hai/배틀그라운드|[[파일:lunatichaiheight20.png|width=25]] Lunatic-Hai]] || 2018년 10월 1일 ||<|5> 2019년 1월 1일 || ''은퇴'' || || School || [[공현수]] || [[ROCCAT ARMOR|[[파일:300px-ROCCAT_Armorlogo_square.png|height=25]] ROCCAT ARMOR]] || 2018년 9월 18일 || [[Cesti e-Sports|[[파일:Cesti e-Sports.png|height=25]] Cesti e-Sports]] || || Hancock || 박창영 || [[MAXTILL MAD|[[파일:maxtill.png|height=25]] MAXTILL MAD]] ||<|3> 2018년 10월 1일 || ''은퇴'' || || seoul || [[조기열]] ||<|3> ''N/A'' || [[MEDIABRIDGE|[[파일:MEDIABRIDGE.png|height=20]] MEDIABRIDGE]] || || NEWCODE || 김남균 || [[247 PUBG|[[파일:247_logo.png|height=25]] 247]] || || MMNyong || 김준우 || 2019년 1월 14일 || 2019년 1월 31일 || [[LAVEGA AIMO|[[파일:600px-Lavega_Falconlogo_square.png|height=25]] LAVEGA AIMO]] || || RyaN || 이성현 || [[OP GAMING Rangers|[[파일:OP_Gaming_Rangers_std.png|height=21]]OP GAMING Rangers]] ||<|6> 2019년 2월 8일 || 2019년 4월 10일 || [[OP.GG 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OPGG SPORTS notext 2020.png|height=21]] OP.GG SPORTS]] || || Ruby || 박재혁 ||<|2> ''N/A'' ||<|3> 2019년 4월 20일 ||<|2> ''은퇴'' || || Mura || 신준혁 || || siege || [[강호진(프로게이머)|강호진]] || [[MVP(프로게임단)/배틀그라운드|[[파일:Team MVP.png|height=25]] MVP]] || [[MVP(프로게임단)/배틀그라운드|[[파일:Team MVP.png|height=25]] MVP]] || || KiraV || [[박현비]] || [[DPG danawa|[[파일:DPG_logo.png|width=25]]DPG danawa]] || 2020년 10월 29일 || [[emTek StormX|[[파일:emtek-stormx-e-sports.png|width=25]]emTek StormX]] || || Lash || [[김동준(배틀그라운드)|김동준]] || [[KONGDOO GHILLIESUIT|[[파일:Kongdoo_G-Suit(2).png|width=25]] KONGDOO Ghilliesuit]] || 2020년 12월 9일 || [[Afreeca Zar Gaming|[[파일:Afreeca Zar Gaming.png|height=25]] Afreeca Zar Gaming]] || || Pallas || 채수범 || [[LAVEGA AIMO|[[파일:600px-Lavega_Falconlogo_square.png|height=25]] LAVEGA AIMO]] || 2019년 4월 29일 || 2019년 11월 7일 || [[Asura Walk|[[파일:AW-Logo-sc.png|width=25]] Asura Walk]] || || K1nch || [[강민성(프로게이머)|강민성]]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Gen.G 로고.svg|height=25]] Gen.G]] || 2019년 4월 24일 ||<|4> 2020년 12월 9일 || [[파일:team klux.png|width=25]] Team Klux || || Makne || [[신동주(1999)|신동주]] || [[DPG EVGA|[[파일:DPG EVGA.png|height=25]] DPG EVGA]] || 2019년 12월 12일 || [[MokJul|[[파일:MokJul_logo.png|height=25]] MokJul]] || || Smoke || [[유태규(프로게이머)|유태규]] || [[E-STATS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E-STATS_Logo.png|height=25]] E-STATS Esports]] || 2020년 7월 1일 || [[파일:Winners_black_logo.png|height=25]] Winners || || CENTRE || [[황정운]] || [[Element Mystic/배틀그라운드|[[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width=25]] Element Mystic]] {{{-3 코치}}} || 2020년 10월 13일 || [[GAME COACH ACADEMY|[[파일:GCA logo.png|width=25]] GAME COACH ACADEMY]] {{{-3 코치}}} || ||<-6> {{{-3 {{{#281b2d 주전 멤버는 볼드체}}} }}} || === 스태프 연혁 === ||<-7> '''{{{#ffc53d 스태프 연혁}}}''' || ||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 Rush || 유희원 || 코치 || ''N/A'' || 2019년 2월 8일 || 2019년 10월 24일 || ''은퇴'' || || BIGSAN || 황대산 || 코치 || ''N/A'' || 2019년 2월 8일 || 2020년 4월 16일 || [[파일:CheckT_PUBG_newlogo.png|width=24]] CheckT || || CENTRE || [[황정운]] || 플레잉 코치[* 코치 → 플레잉 코치 직책 변경.] || [[Asura Walk|[[파일:AW-Logo-sc.png|width=25]] Asura Walk]] {{{-3 선수}}} || 2020년 2월 || 2020년 12월 9일 || [[GAME COACH ACADEMY|[[파일:GCA logo.png|width=25]] GAME COACH ACADEMY]] {{{-3 코치}}} || == 성적 == ||<-4> [[Element Mystic/배틀그라운드|[[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height=45]]]] || || {{{#ffc53d 기간}}} || {{{#ffc53d 순위}}} || {{{#ffc53d 대회}}} || {{{#ffc53d 획득 상금}}} || || 2017.12.17 || '''{{{#white 7위}}}''' || [[HOT6 PUBG Survival Series Beta]] 스쿼드 예선 || - || || 2018.02.04 || '''{{{#white 30위}}}''' || [[HOT6 PUBG Survival Series Beta]] 스쿼드 본선 || - || || 2018.03.16 || '''{{{#white 4위}}}''' || [[PUBG Warfare Masters Pilot]] || ₩ 6,000,000 || || 2018.04.07 || '''{{{#white 25위}}}''' || [[kakaoTV PUBG #1 Club Match#]] || - || || 2018.04.23 || '''{{{#white 5위}}}''' ||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 ₩ 1,000,000 || || 2018.05.09 || '''{{{#white 22위}}}''' || [[2018 HOT6 PUBG Survival Series Season 1]] || - || || 2018.06.26 || '''{{{#white 26위}}}''' || [[2018 HOT6 PUBG Survival Series Season 2]] || - || || 2018.11.23 || '''{{{#white 29위}}}''' || [[KT 10 기가 인터넷 펍지 코리아 리그 2018 하반기]] - 정규 시즌 || - || || 2019.03.23 || '''{{{#ffffff 7위}}}''' ||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1]] || ₩ 10,000,000 || || 2019.06.29 || '''{{{#ffffff 15위}}}''' ||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2]] || - || || 2019.10.12 || '''{{{#white 15위}}}''' ||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 - || || 2019.10.19 || '''{{{#white 9위}}}''' ||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선발전|PUBG Global Championship 2019 - Korea Qualifier]] || - || || 2020.01.19 || '''{{{#white 12위}}}''' ||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 - || || 2020.03.14 || '''{{{#white 3위}}}''' || [[PGS: Berlin Korea Qualifier]] || ₩ 10,000,000 || || 2020.03.31 || '''{{{#white 11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1|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1]] || - || || 2020.04.07 || '''{{{#white 16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1|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2]] || - || || 2020.04.14 || '''{{{#white 8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1|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3]] || - || || 2020.04.21 || '''{{{#white 2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1|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4]] || - || || 2020.04.28 || '''{{{#white 11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1|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5]] || - || || 2020.05.09 || '''{{{#white 18위}}}''' ||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2]] || - || || 2020.05.24 || '''{{{#white 9위}}}''' || [[PUBG Continental Series Asia Charity Showdown]] || $1,500[* 2020년 5월 25일 환율 기준 372만 6000원] || || 2020.06.10 || '''{{{#white 5위}}}''' || [[PCS 1 ASIA Korea Qualifier]] || - || || 2020.07.05 || '''{{{#white 11위}}}''' || [[PCS 1 ASIA]] || $3,953[* 2020년 7월 6일 환율 기준 471만 9882원] || || 2020.08.15 || '''{{{#white 14위}}}''' || [[PUBG Continental Series 2 Asia/선발전|PCS 2 ASIA Korea Qualifier]] || - || || 2020.10.10 || '''{{{#white 16위}}}''' || [[PCS 3 ASIA Korea Qualifier]] || - || || 2020.10.13 || '''{{{#white 9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2|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2 Week 1]] || - || || 2020.10.20 || '''{{{#white 12위}}}''' || [[배틀그라운드 위클리 시리즈 페이즈 2|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2 Week 2]] || - || || 2020.12.09 || '''{{{#white 4위}}}''' ||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3]] || - || * 누적 상금 : '''₩35,445,882''' == 기타 == === Lunatic-Hai 시절 === ==== 아스란 [[Gen.G BLACK|젠지 블랙]] 디스 및 팬 욕설 논란/제재 ==== [[배틀그라운드 갤러리]]에서 제기한 논란으로 루나틱하이의 아스란 김재성 선수가 6월 21일 개인방송에서 방송을 시청하고 있던 타 팀 팬에게 욕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ttlegrounds&no=1142226&page=1&exception_mode=recommend|배갤에 올라온 정리글]]) 아스란이 스크림 도중 [[Gen.G BLACK]]과의 대치 상황에 분노하여 블랙을 디스하던 중([[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ttlegrounds&no=1142026&page=1&exception_mode=recommend|디스 내용]])에 블랙의 팬으로 추정되는 시청자가 시비를 걸었고, 아스란이 타 팀의 팬을 비하하는 용어로 욕을 날린 뒤 영구 밴을 했다는 것.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ttlegrounds&no=1142061&page=1&exception_mode=recommend|#1]],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ttlegrounds&no=1142089&page=1&exception_mode=recommend|#2]]. 타 팀을 디스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타 팀의 팬을 '~갈'[* [[메갈]]의 갈에서 따온 용어로 이스포츠 팬덤에서 과격한 팬덤을 이르는 멸칭이다. [[슼갈]]이 대표적. 메갈이 대중들에게 일베와 동급의 이미지로 취급받는 이상 빼도박도 못하는 욕설이다. 사건 당시 아스란은 블갈과 씨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이라는 용어를 사용해가며 공개적으로 욕한 것은 문제가 된다는 의견이 많다. 일부 갤러는 증거 영상을 펍지에 보내겠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배그 프로씬에 대한 온갖 루머가 판치는 [[배틀그라운드 갤러리]] 발 정보인데다, 당시 시청자 수가 50명 안팎이었고, 21일에 있던 문제의 개인방송 다시보기는 삭제된 상황이기 때문에 정확한 사실 여부는 불명이었기 때문에 신중론을 펴는 이들도 적지 않지만 배그갤에서도 '사실일 경우 그냥 넘어가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여론이 많은 상황이었다. 일단 22일 APL 경기에 아스란을 비롯한 루나틱하이 선수들이 출전하긴 했으나 여론은 미묘한 상황. 아스란의 트위치 채널은 모든 다시보기가 사라졌고, 채팅창에는 루나틱과 블랙이 멸망전을 벌이길 바라며 팝콘을 씹는 반응도 다수이나 루나틱하이의 코치가 '당장 방송을 끄라'면서 아스란을 질책하는 음성이 방송을 탔고, 코치 입장에서 안정적인 전략을 버리는 것은 용인할 수 없을테니 랜드마크 멸망전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실제로 본경기에서 루나틱하이는 평소대로 운영을 했고, 젠지 블랙과의 멸망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아스란의 언행에 대해 블랙 선수들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http://gomjang5392.wixsite.com/pubgkresports/blog/2018-pubg-korea-league-%EC%A0%9C%EC%9E%AC-%EC%95%88%EB%82%B4-7|2018 PUBG Korea League 제재 안내 #7]] 6월 24일, 결국 펍지 측에서 제재와 징계를 결정했다. 위반 규정은 비신사적 행위/불건전한 언행 항목이며, 규정에 따라 루나틱하이는 APL S2, PSS S2에 각각 300점씩 팀 점수를 차감했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01967&site=battlegrounds|기사]]) 아스란의 코리아리그 시즌 2에 출전 자체가 불투명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여론이 많았으나 아스란 개인이 아닌 팀 단위로 제재를 받았다. 그리고 같은날 24일 트위치 피드에 아스란의 사과문이 올라왔다. >안녕하세요 아스란입니다. >프로선수로써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했습니다. >프로인 것을 망각하고 개인방송 중 시청자에 대한 욕설 및 타팀 비하를 하였고 이점에 있어서 전적으로 무조건 제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블랙 팀에 관련하여 사건이 있은 후 대회장에서 블랙 팀 팀원 분들 한 분 한 분에게 사과를 드렸고 긴 대화와 함께 좋게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펍지측으로부터 PKL 포인트 300점 감점과 APL PSS 각각 300점 감점이라는 징계를 받았습니다. >루나틱팀의 맏형으로써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어야 하는데 프로투어 대회 하나에 모든 걸 걸고 노력해온 팀원들을 저로 인해 피해를 보게 했고 폐를 끼친 점 팀원들에게 미안합니다. >앞으로는 프로선수인 것을 자각하고 행동 및 언행에 있어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선수가 되겠습니다. 사건 자체는 아스란의 사과로 서로 좋게 마무리 되었다고 밝혔고, 루나틱하이는 300점 감점으로 25일 APL 2차 와일드카드전에서 최하위권를 기록해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그리고 시즌 2가 끝난 뒤 아스란이 새 팀을 구한다는 메시지가 프로씬 디스코드방에 올라왔다. 자의든 타의든 결국 팀을 나오게 된 모양. [[분류:나무위키 배틀그라운드 프로젝트]][[분류:배틀그라운드/e스포츠 팀]][[분류:해체된 e스포츠 팀]][[분류:2020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