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m(엔터메이지))] [목차] == 개요 == [[Em(엔터메이지)]] 문서에서 OCG화되지 않은 카드 관련 내용을 분리한 문서. [[EMEm]]의 깽판을 경계한 탓인지 아크파이브 애니 카드군 중에서는 OCG화되지 않은 카드의 비율이 독보적으로 높다. EM 카드들은 이래저래 OCG화된 경우가 많은 것과는 대조적.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Em 스트링 피규어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erformageStringFigure-JP-Anime-AV-NC.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스트링 피규어'''||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ストリング・フィギュア'''||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String Figur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2> 0 || ||<-5>①: 상대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배틀 페이더|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②: [[마슈마론|이 카드는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다.]] ③: [[매시브 워리어|이 카드의 전투로 인해 발생하는 이 카드의 컨트롤러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④: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융합" 없이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여 융합 소환할 수 있다.|| ||<-5>'''무한하게 모습을 바꾸는 하나의 실'''|| ==== Em 매직 택티션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geMagicTactician-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매직 택티션'''||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マジック・タクティシャン'''||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Magic Tactician'''(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2> 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5 ||<-3>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가 마법 / 함정 / 몬스터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5 || ||<-5>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이 마법 / 함정 / 몬스터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 패에서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대상을 그 몬스터로 옮긴다.|| ==== Em 리버서블 댄서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geReversalDanc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리버서블 댄서'''(미발매)||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リバーサル・ダンサ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Reversal Danc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2> 1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2 ||<-3>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이 카드의 효과로 올랐을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올랐던 수치만큼 올린다.|| 2 || ||<-5>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 또는 수비력이 카드의 효과로 변화할 경우,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변화한 수치만큼 올린다.|| === 레벨 2 === ==== Em 보너스 딜러 ==== [[파일:external/05db0039b43ebb5f263e778e3a180dea8cafcaca2dab8e0f6cba95c83064f7ab.jp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보너스 딜러'''||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ボーナス・ディーラ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Bonus Deal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000 || 1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3 ||<-3>①: 패에서 "Em(엔터메이지)" 몬스터 또는 "EM(엔터메이트)" 몬스터를 1번에 3장 이상 펜듈럼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3 || ||<-5>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엔드 페이즈까지 1000 올린다.|| 주인과 많이 닮았다. 베리어 버블처럼 EM(엔터메이트)와 Em(엔터메이지)를 동시에 지정하는 펜듈럼 효과가 있다. ==== Em 캔디 크래프트맨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geCandyCraftsman-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캔디 크래프트맨'''(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キャンディ・クラフトマン'''||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Candy Craftsman'''(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800 || 20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5 ||<-3>①: 상대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하지 않은 배틀 페이즈 종료 시, 또는 상대 배틀 페이즈 시 상대 필드의 공격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1000 LP를 회복한다.|| 5 || ||<-5>①: 1턴에 1번,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자신은 전투 데미지를 받는 대신에, 그 수치만큼만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 레벨 3 === ==== Em 오버레이 저글러 ==== [[파일:external/393ec82d27efb4b870adf93e4c739a799cad0f274978ee4f4fafccb205ee029f.jp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오버레이 저글러'''||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オーバーレイ・ジャグラ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Overlay Juggl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200 || 6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6 ||<-3>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서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6 || ||<-5>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그 대상의 엑시즈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서 엑시즈 소재로 한다.|| === 레벨 4 === ==== Em 파이어 댄서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329px-PerformageFireDanc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파이어 댄서'''||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ファイヤー・ダンサ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Fire Danc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화염]]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400 || 12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6 ||<-3>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6 || ||<-5>①: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 그 상대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내린다.|| ==== Em 볼 라이더 ==== [[파일:external/886ef56d3349edd45d6124bb13ce33ebc9f7c7aa479a67837c97fc5d6f3bb66b.jp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볼 라이더'''||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ボール・ライダ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Ball Rid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000 || 18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3 ||<-3>①: 1턴에 1번,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3 || ||<-5>①: 특수 소환된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펜듈럼 몬스터인데 펜듈럼 효과도 몬스터 효과도 죄다 묘지 관련이다. 작중에선 58화에서 RR-브레이즈 팔콘의 직접 공격에 대항해 묘지에서 특수 소환됐지만, 브레이즈 팔콘에 효과에 의해 폭살 다음 턴 다시 특수 소환된다. 59화에선 윙 샌드위치맨의 효과로 레벨이 5가 돼 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의 엑시즈 소재가 됐다. 74화에서도 소환돼 Em 트래피즈 매지션의 엑시즈 소재가 됐다. 112화에서도 재등장했는데, 레벨 3으로 잘못 표기됐다. ==== Em 워터 댄서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rformageWaterDanc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워터 댄서'''||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ウォーター・ダンサ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Water Danc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200 || 14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2 ||<-3>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한다.|| 2 || ||<-5>①: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 그 상대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한다.|| ==== Em 버블 가드너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erformageBubbleGardna-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버블 가드너'''(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バブル・ガードナ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Bubble Gardna'''(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800 || 20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2 ||<-3>①: 다른 한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Em(엔터메이지)" 카드가 존재할 경우, 1턴에 1번,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할 수 있다. 전투 데미지를 절반으로 한다.|| 2 || ||<-5>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그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5>'''물거품의 수호자'''|| ==== Em 필름지 스리머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erformageFilmsySlimm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필름지 스리머'''(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フィルムジー・スリマ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Filmsy Slimm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00 || 12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3 ||<-3>①: 다른 한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여있는 턴에 1번, 이 카드를 패를 되돌릴 수 있다. 이 효과로 패에 되돌린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여할 수 없다.|| 3 || ||<-5>①: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5>'''궁지를 모르는 재치꾼'''|| === 레벨 5 === ==== Em 윈드 서커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329px-PerformageWindSuck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윈드 서커'''||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ウィンド・サッカ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Wind Suck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바람|바람]]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2100 || 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4 ||<-3>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1개 내린다.|| 4 || ||<-5>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내린다.|| ==== Em 윙 샌드위치맨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erformageWingSandwichman-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윙 샌드위치맨'''||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ウィング・サンドイッチマン'''||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Wing Sandwichman'''(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800 || 21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1 ||<-3>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놓여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은 턴 종료시까지, 대상의 몬스터의 펜듈럼 스케일과 같아진다.|| 1 || ||<-5>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릴 수 있다. ②: 이 카드의 레벨과 같은 레벨을 가진 "Em(엔터메이지) 윙 샌드위치맨"이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 그 몬스터와 이 카드가 존재하는 몬스터 존의 사이의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은 이 카드와 같아진다.|| ==== Em 컵 트릭커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geCupTricker-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컵 트릭커'''||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カップ・トリッカ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Cup Tricker'''(미발매)||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200 || 1400 || || {{{#blue ◀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 1 ||<-3>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대상의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서 엑시즈 소재로 한다.|| 1 || ||<-5>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그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후, 이 효과의 대상이 된 몬스터의 공격력을 600 내린다. ②: 엑시즈 소재의 이 카드가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제거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의 엑시즈 소재 1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엑시즈 소재를 자신 필드의 다른 엑시즈 몬스터 1장의 아래에 겹쳐서 엑시즈 소재로 한다.|| 공개된 원작 카드 이미지엔 실수로 '마법사족'과 '효과' 사이에 적혀 있어야 할 '펜듈럼' 카테고리 지정이 빠졌다.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5 === ==== 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 ==== [[파일:external/effa6976d628452730f8a28a2b1e8e42bcf95099ec06534e6f2a4e164ddf7c56.jp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影絵師シャドー・メイカー'''||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Shadow Maker'''|| ||<-5> [[엑시즈 소환|엑시즈]] / 효과 몬스터 || || 랭크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2600 || 1000 || ||<-5>레벨 5 몬스터 × 3[br]①: 이 카드가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Em(엔터메이지)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 1장을 특수 소환한다.|| ||<-5>'''내려서라, 마계의 예술가! 엑시즈 소환! 나와라! 랭크 5! 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降り立て, 魔界の芸術家!エクシーズ召喚!ランク5!Em影絵師シャドーメイカー!)'''|| 엑시즈 소재는 3장인데 효과를 발동할 기회는 사실상 2회가 한계라 애매하단 소리를 많이 듣는다. 만일 OCG화가 된다면 소재 요구 조건을 2장으로 바꾼다거나 혹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추가 효과를 부여하던가 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도 있을 지도 모른다. 59화에서 첫 등장. 등장하자마자 가위로 브레이즈 팔콘을 파괴하지만, 장착 마법 [[RR(유희왕)|랩터즈 얼티미트 메이스]]의 효과로 데미지를 주진 못했다. 그 후 슌의 [[트랩 부스터|광속속공]]과 [[RR(유희왕)|RUM-레볼루션 포스]]의 콤보로 컨트롤을 빼앗기고 [[RR-레볼루션 팔콘]]의 엑시즈 소재가 됐지만, 그 전에 자신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의 2번째 섀도우 메이커가 데니스의 필드에 특수 소환됐다. 그러나 갑자기 [[시큐리티]]의 난입으로 듀얼이 중단됐다. 74화에선 그림자에서 튀어나오는 연출로 재등장. [[Em 트래피즈 매지션]]의 효과로 순식간에 3장이 소환되고 2장이 공격 횟수 2회 효과를 얻었으나, 슌의 [[RR-레볼루션 팔콘]]에 의해 공격도 못해보고 퇴장. ==== Em 트래피즈 하이 매지션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geTrapezeHighMagician-JP-Anime-AV.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Em(엔터메이지) 트래피즈 하이 매지션, 일어판명칭=Em(エンタメイジ)トラピーズ・ハイ・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Performage Trapeze High Magician, 속성=빛, 레벨=5, 공격력=2700, 수비력=2200, 종족=마법사족, 효과1=마법사족 레벨 5 몬스터 × 2, 효과2=①: 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이 카드는 3회까지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②: 이 카드가 랭크 4 이하의 마법사족 엑시즈 몬스터를 소재로 하여 엑시즈 소환에 성공한 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3회까지 공격할 수 있다(직접 공격은 1회까지).)] ||<-5>'''Show must go on! 천공의 요술쟁이여! 더욱 화려하게, 더욱 쾌활하게! 한층 더 큰 무대를 휘저어라! 랭크업 엑시즈 체인지! 나타나라! 랭크 5! Em 트래피즈 하이 매지션!(Show must go on! 天空の奇術師よ!もっと 華麗に, もっと 鮮烈に, 更なる 大舞台を駆け巡れ!ランクアップ・エクシーズ・チェンジ! 現れろ!ランク 5! Emトラピーズ・ハイ・マジシャン!)'''|| == 융합 몬스터 == === 레벨 7 === ==== Em 트래피즈 포스 위치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rformageTrapezeForceWitch-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Em, ruby=엔터메이지)] 트래피즈 포스 위치'''|| || 일어판 명칭 ||<-4>'''[ruby(Em, ruby=エンタメイジ)] トラピーズ・フォース・ウィッチ'''|| || 영어판 명칭 ||<-4>'''Performage Trapeze Force Witch'''||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2400 || 1800 || ||<-5>"Em(엔터메이지)" 몬스터 × 2[br]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고, 상대의 효과 대상이 되지 않는다. ②: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할 수 없다. ③: 자신 필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그 상대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600 내린다.|| ||<-5>'''천공을 누비는 새로운 마녀가 되어라! 융합 소환! 나타나라, 레벨 7! Em(앤터메이지) 트래피즈 포스 위치!(天空を駆る新たな魔女となれ!融合召喚!現れろ、レベル7!Em トラピーズ・フォーズ・ウィッチ!)'''|| 114화에 첫 등장.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의 공격력을 낮춰서 트래피즈 매지션과 공격하는 등 여러모로 활약했지만 사이퍼 드래곤의 진화체인 [[네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의 효과로 트래피즈 매지션과 사이좋게 컨트롤을 빼앗긴다. == 마법 카드 == === 엔터메이지 [[허리케인(유희왕)|허리케인]]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erformageHurricane-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엔터메이지 [[허리케인(유희왕)|허리케인]]'''|| || 일어판 명칭 ||'''エンタメイジ・ハリケーン'''|| || 영어판 명칭 ||'''Performage Hurricane'''|| ||<-2> 일반 마법 || ||<-2>①: 필드에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허리케인(유희왕)|'''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기존 허리케인의 위력과 그 쉬운 발동 조건을 보면, 이대로 OCG화될 일은 사실상 없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Em(엔터메이지), version=423)]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