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반적인 의미의 에너지, rd1=에너지)] [include(틀:Dynamix/Wave Test/Class09-Ultra-3)] [목차] == 개요 == [youtube(M-6Ly8FbFcE,width=560,height=315)] --Pa-Pa-Pa-Party!!-- [[리듬게임]] [[Dynamix]]의 수록곡. 작곡가는 [[https://soundcloud.com/tada-muz|Tada]], 장르는 [[해피 하드코어]]. == 정보 == |||||||| '''Energy''' || |||||||| [[파일:20190602_215608.jpg|width=240]] || ||<:>작곡가||||||||||||||||||||<:>Tada|| ||<:>BPM||||||||||||||||||||<:>173|| ||<:>난이도||||<:>레벨||||<:>노트수|| ||<|2> {{{#purple MEGA}}} ||||<|2> {{{#purple 13}}} ||||<:>{{{#purple 1220 (수정 전)}}}|| ||||<:>{{{#purple 1202 (수정 후)}}}|| ||||<:>좌측라인||||<:>우측라인|||| ||||<:>일반&홀드||||<:>일반&홀드|||| [youtube(hX-kmbO7WZw,width=560,height=315)] 구 메가 채보 오메가 영상. 플레이어는 nanoflower. [youtube(KeWlDYpZGtk,width=560,height=315)] 신 메가 채보 오메가 영상. 플레이어는 Ritxman. Wave Test 9단의 마지막 곡이다. === 3.7버전에서의 채보 === 전체적으로 고난도 채보가 많은데, 일단 초반의 사이드 + 3연타 + a를 비롯해서 초중반의 반쪽노트 부분, 중앙 슬라이드 + 사이드 16비트 트릴로 이 곡이 13레벨임을 확실하게 각인시킨다. 그 외에 콤보 브레이커는 [[갈륨비소]]를 연상케 하는 중살 폭타. 그 전에 쉬는 구간을 많이 준 것도 아니고 8비트 연타 세례 다음에 들어오는지라 체력이 급격히 빠진다. 그 후 --또-- 사이드 트릴+중앙 견제를 처리해야 한다. 그 뒷부분은 사이드 8비트 연타만 잘 처리한다면 나름 쉽다. 이런 채보 때문에 [[Vengeance]] 등 14레벨급은 아니지만, [[Flarebirds of Scarlet Prism]] 등의 13레벨 상위권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9단 난민이 꽤 많이 나왔지만 핵불렙이었던 [[bewitched]]에 가려졌었다. === 3.8버전에서의 채보 === [[bewitched]]와 같이 채보가 변경되었다. 그런데 이 곡은 [[bewitched]]처럼 심각한 불렙이었던 것도 아니라서 왜 바뀌었는지도 잘 모르겠다(...) 달라진 부분이 몇가지 있다. 우선 초중반 반쪽노트가 조금 더 커졌다는 점, 첫 사이드 트릴에 나오는 센터 슬라이드 견제가 바뀌었다는 점[* 수정 전에는 슬라이드 노트가 센터 전체적으로 분포되었지만, 수정 후에는 우측에만 분포되게 하였다.], 기습 데님 전에 단타가 아닌 슬라이드가 나온다는 점, 기습 데님 이후 양사이드에서 홀드노트가 나온다는 점[* 수정 전에는 우측에만 단타가 있었다.], 그리고 중살 폭타가 더 꼬여 있다는 점이 있고, 또 두번째 사이드 트릴 이전의 패턴이 약간 바뀌었고, 사이드 트릴 이후 패턴은 마지막 박자의 멜로디에서만 뒷음 + 샘플링 패턴이 나오고, NRG 슬라이드 노트 아트는 단홀드로 바뀌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수정되기 전보다 살짝 쉬워진 정도. 하지만 여전히 13레벨 상위권이며 bewitched보다 덜하다 뿐이지 난민양산곡으로 악명높은건 마찬가지다. [[분류:Dynami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