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ntry Point)] [목차] == 개요 == [[Entry Point]]의 장비들을 모아둔 문서이다. == 장비 목록 == === 무기 === 게임 대기실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인게임에서는 무기가 떨어져 있으면 주울 수 있다. 무기를 버릴 때 탄창은 버리지만 추가 탄약을 버리지는 않는다. 무기를 가지고 있을 때 똑같은 총알을 사용하는 무기를 밟고 지나가면 총당 한번만 탄약 수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든 무기들은 최대 은폐도(기본 6칸. 안주머니 스킬과 속주머니 스킬으로 최대 8칸까지 늘릴 수 있음)를 넘겨서 장착하면 무기를 들지 않아도 Armed 상태가 된다. 또한 의외로 고증을 맞춰놨는데, 전탄 소모 후 장전 시 노리쇠를 당긴다거나, 장전해서 탄창이 빠졌을 때 약실에 남아있는 1발도 구현해놨다. (낮음- 약간 낮음 - 보통 - 약간 높음 - 높음 순으로) 소지 탄약은 다음과 같다. || 구경 || 해당 탄종을 사용하는 무기 || 기본 소지 탄수 || 히든 리저브로 추가되는 탄수 || '''이론상''' 소지 가능한 최대 탄수 || || '''9mm''' || UP9, S97 || 90 || 45 || 225 || || '''.45 ACP''' || K45, MM20 || 90 || 45 || 225 || || '''.50 AE''' || Raven || 90 || 45 || 225 || || '''12 Guage''' || 480 MCS || 30 || 15 || 75 || || '''5.56mm''' || F57, Sawblade || 150 || 75 || 375 || || '''7.8mm''' || CBR-C || 60 || 30 || 150 || || '''7.62mm''' || CH-A || 45 || 22 || 112 || || '''40mm 유탄''' || Thumper[* 총알이 유탄이라는 점 때문에 수류탄을 넣고 쏠수는 없다] || 2 || 1 || 5 || ==== [[권총]] ==== * 무기 마스터리 * '''아킴보로 사격 가능.'''[* 같은 권총 2개를 장비해야 함.] * 아킴보로 사격 시, 발사속도가 기본의 '''2배가''' 되지만,[* 권총의 기본 발사속도는 초당 8발 정도이며, 레이븐은 초당 5발이다. 고로 아킴보를 쓰면 '''이론상 초당 16발 혹은 초당 10발을 쉼없이 갈길 수 있다!'''] 정조준 시 시야가 약간 애매해지며, 재장전 시간이 약 2배로 늘어난다. 여담으로 출시 초기에는 빠른 속도로 사격했을 때 슬라이드가 뒤로 빠져 고정되는 버그가[[https://youtu.be/tfFrnWXOT9s?t=155|#]] 생기는 문제가 있었으나, 지금은 수정된 상태다. * '''재장전 속도 25% 증가'''[* 아킴보 상태가 아닐 시에 적용됨.] ||<-9> [[CZ75|UP9]] || ||<|6>[[파일:Entry Point UP9.png]] || || 데미지 || 낮음 || || 반동 || 낮음 || || 탄퍼짐 || 낮음 || || 사거리 || 짦음 || || 은폐도 || 4칸 || || 사용 탄약 [[9mm 파라벨럼|9mm]] x 12+1 || 가격 1400$ || 배치비용 250$ 혹은 50$ || > 연방 방위 산업은 2002년 UP9을 제작하고 난 뒤 몇몇 조사를 받았습니다. 그늘진 사업 관행을 제쳐두고, 회사는 무기 밀거래 시장에 빠르게 침식된 값싼 저품질 총을 만들었죠. 소송에도 불구하고 이 무기는 여전히 생산 중이며, 저급 범죄자들이 선호하는 무기입니다. 신뢰성은 바닥을 치지만, 값이 싸고 숨기기도 쉽습니다. 충분하죠? 과거에 은행 경비들이 들고 다녔었던 무기. 데미지가 약하지만, 가격이 매우 저렴해[* 커스터마이즈 버전의 UP9도 배치 비용이 매우 싸다.] Stealth에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무기다. 여담으로 베타 버전까지에는 무료로 제공하는 UP9에 소음기가 기본으로 부착되어있지 않아 뉴비한테 진입장벽이 매우 높았다. [[2020년]] [[1월 18일]] 이전까지는 배치 비용이 아예 없었으나, 현재는 배치 비용으로 250$를 소모하게 되었고, 이름마저 '''"비상용 UP9"'''로 변경되었다. 후에'''"스톡 UP9"'''로 바뀌었다. ||<-9> [[M45A1 CQBP|K45]] || ||<|6>[[파일:Entry Point K45.png]] || || 데미지 || 보통 || || 반동 || 보통 || || 탄퍼짐 || 낮음 || || 사거리 || 보통 || || 은폐도 || 4칸 || || 사용 탄약 .45 ACP x 8+1 || 가격 11500$ || 배치비용 100$ || 현재 은행 경비들이 들고 다니는 무기. MM20과 총알을 공유하기 때문에 MM20을 쓸거라면 주워놓는걸 추천한다. 사실상 가장 인식이 좋지 않은 권총이라 평가받는데 UP9처럼 은신용으로 쓰기엔 무조건 사용되는 100$의 배치가격과 조준경의 부재, 같은 가격대와 같은 장탄수인 7발의 RAVEN과 너무나도 비교되는 낮은 데미지, 총알 수급의 어려움과 11500$의 만만치 않은 가격으로 너무나도 가성비가 영 좋지 못하기까지해 악평이 자자하다.[* 호숫가의 집이랑 블랙 사이트에서는 경비들이 K45 대신 S97을 들고 다니기 때문에 탄을 얻지 못한다. ] 여담으로, 경찰과 경비원은 8발이 아닌 12발을 쏘고 장전한다. UP9을 쓰던 시절의 스크립트를 바꾸지 않은 듯 하다. ||<-9> [[IMI Desert Eagle|RAVEN]] || ||<|6>[[파일:Entry Point RAVEN.png]] || || 데미지 ||매우 높음 || || 반동 || 매우 높음 || || 탄퍼짐 || 낮음 || || 사거리 || 매우 높음 || || 은폐도 || 5칸 || || 사용 탄약 .50 AE x 6+1 || 가격 13000$ || 배치비용 150$ || > "몇몇 사람들은 이건 실용성이 없다고 하지. 물론, 너도 [[50구경|이 정도 구경]]의 권총은 납득할 수 없을거야. 월요일 아침에 잡혀있는 너의 일정이 침입하고, 경찰과 가벼운 총격전을 벌어야하는게 아니라면. 넌 얘와 같은 모델의 레이븐을 프리랜서 일을 하면서 몇년간 썼지. 하지만 너의 마지막 레이븐은 탈취됐-... 아니 잃어버렸어. 하지한 그게 너가 이번 일을 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니잖아. 안 그래?" Expanded Arsenal 게임패스로 살 수 있는 무기 중 하나. 스텔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주머니나 은닉 총집 스킬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권총 중에는 가장 쓸만한 무기다. 스텔스에서 라우드로 옮겨갔을 때 낮은 연사력이 발목을 잡지만 아킴보로 운영하면 그런 단점도 사라진다. 물주 미션의 라이언 로스[* 전설 난이도의 경우 로스 옆에 붙어있는 보디가드도 레이븐을 사용한다]와 SCRS의 에이전트가 착용하는 무기이다. 유일하게 도색을 장착 가능하다. * 도색 * 크롬 : 무료. 하얀색이다. * 검정 : 500$. 검은색이다. * 은색 : 500$. 회색이다. * 금색 : '''112000$.''' 금색이다.[* [[파일:엔포 금삐까 레이븐.png]]] * Gold Split : 98000$. 이벤트인 Anniversary 2021 에서 5일차 챌린지를 깨면 살 수 있다.[* Raven이 없다고 걱정하지 말자. 해당 일차 챌린지를 깨면 레이븐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게임패스 없이도 레이븐을 살 수 있게 된다.][* [[파일:Entry Point Gold Split Raven.png]]] * 크롬 슬라이드 : 일일 챌린지 보상[* '''프리랜서''', '''블랙사이트''', 일부 컷씬에서 등장하는 도색이며, 실제 게임 내에서는 사용해볼 수 없었지만 일일 챌린지의 '''마지막 보상'''으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파일:엔포 프리랜서의 레이븐.png]]] ==== [[기관단총]] ==== * 무기 마스터리 * '''은폐도가 2 낮아진 것으로 취급됨.''' ||<-9> [[H&K MP7|S97]] || ||<|6>[[파일:Entry Point S97.png]] || || 데미지 || 약간 낮음 || || 반동 || 보통 || || 탄퍼짐 || 약간 낮음 || || 사거리 || 약간 낮음 || || 은폐도 || 5칸 || || 사용 탄약 9mm[* 실제로는 [[HK 4.6×30 mm]]을 사용하지만, 편의상 9mm로 분류한 것 같다.] x 30+1 || 가격 9500$ || 배치비용 150$ || 다른 총기에 비하여 반동이 심하게 느껴지는 무기임으로 적응만 된다면 무반동 수준으로 잘 쏠수 있지만, 아직도 익숙하지 않으면 가슴을 조준하고 쏴보자. 반동에 의해 총구가 머리로 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9> [[KRISS Vector|MM20]][* 이 그림은 MM20 전용 스톡이 붙어 있으며, 아무것도 장착하지 않으면 개머리판이 빠져 있다.] || ||<|6> [[파일:Entry Point MM20.png]] || || 데미지 || 약간 높음 || || 반동 || 중간 || || 탄퍼짐 || 낮음 || || 사거리 || 중간 || || 은폐도 || 5칸 || || 사용 탄약 .45 ACP x 20+1 || 가격 33000$ || 배치비용 350$ || >"MM20은 2005년 중국 SOF에서 제작, 디자인되었습니다. 북아메리카 에선 얻기 힘들지만, 운이 좋게도 Armera에서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총은 큰 반동과 함께 '''3점사가 되며''', 중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처리하도록 디자인 되었습니다. 요원들은 정확도, 저지력, 은닉도 때문에 MM20을 좋아합니다." Expanded Arsenal 게임패스로 살 수 있는 총기 중 하나. 소지 탄약이 적다는 단점이 있지만 3점사 때문에 총알을 매우 쉽게 아낄 수 있다. ==== [[산탄총]] ==== * 무기 마스터리 * '''위협 거리 25% 증가.''' *숏스톡이랑 안주머니 스킬이랑 함께 쓰면 스킬 포인트를 많이 투자해야 한다는 단점 빼곤 무난한 마스터리. ||<-9> [[M870 MCS|480 MCS]] || ||<|6>[[파일:Entry Point 480 MCS.png]] || || 데미지 || 근거리에 매우 높음 || || 반동 || 낮음 || || 탄퍼짐 || 근거리에 낮음 || || 사거리 || 매우 낮음 || || 은폐도 || 7칸 || || 사용 탄약 12 Gauge x 7+1 || 가격 6000$ || 배치비용 125$ || 근거리에서 웬만한 적은 한방이다. SWAT 혹은 용병 중에서 이 산탄총을 들고 있는 놈들도 있다. 엘리트 이상이면 가까이서 맞지 말 것. 샷건은 라우드에서 쓰기에 위협 사거리 증가는 조금 애매하다고 볼 수 있지만, 사실 마스터리와 연계되는 공격력 강화 특성과 달리면서 사격과 조준을 쓰려고 하는 것이다. 다만 위에서 이미 언급했다시피 용병이나 SWAT 등 적군이 들면 상당한 화력을 자랑하기에 주의하자. 처음부터 하나를 가지고 시작한다. ==== [[소총]] ==== * 무기 마스터리 * '''탄퍼짐 40% 감소.''' * F57을 주로 쓰는 플레이어에게는 필수 마스터리. 안정된 조준 스킬과 함께 쓰면 좋다. ||<-9> [[Kel-Tec RFB|CBR-C]] || ||<|6>[[파일:Entry Point CBR-C.png]] || || 데미지 || 높음 || || 반동 || 보통 || || 탄퍼짐 || 낮음 || || 사거리 || 높음 || || 은폐도 || 8칸 || || 사용 탄약 7.8mm rifle x 10+1 || 가격 13500$ || 배치비용 125$ || 탄약 소모가 빠른 F57에 비하면 탄약이 체감상 넉넉하며, 체감상 SWAT들이 가장 많이 들고 다니는 무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탄약 보충도 무리 없이 할 수 있으며, 자신이 에임이 좋은 편이라면 F57 대신 이 무기를 드는 걸 추천한다. 특이하게 아이언 사이트를 부착할수 없고 미니 사이트가 기본 장착이다. ||<-9> [[CZ-805|F57]] || ||<|6>[[파일:Entry Point F57.png]] || || 데미지 || 보통 || || 반동 || 보통 || || 탄퍼짐 || 보통 || || 사거리 || 보통 || || 은폐도 || 7칸 || || 사용 탄약 5.56 NATO x30+1|| 가격 23500$ || 배치비용 250$ || 라우드 가성비 최강이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국민무장이다. 23500$라는 상당한 가격대임에도 가성비가 매우 좋아 라우드를 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전부 이 무기를 사용한다. 같은 소총 계열인 CBR-C보다 화력이 높고 중화기인 Sawblade보다 무려 3만원이나 싸고 이동 패널티도 거의 없는데다 좋은 가성비로 라우드에서 가장 많이 애용되는 총기이다. 개조를 하거나 스킬을 좀 찍으면 데미지가 꽤 높아진다. 다만 탄퍼짐이 무시할 정도는 아니니 멀리 있는 적은 머리 대신 몸통을 노리는게 좋다.[* 그래도 반동은 풀스톡을 끼면 완전히 없어진다고 해도 무방하니 반동은 걱정 말자.] ==== [[저격소총]] ==== * 무기 마스터리 * '''적 NPC, 방탄유리, 방패 관통 가능.''' * 방패를 관통하는 능력은 라우드 프로 난이도 이상에서 방패를 쓰는 SWAT을 쉽게 잡을 수 있다. 방탄 유리를 관통하는 기능은 플랜 A에서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는데, 특히 호숫가의 집 임무에선 서버실의 문을 굳이 번거롭게 키카드나 스크램블러로 30초를 소비하지 않고 문 뒤에 있는 장치를 쏴서 열 수 있다. ||<-9> [[M14 소총|CH-A]] || ||<|6>[[파일:Entry Point CH-A.png]] || || 데미지 || 매우 높음 || || 반동 || 보통 || || 탄퍼짐 || 매우 낮음 || || 사거리 || 매우 높음 || || 은폐도 || 7칸 || || 사용 탄약 7.62 FMJ x5 || 가격 10500$ || 배치비용 250$ || 데미지가 저격총 치고 루키 난이도 SWAT을 몸샷해도 한방에 안 죽을 정도로 문제가 있다.[* 사실 태생이 [[M14 소총|전투소총]]이라 데미지가 생각보다 낮게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절대 낮은 데미지는 아니다.] 하지만 무기 마스터리와 데미지 증가 스킬들을 찍는 순간 엘리트 난이도의 이지스 SWAT를 헤드샷 기준으로 한 탄창 안에 순삭해버리는 상당한 데미지를 보여준다. ==== [[중화기]] ==== * 무기 마스터리 * '''이동속도 패널티 50% 감소.''' * Sawblade를 주력으로 쓸 거라면 반드시 찍어둬야 되는 마스터리. Thumper를 써도 나쁘지는 않다. ||<-9> [[M249|Saw]][[Beta C-Mag|blade]] || ||<|6>[[파일:Entry Point Sawblade.png]] || || 데미지 || 높음 || || 반동 || 보통 || || 탄퍼짐 || 보통 || || 사거리 || 보통 || || 은폐도 || 10칸 || || 사용 탄약 5.56 NATO x100+1|| 가격 52000$ || 배치비용 1000$ || >"쏘우 블레이드"는 Armera에서 직접 제작된 경기관총 바리에이션입니다. 이 Armera에서 커스텀된 무기는 요원들에게 상당히 악명이 높으며, 비싼 값을 기꺼이 치르게 할 연줄이 있는 요원들이 주로 찾는 무기들입니다. 특히, "쏘우 블레이드"는 100발을 수용할 수 있는 탄창, 높은 저지력, 거기에 '''스텔스 같은 헛소리를 박살내버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죠. 당신이 이런 총을 구매한다면... '''당신은 그것을 기꺼이 쓰게 될 것입니다.''' M249, 혹은 MG4에 [[Beta C-Mag]]을 단 형태의 경기관총. 경기관총답게 소지하고 있으면[* 들지 않은 상태에서도 느려진다.] 이동 속도가 매우 느려지지만, 중화기 마스터리를 찍으면 그 이동속도 패널티도 체감이 되지 않을 정도로 낮아진다. 특이하게 아이템 창으로 보이지 않은 양각대가 있는데[* 인게임에서 무기를 들면 보인다] 엎드려서 쏘면 탄퍼짐과 반동이 줄어드는 것으로 양각대가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본 조준경이 매우 구리기 때문에 델타 사이트나 레드 도트로 바꾸는 걸 추천한다. 이름은 [[분대지원화기|SAW]]에 Blade(톱날)를 붙힌 말장난. 설명에서 부터 대놓고 라우드용으로 있음을 알수 있다. ||<-9> [[M79|Thumper]] || ||<|6>[[파일:Entry Point Thumper.png]] || || 데미지 || 높음 || || 반동 || 높음 || || 탄퍼짐 || 탄퍼짐은 없지만 탄낙차가 심함 || || 사거리 || 낮음 || || 은폐도 || 7칸 || || 사용 탄약 40mm Grenade x1|| 가격 28000$ || 배치비용 1000$ || >"텀퍼"는 40mm 구경을 사용하는, 단발 중절식 유탄 발사기입니다. 미국에서 제작되어, 베트남 전쟁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던 기록이 존재하고,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이 무기에 붙은 별명은 유탄이 발사될 때 발생하는 특유의 소리에서 따온 것이죠. 간단해 보이지만 신뢰성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이 "텀퍼"는 요원들의 손에 들리는 순간 휴대성 있으면서도 어마무시한 파괴력을 선보이게 될 것입니다. 전투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다재다능한 도어 브리치용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죠. '''왠만하면 로즈가 손에 쥐지 않게 하는 것이 나을 겁니다.''' 미군의 단발형 '''유탄 발사기'''. 이 게임 내의 거의 대부분의 문을 터트리는 엄청난 성능을 보여준다. 그 대신 총 3~4[* 예전엔 예비 유탄이 6발'''(안에 든 유탄까지 합해서 총 7발!)'''이었으나, 너프 먹고 2발로 줄어들었다.]발밖에 쓸 수 없으며, F57에서 총알을 얻을 수 있는 Sawblade와는 달리 총알을 주울 수 없으며, 유탄을 다 쓰는 순간 바로 버려진다. 보통 이지스 SWAT 처리용으로 쓰거나 혹은 호숫가의 집에서 지하실 문을 터트리는 데 쓰인다.무기실에서 유일하게 쓸 수 없는 무기이다.[* 1/4/19 업데이트 로그에 따르면 "누군가"가 무기 실험실에서 쐈다가 금지를 먹고 "그녀"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아마 여기서 그녀는 로즈를 뜻하고, 금지된 정확한 이유는 해당 무기로 인해 사격장에서 자폭할 수 있기 때문인 듯.] ##||<|2> smg || s97 || 9mm 30발[* 짧은 탄창 착용 시 20발] || 9500 || 150 || 낮음 || 높음 || 보통 || 낮음 || 낮음 || 보통 || 5(+4, -2) || ##|| mm20 || .45 ACP || 33000[* 게임 내 로벅스로 Expanded Arsenal 구매] || 350 || 높음 || 높음 || 보통 || 최저 || 보통 || 2.5 || 5(+8) || ##|| 저격총 || ch-a || 7.62mm FMJ 5발 || 10500 || 250 || 높음 || 낮음 || 최고 || 보통 || 높음 || 보통 || 7(+4) || ##||<|2> 소총 || cbr-c || 7.8mm Rifle 10발 || 13500 || 250 || 높음 || 보통 || 보통 || 낮음 || 높음 || 느림 || 8(+6) || ##|| f57 || 5.56 NATO 30발 || 23500 || 400 || 보통 || 보통 || 극악 || 보통 || 높음 || 느림 || 7(+9, -2) || ##|| 산탄총 || 480mcs || 12 gauge 8발 || 6000 || 125 || 최고 || 낮음 || 최고 || 낮음 || 최저 || 느림 || 7(+3, -2) || ##||<|2> 중화기 || sawblade || 5.56 NATO 100발 || 52000 || 1000 || 보통 || 보통 || 보통 || 보통 || 보통 || 최악 || 10(+4) || ##|| thumper || 40mm 1발 || 28000 || 1000 ||폭발 || 최악 || - || - || 곡선 || 느림 || 7 || ## ##무기 마스터리는 재장전 속도 25% 증가. 근데 권총으로 학살하는 플레이어가 아니라면, 권총을 든다는 말은 stealth로 간단 말이고, 권총을 빠르게 재장전해야 한다는 건 loud 중이라는 얘기라... 상당히 판이 꼬였을 가능성이 높다. ##----- ##SMG: S97, MM20 ##무기 마스터리는 은신-2로, 스킬트리 왼쪽 아래에 있다. SMG에다 뭔가 덕지덕지 붙여놔도 여전히 숨길 수 있게 도와준다. ##----- ##저격 무기: CH-A ##CH-A: 인게임 내 유일한 저격용 무기이지만, 스코프는 따로 사야한다. 데미지가 저격총 치고 루키 난이도 SWAT을 몸샷해도 한방에 안 죽을 정도로 문제가 있다. Swat 중에 레이저를 장착한 채로 밖에서 저격하는 놈들이 있다. ##무기 마스터리는 방패 및 적, 방탄유리[* 방탄유리는 건너편이 보이는데 총으로 쏴도 깨지지 않는, 그물망 같은 무늬가 있는 유리다. 금고 미션의 지하 1층 카메라실, 블랙사이트 미션의 감방 내 감방 문 시스템실, 호숫가의 집 서버실 등에 있다.] 관통으로, 스킬트리 오른쪽에 있다. ##가장 쓸모가 없는 무기 마스터리다. 그나마 방패와 방탄유리 관통은 쓸모가 있는데, 적 여러명이 일직선으로 서는 경우는 드문데다 그 경우엔 1초만 기다리면 멍청한 적들이 알아서 자기 동료 [[등짝]]에다가 [[팀킬|총알을 박아주니]] 알아서 정리되기 때문. 뭣보다 CH-A가 너무 약하다. 그래도 저격총 특성상 [[충|꼭 들고다니는 사람]]이 있다. ##----- ##소총: CBR-C, F57 ##Swat 중에서도 흔한 무기라 탄약 수급이 쉽다. ##CBR-C: 반자동 무기다. 탄약 소모가 빠른 F57에 비하면 탄약이 체감상 넉넉하다. ##F57: Sawblade와 총알을 공유한다. ##무기 마스터리는 탄 퍼짐 40%(by) 감소. 스킬포인트 투자할 가치가 있다. '안정된 조준'과 같이 쓰면 달리면서 총알을 쉽게 명중시킬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 켜 두면 더 쉽다. 찍어두면 좋다. ##----- ##산탄총: 480 MCS ##근거리에서 웬만한 적은 한방이다. Swat 혹은 용병 중에서 이 산탄총을 들고 있는 놈들도 있다. 엘리트 이상이면 가까이서 맞지 말 것. 피가 폭풍처럼 까인다. ##무기 마스터리는 위협 거리 증가. 스킬트리 왼쪽. 그런데 어차피 산탄총은 짧은 그립만 넣어야 은신이 가능해서 큰 의미가 없다. 단, 낮은 난이도에서 변장하면 '무장' 상태가 사라지는 물주 미션이나 loud에선 일단 인질을 많이 만들어야 하는 금고 미션에서 쓸모가 있을지도 모른다. --권총 마스터리하고 바꿔야 한다-- ##----- ##중화기[* 무기 체험실에서는 [[왈도체|'''무거운'''이라고 번역되어 있다.]]]: Sawblade, Thumper ##Sawblade: 헤비머신건. 가장 강력한 무기지만 속도 페널티가 달려 있다. F57과 총알을 공유한다. 탄창 하나당 총알이 100발로 가장 많다. 다만 재장전이 느리니 휴강 상태에서 재장전을 해 두자. ##Thumper: 유탄발사기. 유탄을 발사한다. 단점으로 탄약이 한자리 수밖에 되지 않으며, 들고 다니는 적이 없어서 유일하게[raven은 로스가 착용하고, mm20은 cbr-c와, sawblade는 f57과 탄약 공유, ch-a는 가끔 저격 걍찰 사살시 굴러떨어진다.] 탄약 수급이 절대 불가능하다. 재장전도 느리며 탄속도 느리고, 가장 큰 문제는 플레이어 근처에서 터지기라도 하면 '''플레이어가 한 방에 즉사한다.''' 장점이라면 한발에 적 여러명을 아머 상관없이 처치할 수 있으며, 문을 폭파시켜 열 수 있다는 것. 그러니까 이 무기를 들고 간다는 말은 주무기 하나를 포기하고 대신 C4 3개를 들고 간다는 말이 된다. loud에서는 꽤나 쓸모있다. 결국 8월 마지막주 패치에서 탄약이 7개에서 3개로 반토막나는 너프를 먹어 버렸다. ##무기 실험실에서 사용이 불가능한데, 1/4/19 업데이트 로그에 따르면 '누군가(someone)'가 무기 실험실에서 쐈다가 금지를 먹고 '그녀(she)'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게 됐다고... ##무기 마스터리는 속도 페널티 50% 감소. 스킬트리 왼쪽 위. 보너스가 아니라 페널티 감소임에도 좋은 마스터리 중 하나이다. ==== 근접공격 ==== 총을 든 채로 V키를 눌러 근접공격을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개머리판이 장착되어 있으며, V키를 홀드해서 칼과 개머리판을 변경할 수 있다. 경보가 울릴 경우 자동으로 칼로 바뀐다.개머리판은 변장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대신 라우드 적들에게 데미지를 줄 수 없다. 칼은 변장을 손상시킨다. 기절한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으며, 경찰, SWAT, SC 군인은 두번 찔러야 죽는다. PVP 모드에서는 일격즉사다. '안정된 조준' 퍽을 가진 채로 무기 마스터리가 있는 무기를 든 경우 달리면서 근접공격이 가능하다. ==== 총기 부속품 ==== Sight : 조준경이다. * 아이언 사이트(기본): CBR-C 제외 전부 장착 가능 * 미니 사이트(1000): CH-A 제외 전부 장착 가능. 은신+1. CBR-C 기본 장착 * 델타 사이트(1300): 모든 무기 장착 가능. 은신+1 * 글로우 사이트(200): up9와 raven 장착 가능 * 고리 조준기(400): up9 전용. 붉은색 원의 스코프가 달린다 * 레드 닷(1600): 권총과 산탄총 제외 장착 가능. 은신+2 * TG3X(2000): S97, MM20, CBR-C, F57, CH-A 장착 가능. 은신+2 * T4XS(2500): S97, MM20, CBR-C, F57, CH-A 장착 가능. 레티클 계산 오류가 있다고 한다. 웬만하면 쓰지말자. 은신+2 * LS6X(3500): CBR-C, CH-A 장착 가능. 움직임을 제한한다. 뒤에서 저격질만 해댈 게 아니면 별로 쓸모가 없다. 은신+2 ------ Barrel : 총구 부착물이며, 모든 중화기는 장착 불가능하다. * 소염기(500): Raven과 중화기 제외 모든 총기 장착 가능. 말 그대로 총구 화염을 없애준다. 은신+2. 탄퍼짐 감소 -17%[* 잘못 이해할 수도 있는데 탄퍼짐을 17% 감소해준다는 것이 아니라 탄퍼짐의 감소율을 17% 줄여준다는 것이다. 엔포에서의 총구화염은 딱히 신경쓰일 정도도 아니고 탄퍼짐을 늘리기 때문에 사용할 이유가 없다.] * 머즐 브레이크(1500): 중화기, 480MCS, Raven 제외 모든 총기 장착 가능. 은신+1 반동 -25%. 탄퍼짐 최대 확산율 및 증가량 +30% * 소음기(2500): 중화기 제외 모든 총기 장착 가능. '''데미지+5%'''. 반동 -10%. 지향사격 탄퍼짐 +20% 은신+2 [* 라우드든 스텔스든 이걸 드는 걸 추천한다.] * 덕빌(1000): 산탄총 전용. 탄퍼짐이 어마무시하게 줄어들었으나, 현재는 버그로 인해 효과가 없다. --수직 탄퍼짐 -50%-- * 폐색 장치(초크)(1200): 산탄총 전용. --탄퍼짐 -40%-- 현재 버그로 인해 작동하지 않는다. ------ Tactical : 인게임에선 기본적으로 꺼져 있으며, Z키를 눌러서 활성화할 수 있다. 중화기는 장착 불가능하다. * 손전등(50): 택티컬이 장착 가능한 무기 중 K45, MM20 제외 장착 가능. 킬하우스 미션의 이스터 에그 격인 나이트메어 어썰트에서 사용하기 좋다. 다만 쓸곳이 나이트메어 어썰트가 끝이라는 것이 흠이다. 애초에 나이트메어 어썰트를 빼면 어두운 맵이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총구 부착물인 소음기를 장착하면 명중률이 하락하게 되는데 명중률 감소를 무마시키기 위해 레이저를 장착하게 되므로 손전등을 장착할 이유는 더더욱 없다. * 레이저(300): 택티컬 장착 가능한 모든 총기 장착 가능. 명중률이 상승한다. 지향사격 탄퍼짐 -25%. 탄퍼짐 -100% * 켄티드 사이트(500): S97, CBR-C, F57 장착 가능. 보조 조준경을 장착한다. 보통 고배율 스코프를 장착하고 중근거리 대용으로 붙여놓는다. ------ Grip : MM20, CBR-C, F57, Sawblade만 장착 가능. * 폴딩 그립(500): 이동중 최소 탄 퍼짐 -30%. 카메라 반동[* 이는 말 그대로 총기의 반동이 아닌 화면의 반동을 뜻한다.] -20% * 에르고 그립(1000): 이동중 최소 탄 퍼짐 -50%. 카메라 반동 -30% 은신+2 * 앵글 그립(1000): 완자동 발사 중 첫탄, 혹은 모든 반자동 총기 사격의 반동을 13% 감소. 카메라 반동 -20% 은신+1 * 스터비 그립(1000): 최대 탄퍼짐 확산율 -34% 탄퍼짐 증가량 -20% 카메라 반동 -20% 은신 +1 ------ Magazine : 탄창의 크기를 줄여 은신을 감소시킨다. * 짧은 탄창[* s97은 500, f57은 200]: 탄창을 줄여서 총기 크기를 줄여, 은신을 낮춘다. 은신-2 ------ Stock : 개머리판을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 짧은 그립(350): 480MCS 전용. 개머리판을 제거해 은닉도를 줄이는 대신 탄퍼짐과 반동이 증가한다. 480MCS에 이것만 장착하면 은신 상태로 들고 다닐 수 있다. 은신-2 * 풀 스톡(1200): F57 전용. 반동 및 카메라 반동 -50% 은신+3 * 스톡: MM20 전용. 반동 및 카메라 반동 -35% 은신+2 === 방어구 === 이지스 아머를 제외한 모든 방어구는 G키를 꾹 눌러서 벗을 수 있다. 벗은 방어구는 인벤토리 6칸을 차지하며, 특정 미션에서는 변장한 옷에 따라 이지스를 제외한 다른 방어구를 입어도 "위장 중"이라 나온다. * II-A 스카웃(500) : 이동속도 5% 감소. 소구경 탄은 45% 감소하고, 대구경탄은 20%밖에 감소시키지 않는다. * III-A 레이더(800) : 이동속도 5% 감소. '''전방만''' 방어구 효과가 적용된다. 즉 후방 공격은 감소시켜주지 않는다. 소구경탄에선 65%를, 대구경탄은 55%를 방어해준다. * III-A 프론트라인(1200) : 이동속도 10% 감소. 소구경탄은 60%를, 대구경탄은 50%를 방어한다. * III 이지스(2500) : 이동 속도 17% 감소[* 철거 전문가퍼크가 있을 경우 커버 가능하다.]. 소구경 탄은 80%, 대구경탄은 70%의 대미지를 막아 준다. '''탈의할 수 없으며''', 다른 방어구는 의심받지 않고 위장복을 입고 시작하는 과학자 미션에서도 착용 시 '방어구 착용 중'으로 나타난다. === 아이템 === 괄호 안 숫자는 배치 비용,대괄호안 숫자는 차지하는 칸의 개수이다. 장비 설정에서 챙길 수 있는 아이템 * 드릴(0)[4]: 문을 열 때 사용하는 아이템. 인벤토리 네 칸 차지하는데다 소리도 나고 문을 닫을 수 없으며 흔적이 크게 남는다. 대부분 브리칭 도구보다 성능이 모자라지만, 속도가 빠르고 따로 퍼크를 찍을 필요가 없다. 관련 퍼크 중에 흔적이 크게 안남고 문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퍽이 있다. 모든 맵에 배치되어 있다 * 저소음 드릴(0)[4]: 소리가 전혀 나지 않지만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나머지는 동일. * 파편탄(50)[1]: 굉장한 파괴력과 살상력을 자랑하지만, 잘못 던져 되돌아 오면 플레이어도 한 방이다. 요원 난이도 이하에서 피아 구분은 되지만 투척자는 데미지가 그대로 들어오므로 주의. * 자물쇠 따개(50)[2]: 절도술 특성 필요. 평범한 문에 사용해 열 수 있다. 무소음에 흔적이 남지 않는다. 스텔스에서 가장 쓸만한 도어 브리칭 도구다. * 키 카드 스크램블러(125)[2]: 영재 특성 필요. 키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문에 사용해 열 수 있다. 흔적이 남지 않는다. * 근접 지뢰(100)[2]: 고도의 방해물 특성 필요. 레이저 안에 적이 들어올 시 폭발한다. * C4(200)[2]: 철거 전문가 특성 필요. 설치 후 6번 키로 폭파시킬 수 있다. 문에 설치하고 폭파 시 거의 대부분의 문을 열 수 있다. 벽에 설치하고 폭파시킬수도 있으며, C4 그림이 그려진 벽에 부착 후 폭파 시 벽이 파괴된다. 대신 엄청난 소음이 발생한다. 물주 loud일 시 패닉 룸을 두 개 사용해서 박살 낼 수 있다. * 충전식 침입기(150)[2]: C4보다 조용한 폭발물이다. 인출 미션 금고 문을 파괴해도 은행에서 못 들을 정도로 조용하다. 대신 벽과 금고, 특수한 문에는 부착 불가능하다. * 소형 토치(50)[2]: 방화범 특성 필요. 모든 맵에 존재하는 어떤 문이든 딸 수 있다.(단 블랙사이트의 감방 문은 제외. 구멍을 뚫을 수는 있다.) 대신 드릴처럼 흔적이 남는다. 회색 문에 구멍을 뚫어 시야 확보 및 사격 엄폐용으로 삼을 수 있다.라우드에서 가장 쓸만한 도어 브리칭 도구다. * 초소형 카메라(75)[1]: 감시 상태 특성 필요. 벽에 붙여 사용한다. 주로 누군가를 인질로 삼을 때 누가 다가오나 살펴보는데 사용한다. 호숫가의 집 금고 바로 앞이나 나가야 되는 문 앞에 붙여 사용하면 편하다. * Tracker(추적 장치)(75)[1]: 감시 상태 특성 필요. 주요 타겟에 붙여 어디로 이동하는지 알 수 있다. 인벤토리 1칸. 금고 미션의 매니저 [*. 그런데 금고 미션의 매니저는 그냥 화살표로 뜬다] 나 SCRS 미션의 요원들에게 붙이면 좋다. ---- 맵 내 배치 아이템 * 키카드(맵 내 배치/특정 인물 드랍)[1]: 키카드로 열 수 있는 문을 열 수 있다. * 쇠지렛대(맵 내 배치)[6]: 특정 문을 열 수 있다. 블랙사이트 맵에 배치되어 있다. 섀도우 워에서는 자동으로 모든 공격자에게 지급된다. * 고급 키카드[* 금고나 킬하우스, 블랙 더스크 미션에서는 금고를 열때 필요한 키카드로 등장. SCRS 및 과학자 미션에서는 특정한 문을 열기 위함.] (맵 내 배치 혹은 특정 NPC 소지)[1]: 이 카드가 있어야 미션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카드. 그러나 이 키카드로는 일반 키카드처럼 문을 열 수 없으니 일반 키카드나 키카드 스크램블러, 기타 문을 열수 있는 도구를 챙겨가자. * 피닉스 인텔(맵 내 배치)[4]: 호숫가 집 미션에 배치되어 있다. 소지 중에서 미션 클리어시 200$를 얻는다. * 테르밋(맵 내 배치)[6]: 금고, 호숫가의 집, 블랙 더스크 미션에서 등장. 특정 지역에 설치해 바닥에 거대한 구멍을 낼 수 있다. 2500도로 발화하는 물질이며, 가까이 갈 시 피아 구분 없이 지속적 데미지를 준다. 그런데 이 데미지가 매우 높아서 잘못 닿으면 죽었다고 보면 된다 * 와이어 커터(맵 내 배치)[2]: 과학자 미션에서 등장. 리베라가 갇혀있는 방의 환풍구로 전해주면 리베라가 사용한다. * 드라이버(맵 내 배치)[2]: 과학자와 블랙 더스크, 캐시 미션에서 등장. 환풍구나 패널 등을 열때 사용된다. * 가스통(맵 내 배치)[6]: 과학자 미션에서 문을 폭파시킬때 사용된다 * 보안 키카드(특정 NPC 소지)[1]: 컨셉트 미션에서 엘리트 가드가 소지하는 키카드로 일반 키카드로 열수 없는 문을 열수 있다(일반 키카드 도어도 열수 있다) * 마스터 키카드(특정 NPC 소지)[1]: 컨셉트 미션에서 메니저가 소지하는 키카드로 금고를 제외한 모든 문을 열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ntry Point, version=1340, paragraph=9)] [[분류:Roblox/게임/하위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