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RBoH 시즌5)] [[분류:Epic Rap Battles of History]] [youtube(XAAp_luluo0)] [[https://youtu.be/XAAp_luluo0|원본]] [[https://www.youtube.com/watch?v=oHdLHo4grt0|비하인드 1]] [[https://youtu.be/4DYKT5DvimI|비하인드 2]] [[https://epicrapbattlesofhistory.fandom.com/wiki/J._R._R._Tolkien_vs_George_R._R._Martin|ERB 위키]] '''[[조지 R.R. 마틴]]''' VS '''[[J. R. R. 톨킨]]''' 시즌5를 여는 판타지 문학계의 두 거장들 사이의 대결이다. 각각 [[얼음과 불의 노래]]와 [[반지의 제왕]]으로 유명하다. 로고 소개 장면도 멋드러진 책장을 펼치는 장면이다. 하지만 아무리 조지 R.R. 마틴이 명작가이며 현세 판타지를 이끌어나가는 존재이긴 하지만 판타지 문학계에서의 톨킨의 입지는 그야말로 '''넘사벽'''이기 때문에 많은 댓글들이 톨킨의 승리를 외친다. 톨킨을 소개 할 때 자세히 보면 톨킨이 손가락에서 [[절대반지|반지]]를 빼면서 갑자기 나타나고는 웃으면서 [[골목쟁이네 빌보|그 반지를 상의 주머니에 집어 넣는 것]]을 볼 수 있다. == 가사 == ||'''조지 R. R. 마틴:'''|| ||Brace Yourself! 마음 단단히 먹어라![* [[왕좌의 게임]] 팬들 사이에서 유명한 구절이다. 뒤에 Winter is coming이 붙는다. 거기에 방어구 bracer을 합쳐 방어를 잘하란 뜻. 정작 작중에서 이런말은 안나온다.] gather up your trolls 네 [[트롤]]들과 and your soldier elves [[요정(가운데땅)|요정]]군대를 데리고 와라 and your ents and your orcs 그리고 네 [[엔트(가운데땅)|엔트]]들과 [[오크(가운데땅)|오크]]들과 and your wargs and your Stings [[와르그]]들과 너의 [[스팅]]들 your dwarves and Glamdrings [[난쟁이(가운데땅)|난쟁이]]와 [[글람드링]]까지[* [[레젠다리움]]에 등장하는 종족들과 무기들의 이름이다.] cause there's a new literary Lord in the Ring 문학의 링에 새로운 제왕이 떴으니까[* Lord는 왕이고, Ring은 격투기 경기장을 말한다. [[반지의 제왕]]의 원제인 The Lord of the Rings에서 따왔다.] my readers fall in love 내 독자들은 내가 쓴 with every character I've written 모든 캐릭터와 사랑에 빠지지만 then I kill 'em 난 다 죽여[* 이 장면에서 뒤에서 다가오던 [[존 스노우(얼음과 불의 노래)|존 스노우]]가 마틴에게 칼을 맞고 소리 지르며 죽는다.] and they're like "no he didn't" 그럼 독자들은 이러지 "그럴 리 없어!"[* 마틴은 자기 소설의 주요 인물들을 망설임없이 죽여 팬들을 절망하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No, he didn't!"는 영어 관용표현중 하나로 "믿을수없어!/설마!" 정도로 해석된다.] all your bad guys die 넌 나쁜 놈들을 죽이고 and your good guys survive 좋은 놈들을 살리니까[* 톨킨의 소설이 권선징악 클리셰만 가득 한 줄거리뿐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실마릴리온]]을 보면 착한놈 나쁜놈 안 가리고 우수수 죽어간다.] we can tell what's gonna happen 다섯 살짜리 애도 다섯 쪽만 읽으면 by page and age five 결말도 알 수 있겠다[* Age five는 5살 짜리 아이 혹은 제 5시대를 뜻한다. [[레젠다리움]]의 시대 구분이 제1~제3시대로 구분되는 것의 패러디이다. 반지의 제왕은 [[제3시대]]~[[제4시대]]의 이야기이다.] tell your all seeing eye [[사우론|전시안]]한테 to find some sex in your movies 네 영화에서 섹스신좀 찾으라고 해봐 ditch the Goonie [[감지네 샘와이즈|샘와이즈]]는 버리고 and cast a couple boobies 가슴들이나 캐스팅하라고[* 샘 와이즈를 연기했던 [[숀 애스틴]]은 [[구니스]]라는 영화에 출연했었다. 더불어 얼음과 불의 노래를 원작으로 한 HBO의 [[왕좌의 게임]]은 야하기로 유명하다.] there's edgier plots in that 차라리 '노움 데이비드' 가[* The World of David the Gnome은 스페인 유아용 애니메이션으로, [[노움]]인 데이비드의 모험을 다룬 이야기이다.] David the Gnome 그것보다는 흥미진진할 거다 your hobbit hole heroes 네 [[호빗(가운데땅)|호빗]] 구덩이 영웅들은 can't handle my throne 내 왕좌를 건드리지 못해[* 철왕좌는 얼음과 불의 노래/왕좌의 게임 시리즈의 상징과도 같다.]|| ||'''J. R. R. 톨킨 :'''|| ||Kings 왕과 Queens 여왕 dragons [[드래곤]]에 dwarves [[드워프]] horses, fortresses, magic and swords 말과 요새와 마법과 검까지 you Hob-bit my whole shit 넌 내 책을 전부 다 호-베꼈어[* 호빗의 Hobbit과 베낀다는 뜻의 속어인 bit을 이용했다. ] you uninspired hack 개성없는 놈아[* 초반부에 마틴이 괴상한 이름들이 많다고 깠지만, 정작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요소들은 톨킨의 저작에서 비롯되어 판타지물에서는 클리셰가 되어버린 요소들이 많다.] you want a war George? 나랑 싸우고 싶은가 조지? welcome to Shire-raq [[샤이어(가운데땅)|샤이]][[이라크|라크]]에 잘 왔네[* 샤이어 등이 포함된 톨킨의 세계관은 [[가운데땅]](Middle Earth)인데, 이는 영미권에서 이라크가 속한 중동을 뜻하는 미들-이스트(Middle East)와 철자가 비슷한 것을 이용해 샤이어와 이라크를 연결시켰다. 그리고 이라크 전쟁을 시작한 [[조지 W. 부시|모 대통령]]은 마틴과 [[조지|이름]]이 같다.] in book sales you've got nothing to say 책 판매량에서도 넌 입 다물고 있으라고 I'm number one and two 내 작품들은 1등과 2등이지만 You're under Fifty Shades of Grey 네 작품은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밑이잖아[* 영미권에서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는 [[트와일라잇]]급으로 까인다.--애초에 그레이가 트와일라잇의 팬팩이다.--] I got the prose of a pro 난 프로의 산문을 쓰는데 your shit's subpar 너는 쓰레기를 쓰지 you're a pirate 이 해적 놈아 you even stole my R. R. 이젠 내 R.R.까지 가져가냐?[* 조지 R.R. 마틴과 J.R.R. 톨킨의 R.R.을 중간 이니셜을 따라했다고 말하는것이다. PIRATE의 뜻은 훔친다는 뜻으로 위에서 말한 것들과 R.R.까지 베꼈다고 하는 것이다. 참고로 미국 대중매체에서는 해적들이 'Arrr'라는 추임새를 낸다는 인식이 있다.] we all know the world is full 우린 모두 세상이 우연과 of chance and anarchy 무질서로 가득 찬 걸 알아 so yes it's true to life 그래 맞아. 캐릭터들이 무작위로 for characters to die randomly 죽는 건 참 현실적이야[* 앞서 마틴이 톨킨의 작품에서 주인공들은 전부 살아남는다고 하고, 자기는 본인 선역들을 다 죽여버린다고 한 것에 대응한다. 마틴은 선역과 악역이 골고루 죽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but news flash 근데 그거 아는가? the genre's called fantasy 이 장르 이름은 [[판타지]]야 it's meant to be unrealistic 원래 비현실적인 거라고 you myopic manatee 이 근시안적인 [[매너티]] 새끼야![* 매너티는 [[듀공]]과 같이 퉁퉁한 바닷표범 같은 생물이다.]|| ||'''조지 R. R. 마틴:'''|| ||I conscientiously object 나는 양심적으로 to what you're doing on these beats 이 비트에 깔리는 랩에 반대한다[* 조지 마틴은 베트남 전쟁때 양심적 병역 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였다.] I'll cut you like my teeth 너를 내 [[미녀와 야수]]에서 on Beauty and the Beast 배우게 해줄게[* 마틴은 80년대에 미녀와 야수라는 드라마의 감독이자 작가였다.] you went too deep 너무 몰입한 것 아닌가? Professor tweed pants [[트위드]]바지 교수님 we don't need the back story 우린 모든 나뭇가지 하나하나에 on every fucking tree branch 지랄맞은 설정이 필요없다고[* [[레젠다리움]]은 정교하고 상세하기로 유명해서 나뭇가지 하나에도 설정이 있다고 비꼬는 것이다. 또한 이는 가계도를 뜻하는 family tree에 대한 비유로도 볼 수 있는데, 레젠다리움에서 활동하는 요정과 인간 영웅들이 대부분 혈연관계라는 것을 비꼰 것으로 볼 수 있다.]|| ||'''J. R. R. 톨킨 :'''|| ||I cut my teeth in the trenches of the Somme 난 [[솜 전투|솜]]의 참호에서 가방끈을 늘렸어[* 톨킨은 세계 1차 대전 가장 잔인하기로 유명했던 전투인 솜 전투에 참전했다.] you LARPed your Santa Claus ass 니가 산타같은 몸으로 [[베트남 전쟁|베트남]]에서 through Vietnam 도망갔을때[* LARP는 Live Action Role Play의 줄임말로 실사로 진행되는 롤플레잉 게임이며 피한다는 뜻의 WARP와도 발음이 비슷하다. 또한 위에 써있는 것처럼 마틴은 양심적 병역 거부자였다.] and it's hard for me to take 그리고 옷에 관한 비판은 좀 criticism on clothes 받아들이기 어려운데 from a dude who sends a raven 발가락이랑 인사하려면 to say hi to your toes 까마귀를 보내야 하는 놈한테![* 너무 뚱뚱해서 발가락이 안 보인다고 말하는 것이다. 까마귀는 [[얼음과 불의 노래]] 작중에서 통신용으로 쓰인다.]|| ||'''조지 R. R. 마틴:'''|| ||Man your fat jokes 그 비만 디스는 are worse than your pipe smoke 네 파이프 연기보다 더 질이 나쁘군[* 톨킨은 애연가였고, 영상 내내 파이프 담배를 채우거나 불을 붙인다.] my show's the hottest thing on HBO 내 드라마는 가장 핫해 [[HBO]]에서![* 얼음과 불의 노래는 [[왕좌의 게임]]이라는 이름으로 HBO에서 방영되고 있으며, 가장 인기있는 동시에 hot의 다른 의미처럼 가장 야하기도 하다. 영상에서 마틴이 HBO의 로고를 몸으로 표현한다.] I'm rock and roll, you're a 나는 이 바닥의 락스타고 너는 nerdy little nebbish 찐따 냄새가 여기까지 나[* rock and roll은 음악 장르 자체를 가르치는 말이기도 하지만, 무언가에서 가장 잘 나거나 잘 한다는 의미도 있다.] and I may be dirty 내가 더러울 수는 있어도 but you got a hairy foot fetish dog 너처럼 털복숭이 발 페티쉬는 없어 개년아[* [[호빗(가운데땅)|호빗]]은 발에 털이 난다.][* 영상에서 마틴이 책을 하나 꺼내는데 책 표지에 "추가로 긴 발가락까지!"라고 써있다.] even the names of your characters suck 네가 만든 캐릭터들의 이름마저도 구려터졌지 you got Boffers and Bofurs 버퍼스에 보퍼스에 and Brandybucks 브랜디벅스는 또 뭐냐? I got a second breakfast 내가 몸소 너네 돼지새끼들한테 for all them goofy fucks 두번째 아침이나 차려주지[* 호빗은 하루에 일곱 끼니씩 먹는다고 한다.] lift up my gut 내 뱃살을 들어 올려 and tea Baggins my nuts 불알 '''백인'''분을 대접해주지[* [[티배깅|teabagging]]은 상대방 위에 앉았다 일어났다 하면서 약올리는 행위인데, [[골목쟁이네 빌보]]와 [[골목쟁이네 프로도]]의 성씨인 Baggins를 이용하고 있다.]|| ||'''J. R. R. 톨킨 :'''|| ||C. S. Lewis and I were just discussing [[C.S.루이스|C. S. 루이스]]랑 잠시 얘기하고 있었어[* 동시대의 판타지 작가로써 루이스와 톨킨은 절친한 사이였다.][* 앞 장면에서 마틴이 뱃살을 들어올려 화면을 덮는데 톨킨이 성냥을 켜서 주위를 밝힌다.] how you and Jon Snow 너랑 [[존 스노우(얼음과 불의 노래)|존 스노우]] 둘 다 both know nothing 아무것도 모른다는 걸[* 왕좌의 게임 시리즈의 명대사인 '넌 아무것도 몰라, 존 스노우'를 써먹고 있다.] because the backstory of my 내 박스오피스의 뒷이야기는 box office is billions 수십억짜리거든[*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와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는 [[피터 잭슨]] 감독에 의해 만들어져서 박스오피스에서 대박을 쳤다. 톨킨의 작품들의 설정이 엄청나게 많다는 점과 엮어서 표현하고 있다.] got my children making millions 난 내 자식들까지 [[실마릴리온]]으로 off my Silmarillions 떼돈을 벌게 했지[* [[실마릴리온]]은 톨킨의 모든 이야기와 설정을 모아놓은 일종의 역사책으로 사후에 자식들에 의해서 출판되었고 역시나 대박을 쳤다.] and I'm more rock and roll 그리고 난 네가 손대지도 못할 than you ever been 락스타라고[* 마틴이 언급했던 rock and roll을 가져와서 다음 라인에도 이용한다.] don't believe me? 못 믿겠어? ask Led Zeppelin [[레드 제플린]]한테 물어봐[* 가장 잘 알려진 락밴드인 [[레드 제플린]]은 톨킨의 이야기에서 영감 받은 곡을 몇 곡 썼었다. 대표적인 곡이 'Ramble On'이다.][* 영상에서 이 부분을 보면,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 베이시스트 [[존 폴 존스]], 드러머 [[존 본햄]]이 등장하는데, 보컬리스트 [[로버트 플랜트]]가 없다. 아마 플랜트의 포지션에 톨킨을 놓기로 설정한 듯하다.] you can't reach this fellow 넌 절대로 이 [[반지 원정대|친구]]에게 닿을 수 없어 shit, I'm Too Towering 난 [[두 개의 탑|너무 높은 곳]]에 있다고[*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1편과 2편 제목인 '[[반지 원정대|The Fellowship Of The Ring]]'과 '[[두 개의 탑|The Two Towers]]'를 사용했다. Two와 too의 발음이 같은걸 이용했다.] every time I battle 내가 싸울 때마다 it's return of the King [[왕의 귀환]]이야![* 앞의 둘에 이어서 이번에는 3편 제목인 [[왕의 귀환|Return of the King]]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