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QIGB57LBCM)]}}}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ZLIJ85r1bY)]}}}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3]]}}} {{{-3 (2010)}}} || || {{{-1 '''장르'''}}} ||{{{-1 House Dance}}} || || {{{-1 '''BPM'''}}} ||{{{-1 130}}} || || {{{-1 '''작곡'''}}} ||{{{-1 [[3rd Coast]]}}} || || {{{-1 '''작사'''}}} ||{{{-1 JC}}} || || {{{-1 '''보컬'''}}} ||{{{-1 So Fly(보컬) / JC(랩)}}} || || {{{-1 '''BGA'''}}} ||{{{-1 [[ECO]]}}} || ||<-2> {{{#!folding [ 가사 보기 ] 3rd Coast, style luxurious so fresh and glorious (so fresh) Don't know if you've heard of us east coast, west coast, 3rd coast 3rd Coast, style luxurious so fresh and glorious (so fresh) Don't know if you've heard of us east coast, west coast, 3rd coast Whenever love seems away come and find my unity, yeah I wanna get live again won't you come and play my game Had to know your name let the music set you free, yeah, yeah Tell you how I feel let the music take away You are my everything So come and fly with me You are my everything You bring the joy in me You are my everything So come and fly with me You are my everything You bring the joy in me Sweet girl can I call your name? Please girl can you do the same? This world ain't nothing changed cause in this life you're my everything girl Don't stop no time to waste no one can take your place (All right) One love that's all it takes cause in this life you're my everything Lets flow, flow, down the coast a top speed like a roller coaster No girl no time to waste don't bump ya breaks we gettin closer Let's ride turn the beat up blast One time this love you know we gonna pass Seems like we just meant to be girl can't you see you my everything right Had to know your name let the music set you free, yeah, yeah Tell you how I feel let the music take away You are my everything So come and fly with me You are my everything You bring the joy in me You are my everything (so cool, cool with you) So come and fly with me (let's fly way up high come on) You are my everything (everything is just cool with you) You bring the joy in me (let's fly come on) Raise it up 'cause tonight's the night wanna groove to the party tonight Bring it on 'cause tonight's the night and you know that we do it alright Raise it up 'cause tonight's the night let's groove to the party tonight Bring it on 'cause tonight's the night and you know that we do it alright You are my everything So come and fly with me You are my everything You bring the joy in me You are my everything So come and fly with me You are my everything You bring the joy in me You are my everything You are my everything You are my everything You are my everything}}} || == 개요 == [[DJMAX 시리즈]]에 꾸준히 곡을 제공해온 [[3rd Coast]]의 신곡, [[Luv is True]]와 함께 [[DJMAX Portable 3]]에 수록되었다. [[DJMAX Portable 2]]의 수록곡인 [[Stay with me(DJMAX)|Stay with me]]에 텍스트가 일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이 시기에 이미 작곡된 곡인 듯 하다. 원제는 '''My Everything'''이었던 것으로 추정. 장르명은 House Dance이지만 같은 House Dance 장르로 표기되어 있는 [[I want You(DJMAX)|I want You]]나 [[Sweet Dream(DJMAX)|Sweet Dream]]과 같이 오타쿠스러운 곡은 아니다. 곡 자체는 전형적인 3rd Coast 스타일의 편안하면서도 경쾌한 느낌을 수용한 하우스기반의 텐션을 차용한 디스코 댄스 장르다. 함께 DMP3에 수록된 [[Luv is True]]와 유사한 텐션을 지니고 있어, [[3rd Coast]]를 좋아하는 유저라면 거부감없이 플레이하기 좋은 곡이다. [youtube(JBkJtMuQvpg)] 리메이크 이전 BGA BGA는 종이로 만든 그림같은 깔끔한 느낌이다. 제작자의 전작인 [[태권부리]]와 같은 페이퍼 애니메이션 스타일. So Fly는 암컷 여우, JC는 수컷 여우(게임내 장착 가능한 캐릭터로 되었는데 이름이 각각 '''코만도'''와 '''챔피언''')로 표현한것이 재미있는 점. 다만 공식 홈페이지 내의 미리보기 BGA에는 다름아닌 [[Thor]] BGA의 중간 루프 영상이 대신 나오는 것으로 보아[[https://youtu.be/VedpG4o38NY|#]], 원래는 [[범용 BGA]]로 가려다 DMP3 작업 막바지에 추가된 BGA로 예상이 되고 있다. 이후 [[DJMAX RESPECT]] 출시 전 BGA가 리메이크되었고, DJMAX RESPECT에는 리메이크된 BGA로 수록되었다. 나중에 온라인 앨범 DJMAX Electronic Tune에 [[Mr.Funky]]가 Disco House풍으로 리믹스한 음원도 공개되었다. == [[DJMAX Portable 3]] == [youtube(bLrDnIEPKRo)] 6T NM [youtube(TEi1iSUh2_Y)] 6.2T SS [youtube(YXc4LCN-etA)] 6.2T WS == [[DJMAX TECHNIKA 3]] ==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FF00> Normal || B || 375 Max || 2 || 4박 스크롤 || [[DJMAX Portable 3|DMP3 리믹스 음원]], ※[[지뢰곡]] || ||<#0000FF> {{{#White Hard}}} || A || 1000 Max || 6 || 4박 스크롤 || [[Future Challenge|미션 - .2nd Triangle]] 수록, [[DJMAX Portable 3|DMP3 리믹스 음원]], ※[[물렙곡]] || ||<#FF0000> Maximum || S || 3000 Max || 8 || 4박 스크롤 || [[DJMAX Portable 3|DMP3 리믹스 음원]] || [youtube(YNa0Q1GX_3Y)] MX 패턴 영상 [[Drum Town|몇몇]] [[Funky People|곡들과]] 같이 이 곡도 DMP3의 리믹스 음원을 썼다. 덕분에 편안한 하우스 곡과는 멀어져버렸고, 몇몇 유저들은 이게 뭐하는 짓이냐며 펜타비전을 까고있다. 노멀 패턴은 레벨 2로 설정되어있지만, 4박 스크롤에 엇박 분홍 노트가 많고, 곳곳에 도저히 레벨 2라고는 볼 수 없는 노트들이 많이 배치되어 있는 막장급 사기 난이도이니 주의. 실제 체감 난이도는 개인차에 따라 5레벨정도까지 갈 수도 있다. 하드 패턴은 그나마 무난한 채보. 문제는 6차 업데이트를 통해 하드 패턴의 레벨이 6임이 밝혀졌는데[* 크루 맥스 포인트로 살 수 있는 음악 아이템의 난이도는 가격을 통해 미리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이 5인 곡은 500 크루 맥스 포인트가 필요한 셈.], 클리어 면에서는 상당한 물렙. 노멀과 하드의 레벨 차이가 4나 되는데, 클리어 난이도로는 별 차이가 없는 희한한 난이도 표기를 보여준다.[* Brand NEW Days의 노멀과 하드의 패턴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 곡과 그 곡의 체감 난이도가 확 다르다.] 14차 업데이트로 MX 패턴이 공개되었다. 초반 부분은 8레벨 치고 매우 쉽게 시작하지만, 뒤로 갈수록 노트에 점차 살이 붙어가면서 점점 어려워지는 구성의 컨셉형 채보. 초중반 부분까지는 무난하기 때문에 클리어나 스코어링은 8레벨 약체로 분류되지만, 그래도 마지막 부분의 순간난이도는 꽤 높은 편이라 방심은 금물. == [[DJMAX TECHNIKA Q]] == ||||||||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13 수록곡 || || '''Everything''' || [[Supersonic ~Mr.Funky Remix~]] || [[Keys to the World]] || [[아침형 인간(DJMAX)|아침형 인간]] || |||||||||||| [[DJMAX TECHNIKA Q]] 난이도 체계 || |||| 2라인 |||| 3라인 || || 패턴 || 난이도 || 패턴 || 난이도 || ||<#FFFF00> NORMAL || 2 ||<#FFFF00> NORMAL || 3 || ||<#0000FF> {{{#white HARD}}} || 4 ||<#0000FF> {{{#white HARD}}} || 5 || ||<#FF0000> EXPERT || 7 ||<#FF0000> EXPERT || 7 || 아케이드와 달리 원곡이다. == [[TAP SONIC]] == 11월 1일 [[Leave me alone]]과 [[Phoenix Virus]]와 같이 등장. Leave me alone과 마찬가지로 탭소닉 최초의 DMP3곡 런칭이다. 초기에는 무료곡이였다가, 2013년 4월 9일, 프리미엄곡으로 바뀌었다. 난이도도 적당하고, 테크니카와 달리 원곡이다. == [[TAPSONIC WORLD CHAMPION]] == || 패턴 || 난이도 || || BASIC || 4 || || PRO || 6 || || LEGEND || 7 || [youtube(pwOTN_ornFM)] 레전드 패턴 플레이 영상 기본적으로 보컬과 스트링 사운드를 따라가는 패턴이지만, 7레벨 수준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간격이 좁은 계단이나 동시치기가 다수 나와 7레벨 입문자에게는 당황스러울 수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verything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00 0%, #000 40%, #79797a 40%, #79797a 40.8%, #d4a000 40.5%, #d4a000 42%, #b77a30 42%, #b77a30 43.3%, #8f5c17 43.3%, #6f4102 50%, #6d6d6d 50%, #6d6d6d 52.6%, #2c1f00 52.6%, #0f0b00 56%, #474640 56%, #474640 56.5%, #000 56.2%, #000 63%, #8f8f8f 63%, #8f8f8f 65%, #9d9d9d 65%, #9d9d9d 67.5%, #000 67.5%, #000 68.7%, #0f0f0f 68.7%, #0f0f0f 68.9%, #000 68.9%, #000 72.3%, #222 72.3%, #222 72.7%, #000 72.6%, #000 73.8%, #1c1c1c 73.8%, #1c1c1c 77.2%, #000 77.2%, #000 77.35%, #1c1c1c 77.35%, #333 78.5%, #000 78.5%, #000 100%)" '''{{{#8f5a21 PORTABLE 3}}}'''}}} || ||<-4>'''{{{+5 Everything}}}'''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5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81}}}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872}}}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0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15}}}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0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0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55}}}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95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4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88}}} || - || - || ||<-5> 특수 패턴 || || {{{-1 RS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s-10.2.6|The Last Signal]]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b15a10, #ca7514, #24190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LTr0QBoFw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8XpLSgc5FM)]}}}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5oqen57Lh8)]}}}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iDt97vfc3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qdOCXlhQWI)]}}}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2hFcXUphn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hgEKTDJ9cI)]}}}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ppE1lFgOwA)]}}}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gt2IccJ4Ik)]}}}|| 6B SC는 2개씩 쪼개진 겹계단이 굉장히 많이 나와 13레벨치고 꽤 어렵다. 다만 14레벨부터의 SC 패턴에서 한없이 많이 등장하는 유형의 패턴이므로 연습 시 상당한 도움이 된다. 이후 SC 6레벨에 배정되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rKRnxtXxs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OODAu91WIs)]}}}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verything, version=56, paragraph=1)]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