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F-4 팬텀 II)] [목차] == 개요 == 대중매체 속 [[F-4 팬텀 II]]에 대한 문서이다. == 설명 == 유명한 기종이니만큼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에 많이 등장했다. 1990년대 초에 출시된 '[[척 예거]]의 공중전'에서도 베트남전 전장에서 탈 수 있다. 이후 같은 회사(EA)에서 출시된 USNF 97에서 베트남전 배경 켐페인에서 탈 수 있고, Jane's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불릴 만한 USAF에서도 탈 수 있다. 이후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이 많이 나오지 않아서 탈 기회가 없다가 [[Strike Fighters]]가 출시되면서 또다시 탈 수 있게 되었다. == 게임 ==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에이스 컴뱃 1|첫 작품]]부터 게임 시작 시 주어지는 스타트 기체로 등장하여[* 난이도에 따라 스타트 기체의 구성이 다른데, 이지에선 [[MiG-29]], [[F-14]], F-4가 주어지고 노멀에선 MiG-29 제외, 하드에서는 F-4만 준다. 즉 F-4가 난이도 무관하게 주어지는 스타트 기체.] 먼 미래를 다루는 3편을 제외한 전 시리즈에 초기 스타트 기체로 개근 중이'''었'''다. [[에이스 컴뱃 4]]까지도 [[뫼비우스 1]]의 첫 기체로 등장했으나 [[에이스 컴뱃 5]]에서는 [[F-5]]E 타이거 II가 초기 워독 편대의 탑승기로 나오고 F-4E는 [[잭 바틀렛|워독 1]]의 기체로 등장하여 초기 기체의 자리에서는 밀려났다. 무장은 주로 공대지에 특화된 편으로,[* 특히 베트남전 당시에 네이팜을 투하하던 이미지가 강해서 [[네이팜]]이 특수무장으로 주로 쓰인다. 하지만 성능이 워낙 떨어져서 당장 UGB만 나오더라도 묻힌다. 실제였다면 [[AGM-65]] 매버릭을 날렸을 것이다.] 공대공 선택 무기는 현실을 매우 충실하게 반영해서(?) SAAM만 있다. 등장 기종으로는 주로 F-4E가 나오지만 에이스 컴뱃 5에선 F-4G와 F-4X가 파생형으로 등장했다. 이 F-4를 애기로 삼는 에이스 [[디트리히 켈러만]]이 [[에이스 컴뱃 제로]]에 등장한다. 이후 [[에이스 컴뱃 6]]에서 캐스팅에서 제외되기 시작하더니 이후로는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과 [[에이스 컴뱃 7]]에서 쭉 초기 예약 특전 기체로만 나오는 중. === [[워게임 시리즈]]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는 NATO군 및 그 협력국들의 다양한 F-4 계열기가 나온다. 한국 공군과 일본 항공자위대 역시 F-4를 운용하며, 미군은 F-4G 와일드 위즐 전자전기도 운용한다. 특이하게 독일 연방공군의 F-4F ICE는 AIM-120 AMRAAM을 운용하는 하이엔드 기종이다. === [[Strike Fighters]] === Wings Over Vietnam에서 등장하며 적기는 MiG-21 피쉬베드, MiG-17 프레스코 등이다. Wings Over Israel에서 등장한다. === [[스트라이커즈 1945 III]] === 속도와 파워 모두 준수한 기종으로 나왔다. 보조 무기는 네이팜 탄인데 사거리는 짧지만 일직선상의 적들을 모두 관통하고 위력도 뛰어나다. 차지 샷은 현재 자리에 비트를 설치하고 그 비트가 네이팜을 일직선상으로 연사하는 설치형 차지샷으로 보스전에서 절륜한 위력을 발휘한다. 게다가 봄은 전통의 필살기 사무라이 소드. 네이팜의 사거리만 극복한다면 좋은 기종이지만 네이팜 의존도가 높을 정도로 일반 사격이 약해서 상급자용이다. ===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 미군, [[ANZAC]] 지휘관의 지원 스킬 중 하나로 등장한다. 네이팜을 들고 지정한 목표 지점으로 날아가는데, 저고도에서 갑자기 날아와 네이팜만 툭 떨구고 튀기 때문에 SAM 호출로 잡을려면 그냥 미리 SAM을 불러놔야 격추가 된다.때문에 실력있는 지휘관들은 F-4 쿨타임 시기를 노려 SAM을 부르기도 한다. 이외에 DSHK 중기관총에도 격추가 되며 RPG로도 가능하다. === [[팰콘 4.0]] AF === 다음의 사양들이 구현되어있다. * F-4B: 미 해병대 * F-4C/D/E/G: 미 공군 * F-4J: 미 해군 VF-84 졸리 로저스 * F-4K: 영국 왕립 해군 * F-4M: 영국 왕립 공군 * F-4DSK/ESK: 대한민국 공군 D/E형 * F-4EJ: 일본 항공자위대 E형 === [[도미네이션즈]] === 냉전 시대의 첫 번째 전투기인 초음속 전투기 Mk 1, 2, 3로 등장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투기(도미네이션즈))] === [[워 썬더]] === || [[파일:F-4C Phantom II.png|width=100%]] || [[파일:f-4e.png|width=100%]] || [[파일:F-4J.png|width=100%]] || [[파일:f-4s.png|width=100%]] || [[파일:F-4EJ.png|width=100%]] || [[파일:F-4EJ_Kai.png|width=100%]] || [[파일:F-4EJ ADTW.png|width=100%]] || || {{{#white '''F-4C 팬텀 II'''}}} || {{{#white '''F-4E 팬텀 II'''}}} || {{{#white '''F-4J 팬텀 II'''}}} || {{{#white '''F-4S 팬텀 II'''}}} || {{{#white '''F-4EJ 팬텀 II'''}}} || {{{#white '''F-4EJ 카이 팬텀 II'''}}} || {{{#white '''F-4EJ 팬텀 II ADTW'''}}} || || [[파일:F-4F.png|width=100%]] || [[파일:F-4F_Late.png|width=100%]] || [[파일:F-4K.png|width=100%]] || [[파일:Phantom FGR.2.png|width=100%]] || [[파일:F-4J(UK).png|width=100%]] || [[파일:F-4E_IDF.png|width=100%]] || [[파일:Kurnass 2000.png|width=100%]] || || {{{#white '''F-4F 팬텀 II (초기형)'''}}} || {{{#white '''F-4F 팬텀 II'''}}} || {{{#white '''팬텀 FG.1'''}}} || {{{#white '''팬텀 FGR.2'''}}} || {{{#white '''F-4J(UK) 팬텀 II'''}}} || {{{#white '''F-4E 쿠르나스'''}}} || {{{#white '''F-4E 쿠르나스 2000'''}}} || [[워 썬더]] 1.91 패치로 F-4C형이 추가된 이래로 F-4E, 일본 테크트리에 F-4EJ, 영국 테크트리에 FGR.2와 FG.1, 그리고 마지막으로 독일 테크트리에 F-4F 초기형, F-4F 후기형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다시 "Direct Hit" (2.9) 업데이트로 일본트리에 F-4EJ Kai 팬텀이 추가되고 "Winged Lions" (2.13) 업데이트로 이스라엘 공군의 F-4E와 미국 해군항공대 트리에 F-4J 팬텀이 추가되었다. 22년 12월 "Apex Predators" 업데이트에서 영국군 사양의 F-4J(UK), 일본트리에 F-4EJ ADTW가 프리미엄 기체로 추가되었다. 23년 3월 "Sky Guardians" 업데이트에서 미국에 F-4S가 추가 되었다. 기존의 F-4J와 차이는 프리미엄 기체이며 워썬더 최초로 사출 좌석이 적용된다. 미국의 프리미엄 전투기 중 진짜 BVR이 가능한 최초의 기체 + 엄청난 폭장량 + 프리미엄 장비라는 점으로 인해 출시 후 뉴비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공방에 실력이 없는 뉴비들이 채프를 안 들고 플레어만 들고 오는가 하면, 대놓고 다목적 무장부터 폭탄런을 위해 짜여져 있으며 뉴비들은 팬텀의 매우 많은 폭장량으로 미니베이스를 터트리는, 일명 폭탄런을 위해 폭탄을 주렁주렁 매달고 오는 상황이 연출된다. 덕분에 F-4S가 많은 팀은 패배한다는 말이 떠돌고 있으며 공방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F-4 팬텀만 14개가 있다. 하지만 BVR도 잘하고 기동성도 좋아서 WVR도 잘 하는 4세대기의 등장 이후 위력은 떨어졌으며, 앞으로 F-15, Su-27과 같은 하이급 4세대기가 출시된다면 F-4는 트리 연구에 방해되는 신세로 전락해버릴 수도 있다. === [[마브러브 시리즈]] === [[F-4(마브러브 시리즈)|2족보행 병기로 등장]]한다. === [[DCS World]] === === [[Tiny Combat Arena]] === F-4E가 AI 항공기로 등장한다. == 영화 == [youtube(A2LKG2ygzhs)] === 레드 플래그: 디 얼티밋 게임 === '''1981년''' 미국에서 방영된 TV 영화 '레드 플래그: 디 얼티밋 게임'에서 주역기로 등장했다. 미 공군의 [[레드 플래그]] 훈련을 소재로 했으며 플롯은 5년 후에 나온 영화 [[탑건(영화)|탑건]]과 비슷하다. 시대가 1981년인 관계로 주인공들의 전투기는 F-4, 교관의 가상적기는 [[F-5]]이다. KBS [[명화극장]]을 통해 국내 방영된 적이 있다. [[파일:RFtUG_cover.jpg]] [[http://impdb.org/index.php?title=Red_Flag:_The_Ultimate_Game|영화 소개]] === 위대한 산티니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4291|The Great Santini]], 1979년작 미국 영화로 전쟁영화는 아니지만 주인공 벤 미첨 해병중령([[로버트 듀발]] 扮)이 F-4J 조종사여서 F-4J 비행 장면이 많이 나온다. === [[탑건]](1986) === 1986년작 영화 [[탑건]]에서는 언급으로나마 나오는데, 작중 [[피트 미첼]] 대위([[톰 크루즈]])의 아버지가 베트남 전쟁 당시 타고 다녔던 기종으로 설명된다. === 아이언 이글 2(1988) === 1988년 작 아이언 이글 2에서 이스라엘 F-4E가 MiG기 대역으로 등장한다. 해당영화는 이스라엘 공군의 촬영 협조를 받아 이스라엘 소속 F-16, F-4 그리고 [[IAI 크피르]] 전투기가 나온다. === [[일본침몰(2006)]] === 2006년 영화 [[일본침몰(2006)|일본침몰]]에서 일본 총리가 중국으로 가기 위해 탑승했다가 [[아소산]]의 분화로 규슈 상공에서 화산탄에 맞아 추락한 [[일본정부전용기]]의 피해 확인을 위해 RF-4EJ 편대가 긴급 발진하는 모습이 잠시 등장한다. === [[범블비(영화)]] === 영화 [[범블비(영화)|범블비]]에서 '''[[블리츠윙(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블리츠윙]]'''의 비클 모드로 나왔으며, 미사일을 발사해 섹터 7과 범블비를 공격했다. ||[[파일:블리츠윙_변신.gif|width=100%]]|| === [[포레스트 검프]] === 포레스트가 전우인 바바를 구출한 후, 소속된 소대원들과 검프를 추격하는 베트콩들에게 댄 중위의 [[근접항공지원]]을 요청받고 온 팬텀이 네이팜탄 폭격을 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 와중에 검프 본인도 폭격에 휘말리기 일보직전까지 갔지만 아슬아슬하게 살아남았다. ===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를 영화화한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에서 등장 설렌버거 기장의 과거 회상장면에서 짤막하게 나온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 === [[SHIROBAKO]] === 극중극 [[SHIROBAKO/작중작 #s-2|제3비행소녀대]](第三飛行少女隊) 캐서린 웰러(キャサリン・ウェラー)가 탑승하는 전투기로 나온다. === [[Cat Shit One]] === F-4G에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 F-4G 1기가 대공포에 격추되고, 페키와 레츠는 상관으로부터 조종사들을 구출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F-4G의 전자전에 관련된 기밀이 넘어가지 않도록 그들을 사살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이미 전방 조종사는 탈출하지 못하여 전사하였지만, 레츠와 퍼키는 부조종사를 월맹군으로부터 구출하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이미 척추가 골절되는 등 중상을 당했던 부조종사는 레츠와 퍼키에게 가족사진을 보여준 후 사망한다. === [[비행고등학교]] === [[파일:스마트폰 쓰는 톰켓.png]] 왕년에 잘 나갔던 언니 컨셉으로 나온다. 구형 기체 컨셉 답게 쓰는 휴대폰도 2G 폴더폰이다. === [[에어리어 88]] === A-4, 크피르와 함께 용병들이 많이 탑승하며 그만큼 많이 격추되는 전투기이다. 복좌기이지만 특이하게도 후방석에는 아무도 탑승하지 않고 조종석에만 파일럿이 탑승해 출격한다. TVA에서 주인공인 [[카자마 신]]이 탑승하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무장도 안단 상태에서 적의 미사일을 유도시켜 적끼리의 팀킬을 유도한다거나, 기관총만 가지고 적기를 견제하는 등 여러모로 사기적인 모습들을 보여준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만화지만 가끔씩 나온다. ~~모모카 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 기타 == [youtube(GEXb6nP_peY)] 러시아의 락밴드 Чиж & Co가 부른 버전 [youtube(QKnz2TtQUIo)] 러시아의 가수 [[예고르 레토프]]가 부른 버전 러시아의 유명 [[싸가]] 중에 "팬텀(Фантом)"이라는 노래가 있다. 베트남전에 참전한 미군 팬텀 조종사가 화자로, 공중전 중 소련 조종사들에게 격추당해 포로로 잡힌 뒤 누가 날 격추시켰냐고 심문 장교에게 물어보니 중공군 에이스 리시칭이 널 격추시켰다는 답이 돌아오자 "개소리 마라 새꺄, 무전 다 들었다, 날 격추시킨 건 소련군 에이스 이반 아니냐"라고 말하는 내용이다.[* 소련은 월남전 당시 비밀리에 공군 조종사 및 관련 무기를 지원하였는데, 이 때 소련의 참전을 감추기 위해 조종사들에게 러시아어가 아닌 베트남어나 중국어로만 무전을 주고받으라는 지시를 내렸다. 허나 급박한 상황에서 이는 잘 지켜지지 않았다. 미군 측도 이를 인지하고는 있었으나 제3차 세계대전을 피하기 위해 침묵했다. 여담으로 한국전 당시에도 소련은 비슷하게 조종사들을 몰래 지원해 주었고, 명령에도 불구하고 공중전 중에 러시아어가 튀어나오는 건 똑같았다고 한다.] 노래의 최초 작사가나 작곡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70년대 이전 베트남전에 비밀리에 참전한 소련군이 작곡한 것으로 추측된다. 구전으로 전해지다 보니 가사 또한 여러 버전이 있다. 그 중 위에 나와 있는 치즈 & 코와 [[예고르 레토프]]의 커버 버전이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 [[http://transural.egloos.com/312167|노래 배경에 대한 설명과 또다른 버전의 노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4 팬텀 II, version=515)] [[분류:전투기/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