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F-5)] [목차] == 개요 == [[F-5]]의 운용국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 || 개발국. 현재는 [[가상적기]] 부대 및 [[민간군사기업]]에서 보유 중이다. ==== 캐나다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CF-5''' || 240기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운용하였다. 캐나다에서는 전량 퇴역하였으나, CF-5라는 명칭으로 타국에 팔려나갔다. [[미국]]도 민간회사에서 4기를 도입했다. ==== 멕시코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E''' || 초기엔 F-5E 12기를 보유하였으나, 감축하였다. 2023년 기준 4기를 운용하고 있다. ==== 온두라스 ==== === 남아메리카 === ==== 브라질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EM''' || 남미 최강의 공군 전력을 자랑하는 나라답게 78기를 도입하여 2022년 기준 F-5EM/FM으로 개조한 42기를 운용 중이다. 대한민국과의 큰 차이점은 브라질은 여전히 F-5를 주력기로 쓴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와 함께 유이하게 [[AIM-120 AMRAAM]]급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더비 미사일을 F-5로 운용한다. 브라질은 여기에 더해 글래스 콕핏으로 교체하고 데이터 링크를 설치하는 대대적인 개량까지 거쳤다. 브라질의 F-5EM/FM는 현존하는 F-5 계열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져 있다. 칠레, 베네수엘라, 페루 등 주변국은 [[F-16]], [[MiG-29]], [[Su-30]] 등 F-5보다 한 단계 위인 기체들을 운용하고 있지만, 재정에 여유가 없었던 브라질은 [[엠브라에르]]와 IAI에 F-5의 수명 연장과 대대적인 개조를 주문한 것이다. 2010년대 이후론 [[JAS 39 그리펜]]을 도입하면서 점차 대체 중이다. ==== 칠레 ==== ==== 베네수엘라 ==== == 유럽 == === 중부 유럽 === ==== 네덜란드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NF-5''' || 69년부터 72년 사이에 캐나다에서 NF-5란 이름으로 105기를 도입했다. 이후 전량 퇴역시키고 튀르키예, 그리스, 베네수엘라에 되팔았다. ==== 스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8iKRAGGEnE)]}}}|| || '''스위스 공군의 F-5에 관한 다큐, "Tigris Helveticus"''' || ==== 오스트리아 ==== [[사브 35 드라켄|J 35Ö 드라켄]]의 퇴역으로 인한 전력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스위스에서 F-5E를 대여했었다. === 동유럽 === ==== 소련 ==== 과거 베트남과 에티오피아에서 노획한 F-5E 계열을 입수하여 MiG-21/23과 비교한 적이 있다. === 남유럽 === ==== 스페인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M''' || 훈련기 용도로 19기를 운용하고 있다. ==== 그리스 ==== === 북유럽 === ==== 노르웨이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KF-5''' || 대만의 뒤를 잇는 최대 도입국 2위로 무려 340기에 이르는 F-5를 도입했다. A형 88기, B형 30기, RF-5A 8기, E형 126기, F형 20기, [[KF-5]]E 48기, KF-5F 20기. 이렇게 많이 도입한 이유는 1970년대 중/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원래 계획으로는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4년 8월에 개량형인 F-5E/F 146기를 구입 계약했기 때문에 추가로 도입할 전투기로는 [[F-16|F-16A/B]]을 선정하여 1980년대 면허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미국의 [[지미 카터 행정부]]와 관계가 좋지 않아 F-16 면허생산이 거부된 상황이라서 차후 미국 대통령이 바뀌면 바뀐 미국 대통령을 설득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10.26 사태가 발생하고 이후 전두환 정부 시기 [[주영복]] 당시 국방부장관으로 임명하면서 면허생산 기종이 F-16에서 F-5로 바뀌었고 이 영향으로 대한민국 항공 산업 및 항공 전력의 발전에 악영향[* 만약 박정희 정부 계획대로 1970~80년대 당시 구식 F-5 전투기를 추가로 면허생산하는 대신 1980년대 F-16A/B을 면허 생산했었다면 공군 항공 전력 상승, 항공 산업 발전을 통해 T-50 골든이글 훈련기 및 FA-50 경공격기/경전투기 개발, [[KF-21 보라매]] 전투기 개발 완료 시기가 앞당겨져 노후화 된 전투기를 더 빨리 대체하여 조종사의 인명 피해도 줄였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F-16의 경우 F-5와 다르게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전투기이고 대만, 유럽을 비롯하여 다수의 국가에서 운용 중인점을 고려하면 개량과 기골 보강에도 비교적 수월했을 것이다. F-5 전투기의 경우 [[T-38]] 훈련기의 형제뻘 기체로 미 공군은 T-38을 비무장 훈련기로 쓰이고 있으며 2020년대에는 [[T-7]] 훈련기로 대체 중이다.]을 주었다. ==== 대만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E''' || '''사상 최대의 F-5 도입국'''으로 무려 400기가 넘는 F-5를 도입했다. 1965년 7기의 A/B형을 도입한 이후 1971년 83기의 A/B형을 추가로 도입했다. 그러다 미 공군의 남베트남 공여 정책에 의해서 F-5A형 48기를 미 공군에 빌려줬는데 이후 20기만 되돌려받을 수 있었고 이후 28기는 F-5E형으로 돌려받았다. 1973년부터 대만의 [[AIDC]]가 F-5E를 라이선스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Peace Tiger라는 명칭으로 총 6번의 Batch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서 242기의 F-5E와 66기의 F-5F를 도입하였다. 최종 Batch에서는 기수에 [[KF-5]]와 비슷한 샤크노즈를 장착하는 등 소소한 개량점이 존재한다. 1990년대 [[싱가포르]]에서 일부 기체가 RF-5E로 개수되기도 했고 2000년대 초반에 F-5에 대한 현대화 개량사업이 AIDC를 통해서 제시되었으나 대만 공군이 흥미를 보이지 않아서 사업이 그대로 묻혔다. 이후 급격히 퇴역하여 현재 소수만 운용중으로 파악된다. 특이하게도 대만의 F-5의 파일럿 중에는 북예멘에서 공중전과가 있다. 1979년 예멘은 F-5를 도입했는데, 운용 능력이 없어서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 하에 대만의 조종사와 정비사를 파견한 적이 있다. 이때 공중전이 발생하여 실전에 투입된 것이다. ==== 중국 ==== [[대만]] 파일럿이 몰고 망명한 몇 대를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고, [[J-7]] 개량의 레퍼런스로 삼았다. === 동남아시아 === ==== 태국 ==== ==== 인도네시아 ==== ==== 남베트남 ==== ==== 베트남 ==== 남베트남이 운용하던 기체였는데 패망 직전 태국으로 망명한 일부 기체를 제외하면 모두 노획했다. 현재는 퇴역. 여기서 베트남에서 망명한 기체중 [[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항공모함 USS 엔터프라이즈 CVN-65]]에 착함한 경우도 있었다. ==== 싱가포르 ==== 특이하게 AIM-120 AMRAAM을 탑재했다. 이후 [[F-15|F-15SG]]로 대체되었다. ==== 말레이시아 ==== ==== 필리핀 ==== F-5의 퇴역 이후 2015년 [[FA-50]]을 도입할 때까지 [[전투기가 없는 국가]]로 남아있었다. === 서아시아 === ==== 이란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이란 공군의 F-5''' || [[이란 혁명]] 이전 총 180여 기에 가까운 F-5A/B/E/F와 RF-5A를 도입했다. 현재 60기 남짓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란이 자체 개발한 [[HESA 아자라크쉬]], [[HESA 사에케]], HESA 코우사르라는 기체도 존재한다. 외형은 F-5 그 자체다. 이란 파생기는 자체 개발이 아니라 F-5를 재생, 개량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 ==== ==== 튀르키예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NF-5A''' || 곡예비행대에서 NF-5A/B를 운용하고 있다. ==== 바레인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E''' || 12기를 운용하고 있다. ==== 요르단 ==== ==== 예멘 ==== 통일되기 전 북예멘에서 1979년에 14기를 도입했다. == 아프리카 == === 북아프리카 === ==== 모로코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5E''' || 26기를 운용하고 있다. ==== 튀니지 ==== ==== 수단 공화국 ==== ==== 리비아 ==== === 동아프리카 === ==== 케냐 ==== ==== 에티오피아 ==== === 남아프리카 === ==== 보츠와나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5, version=590)] [[분류:F-5]][[분류:전투기/운용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