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 ||<-2> [[파일:FC 알라슈케르트 로고.svg|width=300]] || ||<-2> '''{{{#EDDE31 {{{+1 FC 알라슈케르트}}}}}}''' || ||<-2><#EDDE31> '''{{{#000 {{{+1 FC Alashkert}}}}}}''' || || '''정식 명칭}''' ||Ֆուտբոլային Ակումբ Ալաշկերտ[br](Football Club Alashkert) || || '''[[축구단 별명|{{{#EDDE31 별칭}}}]]''' ||'''[[노란색]] (The Yellows)''' || || '''창단''' ||[[1990년|{{{#000,#ddd 1990년}}}]][* 이후 [[2000년]]에 해체했다가 [[2011년]]에 재창단했다.] || || '''소속 리그'''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025294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Armenian Premier League)}}}]]''' || || '''연고지''' ||[[예레반]] (Yerevan) || || '''홈구장''' ||알라슈케르트 스타디움 (Alashkert Stadium)[br](6,850명 수용) || || '''구단주''' ||바그라트 나보얀 (Bagrat Navoyan) || || '''감독''' ||밀란 밀라노비치 (Milan Milanović) || || '''주장''' ||아르탁 그라고리얀 (Artak Grigoryan) || || '''공식 웹사이트''' ||[[http://fcalashkert.am/|[[파일:FC 알라슈케르트 로고.svg|width=30]]]] || ||<-2><#EDDE31> '''{{{#000 우승 기록}}}''' ||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EDDE31 __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__ (1부)}}}''']][br](4회) ||2015-16, 2016-17, 2017-18, 2020-21 || || [[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EDDE31 __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__ (2부)}}}''']][br](1회) ||2012-13 || || [[아르메니아 컵|'''{{{#EDDE31 __아르메니아 컵__ (FA컵)}}}''']][br](1회) ||2018-19 || || [[아르메니아 슈퍼컵|'''{{{#EDDE31 __아르메니아 슈퍼컵__ }}}''']][br](2회) ||2016, 2018 || ||<-2><#EDDE31> '''{{{#000 이적 기록}}}''' || || '''__최고 이적료 영입__''' || || || '''__최고 이적료 방출__''' ||알렉산드로 베네치아 (Alessandro Venezia)[br](2021년, To [[멜버른 시티 FC|맬버른 하트 FC]], 22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메니아]]의 [[예레반]]을 연고로 하는 축구단이다. == 역사 == FC 알라슈케르트는 예레반이 아닌 마르투니에서 1990년 "알라슈케르트 마르투니"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고 1992년 1부리그에 참가하였으나 바로 강등되었고 이후 리그에서 기권하였다. 그후 1998년 다시 리그로 복귀하였고 복귀 첫 시즌에 6위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바로 다음 시즌 1999년 리그에서 기권하였고 2000년에 팀은 해체를 선언한다. === 재창단 후 === 팀은 이후 마르투니 태생의 사업가이자 현 구단주인 바그라트 나보얀에 의해 재창단하였다. 재창단 후 첫 시즌인 2012-13시즌에 2부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1부리그에 참가하기 시작하였고 예레반에 있던 나이리 스타디움(현 알라슈케르트 스타디움)을 구입하면서 예레반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였다. 1부리그 참가 세시즌만인 2015-16 시즌에는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유럽 대항전에서는 2014-15 시즌에 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여 나간 2015-16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유로파 리그]] 1차 예선에 참가한 것이 처음이였는데 1차 예선에서 만난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존스톤 FC]]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2차 예선에 진출하지만 [[카자흐스탄]]의 [[FC 카이라트]]에게 2패를 당하며 떨어졌다. 이후 간간히 예선에서는 승리를 거두지만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하였다. 2021-22 시즌 유로파 리그에서 유럽 대항전 첫 대회에서 팀을 떨어트린 카이라트를 상대로 연장까지 가는 접전끝에 승리하면서 유로파 플레이오프의 진출하였고 플레이오프에서 레인저스에게 비록 졌지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컨퍼런스 리그]]가 신설되면서 컨퍼런스 리그 본선에 합류하게 되었고 유럽 대항전 본선에 참가한 최초의 아르메니아 클럽이 되었다. 본선에서는 [[LASK]], [[마카비 텔아비브 FC|M.텔아비브]], [[HJK 헬싱키|HJK]]와 함께 A조에 배정받았다. 조 최약체라고 평가받았는데 역시나 4전전패를 당하며 가장 먼저 탈락 확정되었다. 그나마, 마지막 6차전에서 [[마카비 텔아비브 FC|마카비 텔아비브]] 전에 1-1로 비겨 승점 1점이라도 얻었다. 2021-22 시즌도 리그 준우승을 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몰타의 [[함룬 스파르탄스 FC]]. 1차전에서는 1-0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2차전에서는 4-1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2022-23 시즌 4위를 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FK 아스날 티바트]]. 1차전에서는 1-1로 비겼다. 2차전에서는 6-1로 대승을 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 상대는 헝가리의 [[데브레첸 VSC]]. 1차전에서는 1-0으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했지만 페널티에서 패배하며 탈락했다. == 여담 == * 2017년에는 [[브라질]]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세리 B]]의 [[보타포구 FR]]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 [[분류:FC 알라슈케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