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3리그)] ||||<-2>
[[파일:FC 오사카 로고.svg|width=300]] || ||<-2> '''{{{+1 {{{#ffffff FC 오사카 }}}}}}''' || ||<-2> '''{{{+1 {{{#ffffff FC Osaka }}}}}}''' || || '''정식 명칭''' ||FC大阪 || || '''라이센스''' ||J3 || || '''창단''' ||[[1996년]] || || '''구단 형태''' ||[[시민 구단]] || || '''소속 리그''' ||[[J3리그|[[파일:J3리그 엠블럼 가로형(2023~).svg|width=70]]]] || || '''연고지'''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 || || '''홈구장''' ||[[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30,000명 수용) || || '''감독''' ||츠카하라 신야 || || '''키트 스폰서''' ||보네라 || || '''웹 사이트''' ||[[https://fc-osaka.com/| [[파일:FC 오사카 로고.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official.fcosak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https://twitter.com/FCosakaOfficial|[[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px&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px&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fcosaka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youtube.com/@fcosaka1996|[[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 시즌부터 [[J3리그]]에 참가 중인 축구단. == 역사 == === J리그 이전 === 이전에는 뚜렷한 연고지 없이 오사카시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프로화를 준비하면서 터줏대감인 감바, 세레소와의 연고지 중복화를 피하기 위해 2019년부터 [[히가시오사카시]]를 중심으로 주변지역을 연고지로 삼고 있다. 2022 시즌 [[JFL]]에서 2위를 기록하며 2023 시즌부터 [[J3리그]]로 승격을 확정했다. ==== 2022 시즌 ==== 같은 간사이의 나라 클럽은 일찌감치 평균 관중 2,000명을 달성해 승격을 확정 지은 반면, 오사카는 1경기를 남기고도 평균 관중 2,000명 조건을 채우지 못한 상태였다. 나라현에는 프로 클럽이 없고 나라 클럽이 나라현 전체를 연고지로 삼은지라 이쪽은 순위만 된다면 관중 확보가 쉬운 상황이었지만,[* 그러나 나라 클럽은 관중수를 조작해 J3 라이선스를 박탈당했던 흑역사가 있다.] FC 오사카는 오사카부 내에 터줏대감 클럽이 둘이나 있는지라 팬 확보가 어려운 팀이다.[* YSCC 요코하마의 사례를 생각하면 되는데 연고지는 대도시이지만, 같은 시내에 더 큰 클럽이 둘이나 있어 이쪽은 J1~J3리그 전 팀 통틀어 관중수가 최하 수준이다.] 마지막 경기에서 약 3,800여명의 관중수를 동원해야 평균 관중 2,000명을 달성할 수 있었는데 무료표를 나눠주고[* JFL은 J리그가 아니기에 무료표도 관중 집계에 포함된다.] 선수들이 직접 뛰어다니며 홍보한 결과 약 12,000여명의 관중이 마지막 홈경기를 찾아줘서 승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단 승격은 했는데 빠르게 J1 라이선스를 확보해 승격하지 않는 이상은 흥행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스타디움 면에서는 하나조노 럭비장을 홈구장으로 확보하면서 숨통이 트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오사카부/스포츠)] [[분류:FC 오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