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디빌딩)] [목차] == 개요 == Fat Free Mass Index. '제지방량지수'라고도 불린다. [[BMI]]보다 좀 더 자세하게 몸 상태를 볼 수 있는 지수로, 몸의 구성을 따지지 않는 BMI와는 달리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체지방률이 낮은 운동인들에게 비교적 잘 맞는 지수이다. 이 지수가 처음 도입된 것은 157명의 남성 운동선수[* 83명 스테로이드 사용, 74명 사용 안 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이다. [[스테로이드]] 비사용자들은 대체적으로 FFMI 25 이하의 수치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단 이것은 연구에 참여한 157명을 기준으로 산정한 것이므로, 전체 인구를 대표하는 완전히 정확한 기준이라 할 수는 없다. 실제로 스테로이드가 사용되기 이전에도 FFMI가 28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운동선수가 존재했다고 한다. 좋은 데이터에 기반한 통계는 아니지만 1939~1959년까지의 미스터 아메리카를 기준으로 하면 normalized FFMI의 [[평균]]은 25.4, [[표준편차]] 1.5 정도로 알려져 있다. 즉, 대략 29.9(평균+3표준편차)가 최상급들 중에서도 상위 1%의 수준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스테로이드가 처음 상업적으로 시판된 것은 1935년 즈음 독일 쉐링사로부터였고, 값이 싼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1950년대 중후반에 퍼지기 시작했다. 소련의 경우에는 1940년대 말부터 스테로이드를 개발하여 운동선수들에게 사용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ltie999&logNo=221499674658&parentCategoryNo=21&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테스토스테론과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의 역사]]] == FFMI 25를 넘어가면 스테로이드 사용자다? == === 반박 및 부정 === [[일반화의 오류|FFMI가 25.0 이상이면 스테로이드 사용자]]라고 단정 짓기엔 큰 오류가 있는 게 ==== 확률 분포 관점 ==== * 첫 째, '''FFMI 25에 해당하는 수치는 키로 치면 193cm, 롤 티어로 치면 [[그랜드 마스터]] 직전'''과 같다. 왜냐하면 FFMI 25 백분위가 정규분포상 상위 0.07%인데 이는 키 193cm에 해당하는 백분위와 같은 것이다. 즉 193cm도 상위 0.07%인 것이다. 키 관점에서 봤을 때 이 정도 키에 해당하는 구간에 속한 사람은 인위적 키 수술을 해서가 아닌 정말 유전적으로 그렇게 큰 확률이 높다. 마찬가지로 FFMI도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서가 아닌, 정말 유전적, 자연적으로 타고난 사람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향도 있기에 무조건 25를 넘겼다고 스테로이드 사용자다! 라고 주장하기엔 모순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롤 티어도 저 구간은 재능이 뒷받쳐 줘야 한다고 할 정도인데 그와 대응되는 수치가 FFMI 25인 것이다. FFMI라고 예외가 있겠나. 그리고 상위 0.07%면 꽤 드문편은 맞지만 1420명 중 한 명[* 물론 무조건 나온다는 보장은 없다. 1420명이라는 동일 성별, 동일 연령 및 랜덤 표본에서 25 이상인 사람이 나올 수도 있는 것이고 그 이하인 사람이 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정규분포라는 이상적인 계에서만 해당하는 것이니.]나오는 꼴인데 이 정도 수치면 번화가 및 유흥가 같은 곳에서 하루에 한 명 정도는 운 좋으면 마주칠 수 있는 수치다. 쉽게 설명해 '''FFMI 25를 로이더라고 주장하는 것은''' 두 개의 고등학교 남성 '''전교생을 불러 모아서 키 측정 후 193cm 이상 나온 친구한테 "너 수술로 늘린거지?"라고 주장하는 거랑 같은 격'''인 것이다. 그렇기에 확률 분포 관점에서 봤을 때 FFMI 25.0이 로이더라고 칭하기엔 무리가 있단 것이다. ==== 연구한 논문의 문제점 ==== *둘 째, FFMI가 25를 넘어서면 '''스테로이드 사용자라고 주장한 논문의 표본 측정자 수의 수치가 부족한 편이다.''' [[통계학]]에선 통계를 낼 때 표본 인원 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신뢰성이 높아지는데 일단 표본 측정자 수가 157명에 일반인까지 포함한 것이 아니라 신뢰 구간은 낮아진다. 최소 몇 만명 단위로 측정을 해야 평균과 근접하게 나온다. 참고로 평균은 극단적인 값에 의해 바뀌는 변수이다. [* 이는 키도 마찬가지다. 키 200cm를 5명이나 넘는 집단과 키 175cm에 해당하는 집단 5명과 평균을 비교하면 키에 대한 평균은 당연히 전자가 압도적으로 높다.] 게다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보디빌더 중에서 FFMI가 25를 넘어가는 사람이 있는지도 조사해야 한다. 왜냐하면 확률 분포에 의해 충분히 ffmi가 25를 넘어가는 내츄럴 보디빌더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 집단(10만 명)의 평균 키는 174cm이라 치자. 여기서 평균과 다른 양상을 띄는 변수들이 나오게 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확률 분포에 따라 키 140cm, 180cm, 190cm, 200cm가 출현할 수도 있단 것이다. 즉 유전적으로 키가 2m인 사람이 있을 확률도 있기에 내츄럴 보디빌더 중에서도 '''분명 ffmi가 25를 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FFMI가 무조건 25.0을 넘는다고 스테로이드 사용자라고 단정 지으면 안된다. ==== 25를 넘는 사례가 빈번한 편임 ==== * 셋 째, '''FFMI가 극단적으로 높은 사람이 빈번하게 많다.''' 실제로 [[https://www.ncbi.nlm.nih.gov/pubmed/28548340|이 논문에서]] 인간 질량 한계에 관해 연구한 것인데, 연구 대상은 일본 스모 선수로 했다고 한다. 이 선수는 키 186cm에 체중이 무려 181kg에 체지방률은 33%라고 하는데, '''FFMI 수치가 무려 35.1'''로 측정 되었다. 이건 웬만한 보디빌더들은 그냥 압도하는 것이다. 181kg 중 59.73kg가 체지방이란 것인데 만약 체지방률은 일반 보디빌더와 같이 3%대로 줄였다 치고 계산해보면 체지방량은 단순 계산으로 5.43kg이 나오는 것이다. 즉 보디빌더와 같은 체지방률(3%) 기준으로 총 몸무게는 175.57kg인데 이를 토대로 계산 해보면 '''FFMI가 48.09'''가 나온다.[* 물론 다이어트 과정에서 골격근량도 빠질 확률이 매우 높아 100% 신뢰하긴 힘드므로 단순 계산이라 참고용으로만 보면 된다.] 이런데도 이게 스테로이드 사용자라 할 것인가? 참고로 일본 스모는 참가 전, 후마다 도핑 검사를 실시하고 해당 논문에서도 도핑 검사를 실시 했는데 모두 정상 판정이 나왔기에 스테로이드 사용자라 보기엔 아주 힘들다. == 계산식 및 분포 == FFMI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FFMI = [math(\dfrac l {h^2})] || 여기서 '''[math(l)] : 제지방량(지방량을 제외한 몸무게)''' '''[math(h)] : [[키]](단위: m)''' 를 뜻한다. 즉 내가 70kg이고 [[체지방률]]이 20%라면, [math(l)] = 70*(100%-20%) = 56kg이다.그리고 이 사람의 키가 165cm이라면, 이 사람의 FFMI는 [math(56)] / [math(1.65^2)] = 20.56이다. normalized FFMI 혹은 adjusted FFMI라 불리는 지수도 있는데, 이는 FFMI+6.3*(1.8-height(m))으로 정해진다. 즉 위 사람의 adjusted FFMI는 약 21.51이다. 미국의 25~69세, BMI 18.5~30 사이의 인구를 대상으로 한 FFMI 분포는 다음과 같은데 기본적으로 정규분포의 형태를 띈다.[* 참고자료: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684827/|Stratification of fat-free mass index percentiles for body composition based on NHANES III bioelectric impedance data (Kudsk et al. 2016)]]] (adjusted FFMI가 아니다.) 그리고 하나 더 알아야 할 점이 있는 것이 해당 수치는 미국 백분위 기준이다. 즉 한국 기준으론 다소 다른 점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나이도 성인 기준이라 나이 별 FFMI로 보면 미성년자는 이보다 적을 확률이 높다. 성인 기준, 상위 50% 19.1, 표준편차 1.85이다.[* 공교롭게도 어깨 골격 너비 표준편차와 비슷하다.] ||백분율||남성 FFMI||여성 FFMI||백분율||남성 FFMI||여성 FFMI||백분율||남성 FFMI||여성 FFMI|| ||1% ||15.278||13.544||34% ||18.369||15.425||67% ||19.936||16.536|| ||2% ||15.560||13.776||35% ||18.411||15.461||68% ||19.991||16.573|| ||3% ||15.751||13.944||36% ||18.459||15.493||69% ||20.039||16.602|| ||4% ||15.978||14.032||37% ||18.506||15.523||70% ||20.095||16.633|| ||5% ||16.168||14.123||38% ||18.558||15.558||71% ||20.165||16.685|| ||6% ||16.357||14.202||39% ||18.612||15.589||72% ||20.213||16.719|| ||7% ||16.465||14.267||40% ||18.668||15.618||73% ||20.267||16.763|| ||8% ||16.581||14.327||41% ||18.706||15.644||74% ||20.319||16.809|| ||9% ||16.692||14.393||42% ||18.769||15.675||75% ||20.378||16.868|| ||10% ||16.807||14.444||43% ||18.809||15.703||76% ||20.434||16.917|| ||11% ||16.924||14.509||44% ||18.866||15.739||77% ||20.486||16.958|| ||12% ||17.008||14.561||45% ||18.902||15.786||78% ||20.537||17.005|| ||13% ||17.116||14.596||46% ||18.945||15.819||79% ||20.599||17.062|| ||14% ||17.183||14.643||47% ||18.997||15.851||80% ||20.652||17.113|| ||15% ||17.241||14.688||48% ||19.059||15.883||81% ||20.719||17.161|| ||16% ||17.315||14.741||49% ||19.107||15.924||82% ||20.775||17.211|| ||17% ||17.378||14.779||50% ||19.160||15.962||83% ||20.834||17.259|| ||18% ||17.428||14.817||51% ||19.204||15.991||84% ||20.905||17.321|| ||19% ||17.496||14.867||52% ||19.254||16.017||85% ||20.966||17.367|| ||20% ||17.568||14.908||53% ||19.302||16.046||86% ||21.044||17.427|| ||21% ||17.638||14.950||54% ||19.346||16.087||87% ||21.139||17.477|| ||22% ||17.689||15.003||55% ||19.386||16.126||88% ||21.232||17.545|| ||23% ||17.773||15.036||56% ||19.425||16.164||89% ||21.324||17.600|| ||24% ||17.830||15.073||57% ||19.478||16.195||90% ||21.428||17.663|| ||25% ||17.891||15.110||58% ||19.530||16.224||91% ||21.537||17.733|| ||26% ||17.954||15.138||59% ||19.579||16.255||92% ||21.629||17.812|| ||27% ||17.992||15.175||60% ||19.631||16.287||93% ||21.740||17.918|| ||28% ||18.046||15.210||61% ||19.669||16.328||94% ||21.865||18.049|| ||29% ||18.114||15.250||62% ||19.722||16.367||95% ||22.013||18.162|| ||30% ||18.168||15.289||63% ||19.762||16.405||96% ||22.285||18.337|| ||31% ||18.224||15.316||64% ||19.799||16.430||97% ||22.522||18.512|| ||32% ||18.277||15.356||65% ||19.847||16.463||98% ||22.826||18.680|| ||33% ||18.322||15.394||66% ||19.894||16.498||99% ||23.492||19.017|| 도표를 보면 알겠지만 FFMI 22 수준이면 상위 5%이고 23이면 상위 1%에 속한다. 일반인 기준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몸이라는 뜻. === 유명 체육인 FFMI === ||이름||키(cm)||몸무게(kg)||체지방률(%)||FFMI|| ||Ray Williams[* 2017 IPF World Classic Championship 우승자. 당시 [[스쿼트]] 470kg, [[벤치프레스]] 242.5kg, [[데드리프트]] 377.5kg를 기록했다.][* 참고논문: [[http://asjsm.com/en/articles/61763.html?fbclid=IwAR3ZqY-VKIjH1BKUO0ItaxyUjPhuPVnRaxpZoA2Qkkjhj1oqfoggnI1IiTg|Skeletal Muscle Mass and Architecture of the World’s Strongest Raw Powerlifter: A Case Study (Abe et al. 2018)]]]||184cm||181.2kg||24.3%||40.60[* 후술하겠지만 체지방률이 높으면 FFMI는 급격히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 지방이 빠지면 25% 정도의 lean body mass가 줄어든다고 하는데([[https://bodyrecomposition.com/muscle-gain/another-look-fat-free-mass-index-ffmi-part-2.html/|참고]]) 이렇게 되면 키 184cm, 몸무게 약 102kg, 체지방률 약 5% 가정시 FFMI는 약 28.68이 된다.]|| ||[[알렉산드르 카렐린]] ||193cm||133kg||7%||33.28|| ||남경진[* [[https://instagram.com/wrestler_nam?igshid=YzdkMWQ2MWU=|#]] 대한민국 자유형 125kg급 레슬링 국가대표] ||178cm||118kg||14.7%||31.83|| ||[[최홍만]][* K1 데뷔시즌]||217cm||160kg||9.3%||30.88|| ||[[아놀드 슈왈제네거]][* 시즌기]||186cm||104kg||7%||28.02|| ||[[프랭크 제인]][* 시즌기]||175cm||86kg||4%||27.01|| ||[[조준(유튜버)|조준]][* 시즌기]||180cm||89.6kg||4.6%||26.44[* FFMI가 25를 넘어가기 때문에 [[로이더]]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다만 본인은 시즌 기간동안 스테로이드제제 관련 도핑 검사를 받으며 계속해서 로이더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윤성빈(스켈레톤)|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리스트]||178cm||89.7kg||6.9%||26.41|| ||[[이용승]][* 시즌기]||173cm||81kg||5.0%||25.76|| ||[[르브론 제임스]][* 2003년 [[NBA]] 드래프트 당시]||201.3cm||111.1kg||6.7%||25.58|| ||[[설기관]][* 비시즌기]||169cm||81.1kg||13.8%||24.53|| ||[[말왕]]||180cm||85.6kg||9.4%||23.99|| ||[[김종국]]||177.4cm||81.1kg||8.5%||23.63||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2016년 당시]||186cm||83kg||9.6%||21.73|| ||[[운지기]] ||177cm||72kg||9%||20.96|| ||[[심으뜸]]||164.7cm||52.8kg||13.5%||16.87|| == 비판 == FFMI에 대해서도 여러 비판이 존재한다. 특히 FFMI>25이면 약물 사용이라는 공식에 대해서 반발이 심한 편이다. * FFMI>25가 약물사용 기준이라는 연구에서 사용된 157명은 충분한 표본수를 확보했다고 할 수 없다. * 수정 FFMI의 기준은 임의적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25가 '내츄럴'의 한계라는 해석은 잘못되었다. * [[지방(화학)|지방]]이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근육]]과 상관이 있어 뚱뚱한 사람들이 유리하다.[* 실제로 한 [[스모]] 선수의 경우 186cm에 181kg, 체지방률 33%로 FFMI는 무려 35.1을 기록했다. 참고논문: [[https://www.ncbi.nlm.nih.gov/pubmed/28548340|Upper limit of fat-free mass in humans: A study on Japanese Sumo wrestlers (Kondo et al. 1994)]]][* 단 [[보디빌딩]]같은 경우 보통 체지방률을 저렇게 높이 가져가지 않으므로 이 문제는 비교적 덜하다. 일반적인 '몸 만들기'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허나 같은 몸무게에서 체지방이 증가할 수록 FFMI 수치는 감소하니 무게가 증가 했을 때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지방의 총량이 같더라도 지방이 어디에 주로 분포되었는가에 따라 겉으로 보이는 근육질이 다르게 나타난다. * 지방 측정 방법이 갖는 실제 체지방률 오차로 인해 1~2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논문의 저자들이 사용한 방법은 약 3.4%p 정도의 오차를 보이며, 만약 3%p 오차가 발생했다면 FFMI는 약 0.8 정도 상승한다. 이는 생각보다 중요할 수 있는 수준의 오차다. 백분위에서 10단위 백분율 차이가 나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아래 FFMI 논문 반박 링크 참고.] * lean mass는 지방을 제외한 몸무게이며, 이는 골격근 양을 직접 잰 것이 아니다. 즉 체지방을 제외한 뼈 무게, 장기의 무게, 체내 수분의 무게 등을 포함한 것이라 100% 정확한 건 아니다. == 관련 항목 및 링크 == * [[https://www.ncbi.nlm.nih.gov/pubmed/7496846|Fat-free mass index in users and nonusers of anabolic-androgenic steroids. (Kouri et al. 1995)]] (FFMI > 25이면 스테로이드 사용자로 의심될 수 있다는 내용의 근거가 된 연구논문.) * [[http://drsamshealth.com/blog-The+TRUTH+about+FFMI-1571|FFMI로 스테로이드 사용자 및 비사용자 분류하는 예시.]] * Another Look at the Fat-Free Mass Index (FFMI) [[https://bodyrecomposition.com/muscle-gain/another-look-fat-free-mass-index-ffmi-part-1.html/|파트1]][[https://bodyrecomposition.com/muscle-gain/another-look-fat-free-mass-index-ffmi-part-2.html/|파트2]][[https://bodyrecomposition.com/muscle-gain/another-look-at-the-fat-free-mass-index-ffmi-part-3.html/|파트3]]: FFMI와 관련된 이슈를 폭넓게 다루는 시리즈. FFMI > 25가 절대적 기준은 아니나 실용적 기준은 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 [[유도]]하는 사람들의 경력별, BMI별, 체지방별, FMI별 FFMI 그래프[[https://www.researchgate.net/figure/Body-composition-chart-for-judoists-by-age-groups-FFMI-fat-free-mass-index-FMI-fat_fig1_286532440|#]] * [[BMI]] * BAI (body adiposity index, [[체지방률]]을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 [[분류: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