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플뤼겔)] [[파일:FLugeL(Arp_EggyO)_BG.png]] [목차] == 개요 ==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작곡가는 [[かねこちはる]]. 제목은 '''플뤼겔 《아르페지오》'''로 읽으며, 플뤼겔은 독일어로 '''날개'''라는 뜻, 아르페지오는 음악 용어로 '''분산화음'''이라는 뜻이다. == [[사운드 볼텍스]] == The 5th KAC에 [[Lachryma《Re:Queen’M》]]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한 [[かねこちはる]]의 오리지널 신곡, [[GRAVITATIONAL RADAR]] EPISODE 23에서 해금할 수 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GRAVITY || || 자켓 || [[파일:FLugeL(Arp_EggyO)_NOV.png|width=150]] || [[파일:FLugeL(Arp_EggyO)_ADV.png|width=150]] || [[파일:FLugeL(Arp_EggyO)_EXH.png|width=150]] || [[파일:FLugeL(Arp_EggyO)_GRV.png|width=150]] || || 레벨 || 07 || 13 || 18 || 19 || || 체인 수 || 0934 || 1441 || 2265[*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2044] || 2514[*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2319] || || 일러스트 담당 || FLügeL 蒼弐&ぺぬ[br]- 邂逅 - || FLügeL 蒼弐[br] - 交わるセカイ - || FLügeL 蒼弐[br] - 双翼の願い - || FLügeL 蒼弐[br] - 宿命を超えて -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MAD CHILD]] the Execute || || 수록 시기 ||<-4> '''{{{#ffcd3c III 72(2016.08.17)}}}''' || || [[BPM]] ||<-4> 120-240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ADVANCED : KAC 연습 코스【심(心)】(2017.1.5 ~ 2017.1.16) * GRAVITY : Skill Level ∞(2016.8.17 ~ 2016.12.21), KAC 도전 코스【심(心)】(2017.1.5 ~ 2017.1.16) 자켓의 캐릭터는 [[레이시스(사운드 볼텍스)|레이시스]]와 [[그레이스]] 트랙 배경은 [[veRtrageS]]와 유사하지만 그레이스의 실루엣이 있는 자리 뒤에 [[Lachryma《Re:Queen’M》]]처럼 버그아이가 보이고, 조금 더 어두운 전용 배경을 사용하며, [[Lachryma《Re:Queen’M》]]에서 보였던 배경 연출과 트랙이 사라지는 연출이 모든 난이도에서 나타난다. 인피니트 블래스터에서 플레이할 때도 트랙이 투명해지는 연출이 나타나지만 배경의 캐릭터는 나오지 않는다. GRV 패턴 해금방법은 [[BLASTER GATE]] 모드에 등장하는 [[Ok!! Hug Me]]. [[ウエンレラの氷華]], [[Completeness Under Incompleteness]], [[Celestial stinger]], [[NEO TREASON]]을 모두 해금하면 [[DIABLOSIS::Nāga]]와 [[Lord=Crossight]]가 등장하고, 이 둘도 해금해야 블래스터 타겟이 등장한다. 4볼로 넘어오면서 이 악랄한 순차해금은 사라졌다. === 채보 상세 === [youtube(nroDI5T6wDI, width=420, height=600)]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UC영상 MAD CHILD가 제작한 패턴답게 번개 노브 및 처리하기 까다로운 원핸드, 롱 FX가 섞인 폭타가 주가 되는 패턴. 도입부 및 곡 중간중간에 있는 변속 파트를 암기해 두는 것이 스코어링의 포인트로, 저속 구간에서는 생각보다 EARLY가 나기 쉽기 때문에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반 두 번째 저속 구간의 원핸드는 한 손으로 거의 모든 버튼을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손배치를 미리 짜 가거나 암기해 가는 것이 좋다. 중간에 왼쪽 노브를 돌리면서 나오는 FX-R 롱노트 사이에 BT-D 노트가 하나 끼인 패턴이 나오는데, FX-R 롱노트를 새끼손가락으로 잡는다면 손이 꼬이기 쉽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곡 중간중간에 240이라는 높은 BPM으로 떨어지는 16비트 폭타 또한 난관. 다행히 GRV 패턴과는 다르게 중간중간 쉴 틈을 주기는 하지만, 그래도 속도 자체가 빨라서 방심할 수는 없다. 최후반에 길게 등장하는 BT 트릴은 한 손으로 처리하기에는 힘에 부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양 손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클리어 난이도는 18레벨 중하급 정도지만, 변속과 까다로운 노트 배치 등으로 인해 스코어링 난이도는 더 올라간다. PUC 달성자는 당일에 나왔다. 최초 달성자는 5th KAC 우승자 1008.BOT. [youtube(aeaMbmUjlec, width=420, height=600)] GRV 패턴 손배치 포함 PUC영상 EXH 패턴의 극 강화판. 전체적으로 EXH 패턴에서 살이 많이 붙었으며, 트릴과 폭타, 노브 등 모든 면에서 강화되었다. 두 번째 저속 구간은 원핸드 구간의 손 이동 범위가 커진 데다가 짧은 트릴까지 섞여 나오고, 노브는 아예 물수제비 곡선 노브로 강화되어 떨어지기 때문에 손이 꼬이거나 노브가 탈선할 가능성이 대폭으로 증가했다. EXH 패턴에서 BT-D 노트를 하나 끼워넣어 낚시를 하던 부분은 GRV에서는 BT-C+D 동시치기가 등장해 한 층 더 강력한 낚시를 선보인다. 이 두 번째 저속 구간의 숙련도가 클리어와 스코어링 양 면에서 큰 영향을 끼치므로 반드시 익혀두어야 한다. 두 번째 저속 구간이 끝난 뒤 세 번째 저속 구간에 돌입하기 전에는 연속 <7 모양 노브 발광[* 노브 방향은 계속 교차하므로 회오리 모양으로 뭉개주면 덜 깎이고 넘어갈 수 있다.] 및 이상한 방향으로 꺾이는 직각노브+노트 세례가 떨어진다. 직각노브의 방향을 헷갈린다면 이후의 노브까지 전부 탈선해 버리기 때문에 게이지를 크게 잃을 수 있는 부분으로 암기하는 것이 좋다. 세 번째 저속 패턴은 EXH 패턴의 원핸드를 강화하거나 노브를 붙여 원핸드로 만든 형태인데, 조용해지는 곡과는 반대로 손이 매우 바쁘기 때문에 손이 작거나 손 이동이 느리다면 고전할 수 있다. 이 저속 패턴이 끝나고 난 뒤부터는 레인이 사라지고, 중간에 [[Pet Peeve]]를 떠올리게 하는 노브 발광이 등장한다. 후반부는 BPM 240의 16비트 폭타가 쉼없이 쏟아지는데, 중간에 쉴 틈을 조금씩 주었던 EXH 패턴과는 다르게 자비없이 떨어지는 데다 노브와 FX 칩노트까지 섞여 나오므로 클리어에 있어서는 최후의 난관으로 작용한다. 최후의 양심인지 최후살에서 동치 패턴은 맨 마지막 유사겹계를 제외하고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클리어만이 목적이라면 뭉게는 방법이 가능하기는 하다. 종합적으로는 클리어와 스코어링 모두 19레벨 상위권에 속하는 채보이다. 2016년 8월 17일 추가된 [[스킬 애널라이저]] Skill Level ∞ 코스의 마지막 스테이지에 수록되었다. 저속 구간의 대처가 미숙하거나 후반의 16비트 폭타를 처리해 낼 지력이 부족하다면 고전할 수도 있지만, 앞 스테이지인 [[Lord=Crossight]] GRV가 버틸 만한 구성이기 때문에 의외로 할 만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PUC 소식이 없다가 보면 공개 21일 후인 2016년 9월 7일 0시경에 최초로 PUC 달성이 나왔다. 달성자는 The 5th KAC 출전자 GGD. [[https://twitter.com/chepy__style/status/773180861797715968|#]] [[분류: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