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ate/EX 시리즈)] ||<-2>
{{{#ffffff,#ffffff '''{{{+1 페이트/엑스트라 레코드}}}'''[br]Fate/EXTRA Reco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페이트엑스트라리메.jpg|width=100%]]}}} || || '''개발''' ||[[TYPE-MOON studio BB|[[파일:스튜디오BB로고.jpg|height=50]]]] || || '''유통''' || || || '''플랫폼'''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4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Xbox One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장르''' ||[[RPG]] || || '''엔진''' ||[[언리얼 엔진 4|[[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svg|height=20&theme=light]][[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 '''출시''' ||미정 || || '''한국어 지원''' ||미정 || || '''심의 등급''' ||미정 || || '''관련 사이트''' ||[[http://typemoon-bb.com/recor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TYPE-MOON studio BB]][* 2019년에 설립된 [[TYPE-MOON]]의 게임 개발 전문 스튜디오. 대표는 Fate/EXTRA의 프로듀서였던 [[니노 카즈야]].]에서 제작하는 [[Fate/EXTRA]]의 [[리메이크]] 버전. 공개된 개발진은 시나리오 [[나스 키노코]], PD [[니노 카즈야]], 캐릭터 원안 [[타케우치 타카시]], 캐릭터 디자인 [[와다 아루코]]이다.[* 원작과 비교하면 디렉터였던 카도와키 슈에츠(門脇宗悦)가 개발에서 빠지고, 원작의 프로듀서였던 니노 카즈야가 디렉터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652XatNyjw)]}}} || || '''{{{#ffffff Fate/EXTRA Record 1st 트레일러}}}'''[br][[https://youtu.be/4N_bjiz0Gk4|{{{#ffffff Another Ver.}}}[* 참고로 두 버전의 차이는 영상 후반부에 [[아처(5차)|아처]]가 읊는 [[언리미티드 블레이드 워크스]]의 영창을 영어로 읽느냐 일본어로 읽느냐의 차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iWfzmCuiI4)]}}} || || '''{{{#ffffff Fate/EXTRA Record 트레일러 2022}}}''' || == 발매 전 정보 == 발매 기종은 [[Steam|스팀]](PC)과 현세대기로 발매될 예정이지만 정확히 어떤 기종으로 발매될지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그래픽은 현세대에 맞게 재구성되었으며 [[언리얼 엔진]]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백뷰가 학원 내에서도 적용되었고 전투의 경우 원작의 가위바위보 형식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바꾸었다. 니노 카즈야의 말에 따르면 [[Slay the Spire]]와 그와 유사한 인디 게임처럼 카드를 모아 덱빌딩해서 싸우는 방식.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_Gk1-hESqw)]}}} || || '''{{{#ffffff Fate/EXTRA 10주년 기념 방송}}}''' || Fate/EXTRA 10주년 기념 방송에서 버추얼 유튜버로 [[토오사카 린]]의 성우인 [[우에다 카나]]와 게임 디렉터 [[니노 카즈야]]가 상세한 내용에 관해 언급했다. 언급된 내용에 따르면 주인공은 물론이거니와 엑스트라 마스터들의 보이스도 추가되었다고 한다. 풀 보이스도 고려 중이라고. [[Fate/EXTELLA LINK]]에서 처음 등장했던 [[샤를마뉴(Fate 시리즈)|샤를마뉴]]를 새로운 주인공 서번트로 참전시켜달라는 요청이 많았지만, 아무래도 EXTELLA 시리즈와 직접적인 연결[* EXTELLA 시리즈와 EXTRA 시리즈는 EXTRA 세계관을 [[달의 성배전쟁|공유하지만]] 스토리 면에서 EXTRA 시리즈가 완전히 종결된 이후에 시작되는 후일담 포지션인데다, EXTRA의 어느시점에서 분기된 평행우주이기에 시간대가 명백하다.]이 없기 때문에 힘들다고 한다. 샤를마뉴의 설정을 생각하면 스토리상으로도 힘들고. 또 [[Fate/EXTRA CCC]]의 경우 리메이크하고는 싶지만 지금 기준으로는 상당히 야한 게임이라 힘들다고도 언급했다. EXTRA 시리즈는 EXTRA/CCC 그 이후의 작품들은 세계관과 스토리가 직접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계속 세계관이 바뀌며 여러 평행세계가 공존하고 있는데 이 작품 또한 다른 세계관으로 바꿔서 리메이크가 아닌 리부트를 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예를 들면 [[Fate/EXTELLA]]는 EXTRA와 CCC와 [[달의 성배전쟁|비슷한 사건]]이 일어난 다른 EXTELLA/zero라는 설정의 세계관에서 이어지고 [[Fate/EXTELLA LINK]]는 EXTELLA와 비슷한 사건이 일어난 다른 세계관에서 이어지고 있다.] 단 여기에 관해서는 인터뷰에서도 처음부터 다른 노선으로 기획한 후기 작품과 달리 본작은 처음부터 현세대기로 리메이크 하자는 목적으로 시작한 게임이라 밝힌 바 있다. 원작은 동행 서번트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달라지는 구성이었는데 그 중 타마모 난이도가 매우 높았던걸 본작에선 조정한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DwHvFIzFZA)]}}} || || '''{{{#ffffff Fate/EXTRA Record 개발 중 영상}}}''' || 2020년 12월 31일, 개발 중 영상을 통해 타마모의 모습과 보구 연출이 공개되었다.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개발진들의 트윗에 의하면 코로나로 인해 제작에 난항이 생겼을 뿐만 아니라 제작사의 변경으로 인해 개발이 1년 가까이 진행되지 못했다고 했다.] 2022년 7월에 개최된 [[와다 아루코]] 전에서 완전 신규 PV가 나왔다는 소식이 공개되었다. 2022년 3월 18일에 대한민국에서 Fate/EXTRA의 상표가 출원되었으며[* 해당 상표는 2023년 3월 10일에 등록이 완료되었다.], 2022년 12월 20일에는 Fate/EXTRA Record의 상표가 출원되었다. 이를 볼때 과거 [[MELTY BLOOD: TYPE LUMINA]]처럼 해당 작품이 출시될 경우 국내 정발은 확정으로 보인다. == 등장인물 == === 마스터 === * [[키시나미 하쿠노]] * [[토오사카 린(Fate/EXTRA)]] === 서번트 === * [[세이버(Fate/EXTRA)/주인공]] * [[캐스터(Fate/EXTRA)/주인공]] * [[아처(Fate/EXTRA)/주인공]] == 기타 == * 7월 22일에 리메이크를 공개한 이유가 [[Fate/EXTRA CCC]]에서 '''2020년 7월 22일'''을 언급한 적이 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ypemoon&no=6916747&_rk=eYK&exception_mode=recommend&page=1|#]][* 해당 스크린샷의 대사는 "시계열좌표 2020 07 22부터 64명의 탈락자(마스터)와 23명의 폐기 NPC의 회수(샐비지)에 성공. 새로운 고객으로서 고문실로 보냅니다."] * 10주년 기념으로 BB [[디그 더그]]라는 미니 게임을 공개했다. [[http://typemoon-bb.com/record/digdugbb/|플레이 주소]] [[반다이 남코]]가 콜라보를 흔쾌히 허락했고 EXTRA 10주년 기념 메세지도 남겨줬다.[* 최근 페그오 관련 영상의 차단을 [[반다이 남코]]가 주체가 되어서 하고 있다는 것도 있어서 타입문과 반남 사이에 어떠한 계약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정이 있는데, 아직 본작의 유통사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작부터는 [[반다이 남코]]가 퍼블리싱을 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단,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이며 이전의 Fate/EXTELLA 시리즈의 개발과 퍼블리싱을 맡은 [[마벨러스]] 역시 축전을 썼기에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다.] 해당 게임을 7스테이지까지 전부 클리어할 경우 16:9, 5:19 화면비의 특수 월페이퍼를 제공하며 플레이 결과를 트위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당 게임은 2020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이용 종료되었다. * [[월희 -A piece of blue glass moon-]]의 한국어화가 성사되지 않았기에 본작 또한 한국어화가 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국내에서 나오기도 하는데 결국 확실한 건 출시되어야 알겠지만 본작의 경우는 한국어화 가능성이 꽤 높은 편이다. 월희의 경우엔 비주얼 노벨이 마이너한 장르라는 것과 많은 분량,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에 고어 묘사까지 있는 작품이라 돈 들여서 번역한다고 해도 수익을 보기 어려운 게임이다. [* 월희의 경우 무려 '''영어'''로도 현지화가 되지 않은 게임이다.] 반면 페엑은 문장량이 많아도 일단 장르가 RPG고 나이 제한도 없기에 유통사 입장에서도 한 번 시도해볼 만한 게임이다. 엑스텔라, 엑스텔라 링크, 사무라이 렘넌트가 그 예. 실제로 엑스텔라 시리즈와 사무라이 렘넌트는 각 작품별로 유통사가 모두 달랐음에도 모두 현지화가 진행되었다. [[분류:Fate/EXTRA 시리즈]][[분류:Fate 시리즈/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공개 전 정보(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