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음향 소프트웨어)] ||<-2>
{{{#000000,#dddddd '''{{{+1 Finale}}}'''[br]피날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inale 로고.png|width=100%]]}}} || || '''개발''' ||메이크뮤직(MakeMusic) || || '''용도''' ||악보 편집 및 제작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서비스 요금''' ||$600 || || '''출시''' ||[[1988년]] [[9월 16일]] || || '''관련 사이트''' ||[[http://www.finalemusic.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이크뮤직(MakeMusic)에서 개발, 판매 중인 사보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가격이 아주 비싸긴 하지만[* 2021년 기준으로 제 값을 다 주면 $600나 된다... 가장 싼 학생용도 $99나 요구한다.], 특유의 편리함과 전문성으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Mac OS]] 사용자라면 NWC를 못 쓰는 관계로 이거 말고는 없다.] UI쪽을 보면 MAC OS 보다는 윈도우쪽으로 조금 더 최적화가 된 듯한 모습이다. 때문에 작곡, 작사에 레코딩까지 하는 경우엔 작곡은 윈도우에서 피날레로 하고 레코딩이나 편집은 MAC에서 [[Logic Pro|Logic 시리즈]]에서 따로 하는 경우도 있다. 경쟁 제품인 시벨리우스와 자주 비교되는데 피날레 사용자들은 대부분 시벨리우스가 사용하기 더 쉽지만 복잡하고 전문적인 음악을 만들 땐 피날레가 우위라고 보고있다. 피날레의 인터페이스가 초보자들에게 굉장히 불친절한 탓에 진입 장벽이 높은 것이 큰 문제로 꼽힌다.[* [[MS Office]]가 사용하는 리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시벨리우스는 기능들을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게 장점이나 몇몇 기본 기능들이 괴악하게 숨겨져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날레의 VST인 게리탄이 심각하게 호불호가 갈리기 때문에 전문적인 가이드용 레코딩을 만들때 외부 플러그인이 필요하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심지어 몇몇 플러그인들은 게리탄이 사용하는 Aria Player가 아닌 다른 다른 플레이어가 필요해서 컴퓨터 사양이 낮을 경우 VST 적용 도중 튕기는 사태가 자주 벌어질 수 있다. == 버전 == 피날레는 계속해서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고 있다. 최신 버전은 피날레 27이며, 2019년 기준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크랙--버전은 2014, 25 버전이다. * Finale 1997 * Finale 1998 * Finale 2000 * Finale 2001 * Finale 2002 * Finale 2003 * Finale 2004 * Finale 2005 * Finale 2006 * Finale 2007 * Finale 2008 * Finale 2009 * Finale 2010 * Finale 2011 * Finale 2012 * Finale 2014 * Finale 25 * Finale 26 * Finale 27 [[분류:작곡 프로그램]][[분류:1988년 출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피날레, version=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