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JMAX 시리즈 오프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bPARmeqC5Y)]}}} || ||<-2> {{{-1 '''Full M/V'''}}}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LsxPiQ0Wzg)]}}}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New Wave}}} || || {{{-1 '''BPM'''}}} ||{{{-1 126}}} || || {{{-1 '''작곡'''}}} ||{{{-1 [[클래지콰이 프로젝트|CLAZZIQUAI]]}}} || || {{{-1 '''작사'''}}} ||{{{-1 [[알렉스(클래지콰이)|Alex]] / [[호란(가수)|Horan]]}}} || || {{{-1 '''보컬'''}}} ||{{{-1 Alex / Horan}}} || || {{{-1 '''BGA'''}}} ||{{{-1 CLAZZIQUAI PROJECT}}} || ||<-2> {{{#!folding [ 가사 보기 ] '''This flea is you and I''' 이 벼룩은 너와 나다. '''it's a bad thing''' 이것은 나쁜 것이다. '''but a little thing''' 하지만 작은 것이다. '''but a little thing''' 하지만 작은 것이다. '''A Parasite that coexist''' 기생충은 공존한다. '''it's a bad thing''' 이것은 나쁜 것이다. '''but a little thing''' 하지만 작은 것이다. '''but a little thing ''' 하지만 작은 것이다. '''I'm a flea who just wants to share a thing''' 나는 함께할 누군가를 원하는 벼룩이다. '''We squeeze in the skin''' 우린 피부 속에서 짜낸다. '''and empty your brain''' 그리고 너의 뇌를 비운다. '''but a little thing''' 하지만 작은 물체다. '''꿈속으로 잠겨드는''' '''a little thing''' 작은 것 '''We squeeze in the skin''' 우린 피부 속에서 짜낸다. '''and empty your brain''' 그리고 너의 뇌를 비운다. '''but a little thing''' 하지만 작은 물체다. '''And we fly to a heaven''' 그리고 우린 천국으로 날아간다. '''And we fly to a heaven''' 그리고 우린 천국으로 날아간다. '''And we fly to a heaven''' 그리고 우린 천국으로 날아간다. '''And we fly to a heaven''' 그리고 우린 천국으로 날아간다. '''Eaten by me''' 나에게 먹혀서.}}} || == 개요 == >[[DJMAX CE|디제이맥스 클래지콰이 에디션]]의 오프닝 곡. DJ 클래지가 이번 작품에서 표현하려 했던 하드한 일렉트로니카 스타일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클래지콰이의 스페셜 앨범 'METROTRONICS'의 타이틀 곡. 뉴웨이브 장르를 표기하고 있지만 실상은 뼛속까지 일렉트로니카 계열 곡이다. 안정적인 음악활동을 위해 대중적인 곡 위주로 활동해오던 틀에서 벗어난 클래지콰이만의 스타일이 잘 살아있는 곡. 반복되는 가사와 함께 전개되는 음산한 분위기가 일품인 곡이다. 이 때문에 0이 그대로 별명으로 붙었다. 가사는 영국의 시인 [[존 던]]의 '벼룩'이라는 시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첫 구절인 'This flea is you and I'는 시에서 그대로 따왔다. == [[DJMAX CE|DJMAX Clazziquai Edition]] == [youtube(1nm4nZM5nno)] 5B MX == [[DJMAX TECHNIKA]] 시리즈 == [youtube(OUC61kNVkTY)] MX 패턴(테크니카 1 기준 SP) 테크니카 1에서는 LP, PP, TP, SP 패턴이 존재한다. 난이도는 각각 LP 4, PP 5, TP 7, SP 8. * LP : 라이트 모드 2스테이지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 PP : 파퓰러 모드 2스테이지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 TP : [[Core Sound]]세트에서 플레이하거나 플래티넘 믹싱 8번 미션(클래지콰이 컬렉션, easy)의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 SP : 플래티넘 믹싱 2월 스페셜과 [[Futurist|Futurist Set]]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라이트 믹싱이 4라인이었던 시절에는 라이트 믹싱 전용 패턴이 아니라 PP 패턴이 그대로 나와서 많은 입문자들을 낚았다. 라이트 믹싱이 3라인으로 바뀌면서 전용 패턴이 추가되었다. 후렴구 부분의 롱노트 등으로 상당히 점수가 잘 나오는 곡이다. 단, TP와 SP의 경우 초중반 등장하는 보라노트에서 익숙하지 않으면 손이 꼬이기 쉬우니 주의.[* 또한 보라 노트들의 향연 구간에서 본의 아니게 많이 씹힐 수도...]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D || 50 Max || 4 || 4박 스크롤 || || ||<#FFFF00> Normal || D || 100 Max || 5 || 4박 스크롤 || [[Electro Beat Set]] 셀렉곡 || ||<#0000FF> {{{#white Hard}}} || C || 150 Max || 6 || 4박 스크롤 || [[Future Challenge|미션 - R+V]] 수록 || ||<#FF0000> Maximum || B || 200 Max || 7 || 4박 스크롤 || [[Futurist|Futurist Set]] 셀렉곡, [[HyperTechnician|미션 - 비상]] 수록 || 이후에는 HD, MX 난이도가 1씩 내려갔으며, NM패턴이 [[Electro Beat Set]]에 수록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ea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Flea}}}'''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4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8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08}}}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3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36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02}}}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4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7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0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89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32}}}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843}}} || - || ||<-5> 특수 패턴 || ||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s-4.1.3|BubiBubi]]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12월 21일 [[DJMAX CE]] DLC로 추가되었다. 모든 모드 NM 패턴의 도입부에 기어가 사라지는 연출이 있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OsXlGkV5j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iPID_SDAE)]}}}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bGvbZQ6UJU)]}}} || ||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Phmj6ZpET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a3egdEGcwQ)]}}}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LT0G2ggqrU)]}}} || || 5B MX는 특이하게도 2+4 이후 1+2+3+4+5 롱노트가 나온다. A타입일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미스가 날 수 있다.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qTpEACXSv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htDCb_Qso0)]}}}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EqSzsEXSR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wNx6at8T9w)]}}} || 6버튼 SC는 다중 롱노트를 다수 활용했다. 암기가 어느 정도 되어 있다면 쉽게 칠 수 있어 14레벨 하위권에 위치하나, BPM이 매우 낮아 끊어치기 실력이 어느 정도 있어야 고득점을 딸 수 있다.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G-hzXJVL1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KPynemtVn0)]}}} || 8B MX는 Fly~하는 후렴과 함께 FX-사이드 롱노트가 등장하며 동시에 단노트를 같이 처리해야 하는 롱잡 패턴이 특징적이다. 초반부에 트리거-단노트-트리거와 같은 복합 트릴 패턴이 등장하므로 주의하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lea, version=44, paragraph=2)]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클래지콰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