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Flood Escape 2]] [include(틀:상위 문서, top1=Flood Escape 2/맵)] [include(틀:Flood Escape 2)] [include(틀:Flood Escape 2/맵)] [목차] == 개요 == [[Flood Escape 2]]의 {{{#55ff7f Easy}}} 난이도 맵들이다. Intensity는 '''1~1.99'''다. 각 Easy 맵들은 1.0~1.9에 해당되는 난이도 중 하나로 난이도가 부여된다. FE2에서 가장 쉬운 난이도로, 물도 느리게 차고 [[Obby|오비]]도 쉬우며 길도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즉, 오비의 기본기를 배우는 단계라고 보면 된다. 플레이어들이 간단한 오비는 잘 하기 때문에 Chill 서버나 생성된 지 얼마 안된 서버 외에는 보기가 어렵지만, 기간 한정 맵이 나오는 크리스마스나 핼러윈에는 잘 보인다. 쉬운 만큼 Normal 난이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온한 맵들이 많다. 매우 쉬운 난이도라서 FE2에서 가장 인기가 없는 난이도이다.[* 실력이 낮은 초보 유저들에게는 선호되나, 대체로 FE2는 실력이 좋은 유저들이 많기에 인기가 없다.] 반대로 어려운 난이도인 Crazy와 Crazy+ 맵들은 인기가 많다. == 공식 맵 목록 == === Axiom (공리)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xiom.webp|width=100%]]}}} || ||<-2> '''제작자''' ||<-2> buoyantair || ||<-2> '''이전 음악''' ||<-2> Desight - Sci-Fi Title Screen Music || || '''일반 버튼 개수''' || 5 || '''그룹 버튼 개수''' || 1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두 번째 구간의 오른쪽 || '''Lost Page 위치''' || 마지막 구간의 상자 뒤 || 푸른색의 첨단 과학 시설이다. 용도 불명의 근미래적 과학 시설로, 배수 시설이 고장났는지 물이 차오르고 있다. 2층의 탈출구로 탈출해야 한다. 난이도는 '''1.3'''으로 '''중하'''이다. 전반적으로 매우 쉽지만 중반에선 작은 플랫폼들을 건너는 것을 주의하라. 발을 헛디딜 시 그대로 떨어지고 빠져나오기도 어렵기 때문. ====# 클리어 방법 #==== 1. 중앙 시설 하층 앞의 라디오 모양의 상자에 붙은 버튼을 누른 다음 뒤에 생긴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라. 2. 중앙 시설 중층 올라가서 진행하다가. 왼편에 상자에 붙은 버튼을 누르고 돌아가 열린 문으로 이동하라. 3-1. 반대편 시설 하층 문을 통과한 뒤, 오른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발판이 생긴다. 참고로 구덩이에 빠지면 물이 위까지 차오르지 않는 이상 나가지 못한다. 건너편으로 간 다음 상자에 붙어있는 버튼을 누르고, 계단을 올라가라. 3-2. 반대편 시설 상층 왼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또 다른 발판들을 딛고 이동하라. 그런 다음 방금 누른 버튼이 만들어 낸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라. 4. 중앙 시설 상층 중앙의 기둥에서 넓은 발판 쪽으로 뛰어서 트러스를 따라 탈출구로 가라. ==== 여담 ==== * 알파에서 정식 버전으로 건너오면서 맵의 일부가 수정되고 새로운 음악이 삽입되었다. * 이 맵은 Easy 맵 중에서 Eeire Peaks, Polar Industry와 같이 용암이 등장하는 맵이다. 물이 거의 다 찼을 때 변하는 거라 별 의미는 없다. * 제작자의 이름인 "buoyantair"는 영어로 '''부력이 있는 공기'''라는 뜻이다.[* buoyant (부력이 있는) + air (공기)] === Buried Oasis (묻힌 오아시스)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riedOasis.jpg|width=100%]]}}} || ||<-2> '''제작자''' ||<-2> tony333444 || ||<-2> '''이전 음악''' ||<-2> DM DOKURO - sanctuary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4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두 번째 구간의 구덩이 || '''Lost Page 위치''' || 마지막 구간의 절벽 아래[* 절벽 아래로 내려가서 뒤를 돌면 발견할 수 있다.] || 바다 아래 동굴에 위치한 맵이다. 스토리에 따르면 플레이어는 'Sea Prism'이라는 광물을 찾으러 온 광부인데, 홍수가 발생해 동굴을 벗어나야 하는 상황이다.[* [[https://forum.crazyblox.net/t/14596]]] 난이도는 '''1.5'''로 '''중'''이다. ====# 클리어 방법 #==== 1. 동굴 1 물 속과 시작 지점 위 벽에 버튼이 있다. 물 속의 버튼을 누르고 돌아가서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진행하라. 두 번째 버튼을 누르면 지나갔던 판자가 부서지므로 갔던 길을 한 번 더 가야 한다. 2. 동굴 2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진행하라. 3. 동굴 3 버튼을 누르고 폭포 뒤로 가라. 상자 더미가 쌓인 길은 막혀 있다. 4. 동굴 4 구석에 있는 트러스를 타고 올라간 다음, 버튼을 눌러라. 뒤돌아서 다른 버튼을 눌러라. 한 번 더 뒤돌아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가면 된다. 5. 절벽과 동굴 5 절벽 아래로 뛰어내리고, 정면의 버튼을 눌러라. 그 뒤로는 꼭대기로 올라가서 빛나는 도착 지점으로 들어가면 된다. ==== 여담 ==== * 최초의 잠수 구간이 있는 Easy 맵이다. * 2021년 2월 1일 업데이트로 장식물이 추가되고 빛이 개선되는 등의 수정을 거쳤다. * Sinking Ship, Poisonous Valley와 같이 전체 버튼 중 그룹 버튼의 비율이 높은 맵이다. * FE2 공식 서버의 모든 Easy 맵들 중 게임플레이가 제일 더럽다. 전체적으로 시야 확보가 잘 안되고 경로가 독특해 길을 찾기가 정말 힘들다. * 이스터 에그 2개가 있다. * 세 번째 구간에서 막다른 길로 가면 "DEAD END"라고 적힌 표지판과 Poisonous Valley 문단에서 설명한 사람을 볼 수 있다. * 마지막 구간의 천장에 [[마인크래프트]]의 아이템 중 하나인 [[마인크래프트/아이템/전투#s-2.2|삼지창]]이 꽂혀 있다. * 예전에 FE2에 시작 화면이 송출됐을 시절에는 이 맵의 BGM을 그대로 사용했었다.[* 그 외에 Dark Sci-Facility의 리믹스가 사용된 적 있었다.] === Castle Tides (성의 파도)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webp|width=100%]]}}} || ||<-2> '''제작자''' ||<-2> Jolluminati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7 || '''그룹 버튼 개수''' || 1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첫 번째 구간의 오른쪽 절벽 위 || '''Lost Page 위치''' || 첫 번째 구간의 폭포 아래 || 거대한 호수를 가진 유럽풍 성이다. 난이도는 '''1.1'''로 '''FE2 공식 맵들 중 가장 쉬운 맵이다.''' 물이 느리게 차오르고 오비도 매우 쉽다. 다만 버튼의 위치가 분산되어 있어 혼자 하면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유되기 때문에 조금 난이도가 있다. ====# 클리어 방법 #==== 1. 성의 정원 동굴 밖으로 나가서 앞의 상자 더미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른 다음, 뒤에 있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왼쪽으로 가서 버튼을 눌러라. 내려가서 오른쪽으로 죽 가면 사다리가 생겼을 텐데, 타고 올라가서 버튼을 누른 다음 성문으로 들어가라. 2. 성의 중앙 왼쪽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다리를 건너 버튼을 눌러라. 그러고 나면 문 옆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버튼을 누른 다음, 오른쪽 벽 쪽의 상자 더미를 밟고 올라가서 버튼을 누른 다음 성문으로 들어가라. 3. 성의 호수 다리 양 옆의 버튼을 누르고 정면의 망루에 뚫린 공간으로 들어가라. ==== 여담 ==== * 왜인지 [[반어법|'''가장 어려운 맵''']]이라고 불린다.(...) 여기에 한 술 더 떠 FE2 맵의 기반인 '''Map Making Kit'''이 더 어렵다거나, 아니면 아예 '''로비가 제일 어렵다고 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때문에 간혹 이 장난을 이어가는 고수들과 장난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를 지적하는 초보들 사이 [[자강두천|논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 그러다가 2023년 4월 만우절 기념으로 [[Flood Escape 2/Crazy 맵/2023년 월간 맵 #s-2.7|'''Crazy''' 난이도 버전]]이 [[말이 씨가 된다|생겼다.]] 유저들 사이에서 이 맵이 FE2 공섭에서 제일 어려운 맵이라는 장난이 유행했기 때문에 직접 갚아준 셈. * 성의 오른쪽 절벽 위 구석은 물이 차오르지 않았는데, 거기서 버티다가 물이 어느 정도 차오르면 타고 올라가서 맵을 벗어날 수 있었고, 네 번째 버튼을 누르고 왼쪽 창가의 선반을 발판 삼아 여섯 번째 버튼이 있는 곳으로 건너가는 지름길이 있었는데 현재는 수정되었다. * 잘 안 보이지만 첫 번째 구간에 폭포가 있다. Lost Page가 바로 여기 있다. * 커뮤니티에서 진행하는 비공식 프로젝트인 FE2022 Project에서 리메이크가 진행되었다. [[https://www.roblox.com/games/2198503790|FE2 Community Maps]]에서 플레이할 수 있고, 아이디는 '''yyzvvb2'''이다. === Forsaken Era (버림받은 시대)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orsakenEraFE2.webp|width=100%]]}}} || ||<-2> '''제작자''' ||<-2> ElectroBlast199 || ||<-2> '''이전 음악''' ||<-2> Andy Blythe & Marten Joustra - Bamboozled || || '''일반 버튼 개수''' || 3 || '''그룹 버튼 개수''' || 3 || || '''공기 방울 개수''' || 6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건물 외부로 향하는 문 위[* 버튼 앞 플랫폼으로 올라간 뒤, 벽의 돌출부를 밟고 가면 된다.] || '''Lost Page 위치''' || 다섯 번째 구간의 오른쪽 사다리 아래[* 이전에는 네 번째 구간에 있었다.] || 울창한 삼림에 위치한 오래된 사원이다. 석양이 지는 정글 속 사원으로, 스토리에 따르면, 고대에 신들이 이 사원을 물에 잠기게 하기로 결정했고, 플레이어에게 [[추노(은어)|사원을 버리고 이곳을 벗어나거나]] [[익사|물에 빠져 죽을 것]]을 명령했다.[[https://forum.crazyblox.net/t/1658|#]] 플레이어는 정글 상부의 사원 입구로 빠져나가--거나, 혹은 명령대로 물에 빠져 죽어--야 한다. 난이도는 '''1.7'''로 '''상'''이다. Easy치곤 맵이 복잡하며, 후반부에 조금 넓고 높은 오비가 나오니 주의. ====# 클리어 방법 #==== 1-1. 출발점 구조물 위 버튼을 누르고 방을 빠져나가라. 1-2. 물이 고인 방 길을 따라 진행하라. 문 앞에서 왼쪽 버튼을 누르고 돌아와 다음 방으로 넘어가라. 2-1. 물이 흘러내리는 통로 길을 따라 위로 올라간 다음 옆 구멍으로 들어가서 버튼을 누른다. 버튼을 누르면 들어왔던 길은 막히니 반대쪽으로 나간 다음 돌아와서 통로를 벗어나라. 2-2. 물이 고인 타워 1 다리 옆 기둥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넘어가라. 2-3. 물이 고인 타워 2 무너진 계단을 지나고 구조물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돌아와서 사원을 빠져나온다. 3. 야외 오른편으로 가서 버튼을 누르고 중앙 동상 쪽으로 가서 생성된 판자를 밟고 동상 옆 건축물과 절벽을 밟고 계속 진행하여 탈출하라. ==== 여담 ==== * ElectroBlast199의 두번째 공식 맵이다. 첫번째 맵인 Mysterium 이후로 매우 오랜만에 추가된 맵이다. * 의외일 수 있으나, 최초의 정글 배경 공식 맵이다.[* 그러나 사원이 주 배경인 걸 감안하면 실질적인 최초의 정글이 주 배경인 공식 맵은 Crazy+ 난이도의 Rustic Jungle이다.] * 2021년 7월 21일 업데이트로 수정이 이루어지고, 문 아래 난 틈으로 슬라이드하는 지름길을 수정했다. 2021년 10월 23일 업데이트로 조난자가 추가되고, Lost Page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 과거에 Satomi Springs가 이 맵의 음악을 사용했었다. 분위기와 진행 상황과 잘 맞아 꽤나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나 ELiTe(현 lux)의 BGM이 사용되면서 현재는 다른 맵들처럼 이 맵에서만 단독 재생된다. * 야외 구간에서 정상 경로를 이탈할 수 있다. 절벽 층 최상층에 설치된 목재 비계를 밟고 올라가면 배경 뒷부분과 사원의 절벽에 다다를 수 있다. === Lost Woods (잃어버린 숲)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stWoods.webp|width=100%]]}}} || ||<-2> '''제작자''' ||<-2> YasuYoshida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1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두 번째 구간의 기울어진 통나무 옆 그루터기 뒤 || '''Lost Page 위치''' || 두 번째 버튼 위 || 수많은 나무와 높은 언덕이 구역을 나누고 있는 숲이다. 난이도는 '''1.4'''로 '''중'''이다. 점프는 어렵지 않고, 홍수의 속도도 느려서 표기된 난이도에 적합하다. ====# 클리어 방법 #==== 1. 낭떠러지가 있는 숲 오른쪽 낭떠러지 아래로 착지해 그루터기 위의 버튼을 누른 다음, 통나무를 타고 올라가면 문이 열려 있을 것이다. 문으로 들어가 오른쪽으로 한 번 꺾으면 다음 구간으로 진입한다. 2. 숲 1 정면에 있는 통나무에서 시작해 이동하다 보면 이정표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버튼을 누르려면 왼쪽을 향하는 이정표를 따라가면 된다. 돌아갈 때는 옆의 나무의 나뭇잎을 밟고 가면 된다. 통나무의 그루터기 껍질의 단면을 딛고 올라가 버튼이 있는 곳으로 가는 지름길이 있다. 버튼을 누르고 이정표가 있는 곳으로 돌아갔으면 이번에는 오른쪽에 열린 문으로 들어가라. 3. 숲 2 마지막 버튼을 누르고 도착 지점으로 들어가라. 여기서부터는 물이 산성액으로 바뀌어 차오른다. ==== 여담 ==== * [[젤다의 전설]]의 효과음이 자주 들리는 것으로 보아 젤다의 전설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원본에 삽입된 음악도 젤다의 전설 캐릭터의 테마 음악이다. * 알파 버전에서 정식 버전으로 넘어오면서 새로운 곡이 삽입되었다. === Marred Dreams (망쳐진 꿈들)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redDreams.webp|width=100%]]}}} || ||<-2> '''제작자''' ||<-2> [[Crazyblox]]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3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호숫가 || '''Lost Page 위치''' || 시작 지점 아래 || 중앙에 산성액 호수가 있는, 보라색 잔디가 깔린 드넓고 몽환적인 공간이다. 곳곳에 박혀 있는 수정과 맵을 둘러싼 거대한 다이아몬드를 발견할 수 있고, 판자로 이루어진 다리와 상자가 많이 배치되어 있다. 난이도는 '''1.9'''로 '''Easy 공식 맵들 중 가장 어렵다'''. 시간적 여유가 적고 그룹 버튼이 많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다. ====# 클리어 방법 #==== 1. 산성액 호수 시작 지점 절벽에서 뛰어내리고 앞으로 달려가서 상자 위의 버튼을 눌러라. 그런 다음 중앙의 지형 주변에 있는 상자를 밟고 올라가라. 2. 지형 아랫쪽-1 앞에 보이는 다리를 지나 상자 더미 위의 버튼을 눌러라. 돌아가면 진행을 방해하는 판자가 제거될 것이다. 3. 지형 아랫쪽-2 오르막길을 오르고 옆에 난 공간으로 가서 판자를 따라가다 근처에 있는 작은 땅으로 뛰어라. 구석에 있는 상자 더미를 밟고 위로 올라간 다음, 땅에 박힌 상자 위의 버튼을 눌러라. 건너편으로 이어진 줄에 판자가 설치되면 건너가라. 4. 지형 윗쪽 양쪽 다리 끝의 버튼을 누르고 정면의 다리 끝의 도착 지점으로 들어가라. ==== 여담 ==== * 7개월이라는 긴 기간 끝에 출시된 만큼 많은 사람이 열광했으며 뛰어난 완성도와 신비로운 느낌의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다. * 원래는 '''Humble Jungle(소박한 정글)'''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될 예정이었고, 컨셉도 아예 달랐으나 모종의 사유로 지금과 같이 되었다. * 이 맵이 출시되기 전 [[Crazyblox]]는 트위터에 이 맵을 플레이하는 짧은 영상을 업로드한 적이 있다. [[https://twitter.com/Crazyblox_/status/1326554267730104328|트윗 보기]] * 이 맵은 Crazyblox가 제작 과정을 [[트위치]]에서 생방송한 적이 있는 몇 안 되는 맵이다. === Poisonous Valley (유독한 골짜기)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isonousValley.webp|width=100%]]}}} || ||<-2> '''제작자''' ||<-2> GustForce || ||<-2> '''이전 음악''' ||<-2> Flood Escape 2 OST - Infiltration[br]Flood Escape 2 OST - Mysterium || || '''일반 버튼 개수''' || 5 || '''그룹 버튼 개수''' || 1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외부 폭포 아래 상자 위 || '''Lost Page 위치''' || 두 번째 구간의 모닥불 근처의 깨진 유리병 안 || 독물이 흐르는 폭포와 강이 있는 계곡으로, 분위기는 칙칙하고 어둡지만 보라색 독물의 밝은 색이 눈에 띈다. 난이도는 '''1.6'''으로 '''중상'''이다. 넓은 점프가 간혹 나와서 난이도는 다른 Easy 맵에 비해 높다. ====# 클리어 방법 #==== 1. 작은 동굴 트러스를 타고 올라가서 시작 지점인 리프트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반대편에 난 공간에 착지하라. 참고로 시작할 때 가끔 버튼 아래 발판 위로 순간 이동되어 트러스를 오를 필요가 없을 때가 있다. 구덩이에 빠지지 않게 조심하며 동굴을 나가라. 2-1. 거대 협곡-1 독극물 폭포 옆의 상자 더미 위의 버튼을 누르고, 반대편을 이어주는 판자를 건너라. 그 뒤로는 길을 따라가면 된다. 2-2. 거대 협곡-2 벽에 붙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다음, 왼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다리를 건너라. 버튼을 누르면 다리를 이루는 판자 중 밝은 색의 판자가 다리에서 끊기니 조심하라. 2-3. 거대 협곡-3 다리 끝에 있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다음, 오른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돌아가라. 그러면 진로를 막고 있던 바위가 깨지면서 아래 구덩이로 빠져버린다. 구덩이 사이로 뛰고 계속 진행하라. 2-4. 거대 협곡-4 판자가 박힌 돌 기둥을 건너 새로운 지형에 도착하면 벽 아래 뚫린 작은 구멍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구멍으로 들어가서 버튼을 누르고 나가라. 구멍 속 공간의 바닥은 판자 몇 개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사이로 빠질 일은 없으니 안심하라. 올라갔으면 새로 생긴 돌 기둥을 밟고 땅으로 건너가라. 2-5. 거대 협곡-5 높은 곳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도착 지점으로 들어가라. ==== 여담 ==== * Graveyard Cliffside에 이어 두 번째로 수직 홍수가 등장하는 맵이다. 바닥에서 차오르는 동시에 산성액 벽이 다가온다. * Dark Sci-Forest, Relic Valley와 같이 보라색 산성액이 등장한다. * [[Flood Escape 2/Hard 맵 #Poisonous Forest|{{{#ff557f Poisonous Forest}}}]], [[Flood Escape 2/Crazy 맵 #Poisonous Chasm|{{{#e67e22 Poisonous Chasm}}}]]이 이 맵의 비공식 후속작들이다. 이 세 맵을 동시에 일명 '''"Poisonous Series (유독 시리즈)"'''라고 불린다. * 산성액이 차오르기 전에 강에 있는 돌 기둥을 타고 올라가서 다른 플레이어가 버튼을 누를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 이스터 에그 3개가 있다. * 후반부에 산성액이 담긴 항아리가 있는데, 안에 어떤 사람이 들어가 있다. 이 사람의 정체에 대해서는 [[https://knowyourmeme.com/memes/you-know-i-had-to-do-it-to-em|여기]]를 참고하라. 이 사람은 로비의 비밀 공간, Sinking Ship, Buried Oasis에서도 볼 수 있다. * 동굴 바깥의 폭포 뒤에 이스터 에그가 있다. 공식 맵으로 출시된 뒤 이 폭포는 막혀 들어갈 수 없게 되었다. * 방금 말한 폭포에 들어간 뒤 오른쪽으로 가면, 전작 [[Flood Escape]]에 있는 가이드가 물에 독물을 붓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독이 부어진 곳 뒤에는 평범한 물이 흐르는 것을 보아 원래는 평범한 계곡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버그를 써서 탈출구 뒤 벽으로 가면 Poisonous Valley의 사진 3개가 큼지막하게 붙어있다. * 출시 당시에는 임시로 Mysterium의 음악을 사용했다가 2018년 7월에 새로운 곡이 삽입됐다. *이 맵의 BGM을 자세히 들어보면 {{{#ff557f Poisonous Forest}}}랑 {{{#e67e22 Poisonous Chasm}}}와 노래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etro Coast (복고풍의 해안)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1.png|width=100%]]}}} || ||<-2> '''제작자''' ||<-2> Woomyko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4 || '''그룹 버튼 개수''' || 2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2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5번째 버튼 아래쪽 || '''Lost Page 위치''' || 1번째 버튼 아래쪽 || 복고풍 게임과 관련된 디자인이 세팅되어 있는 해안이다. 2023년 3월 월간 맵 중 하나로, 3월 맵 이벤트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공식 맵으로 격상된 맵이다. 기존 FE2에선 보지 못했던 독특한 디자인을 다수 사용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한다. 난이도는 '''1.5'''로 '''중'''이다. 맵이 복잡하기 때문에 처음 플레이할 경우 길을 헤맬 수 있지만 물의 속도가 빠르지 않아 어렵지 않게 깰 수 있을 것이다. ====# 클리어 방법 #==== 1. 지형 하층 오른쪽 바다 위 섬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다시 돌아와서 생성된 상자를 밟고 진행하라. 레이저로 닫한 문이 있을텐데 반대편 아래쪽 버튼을 누르고 돌아오면 문이 열린다. 2. 지형 중층 문을 지나 건물과 레트로 게임 스타일 플랫폼을 빠져나오고 오른쪽 상자 위 버튼을 누른 뒤 반대쪽 사다리를 오르고 짚라인을 타라. 그리고 사다리 2개를 올라라. 3. 지형 상층 길 옆에 놓인 버튼을 누르고 다시 짚라인을 타라. 짚라인 끝에 도착하면 오른쪽으로 가서 버튼을 누르고 돌아와서 생성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라. 그리고 계속 지형을 올라 건물 내부에서 버튼을 누르고 [[블랙홀]] 그림까지 가면 탈출이다. ==== 여담 ==== * 공식 Easy 맵에선 최초로 짚라인이 설치된 맵이다. * AVM 이후로 공식 맵으로 승격된 맵이다. 또한 Crazy가 아닌 맵 중에선 유일하게 공식 맵으로 승격된 맵이다.(2023년 7월 20일 기준) * 물 색깔이 보라색이라 산성액으로 보일 수 있으나 물이다. * BGM은 RFAEscape라는 유저가 제작했다. === Zemblanity (젬블라니티)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emblanityThumb.jpg|width=100%]]}}} || ||<-2> '''제작자''' ||<-2> ThatDogeTho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4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시작지점 아래 물 근처 || '''Lost Page 위치''' || 5번째 버튼 아래 물 속 || 울창한 숲 속에 숨겨진 고요한 사원이다. 난이도는 '''1.3'''으로 '''중하'''다. ====# 클리어 방법 #==== 1. 호수 1 시작하자마자 왼쪽으로 가서 버튼을 누르고 반대쪽으로 호수 옆을 쭉 돌아 폭포 안 버튼을 누르고 사원으로 들어가라. 2. 사원 통로를 지나고, 먼저 이정표를 따라 오른쪽 건물채를 밟고 플랫폼을 따라 절벽 위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바뀐 이정표를 따라 왼쪽 건물채를 밟고 판자와 플랫폼을 지나 공중에 매달린 버튼을 눌러 문을 열고 지나가라. 3. 호수 2와 사원 통로 호수 위 절벽을 밟고 버튼을 누르고 다시 사원 통로로 복귀해 다음 호수로 넘어가라. 4. 호수 3 호수 안쪽 우뚝 솟은 땅을 밟고 버튼을 누른 뒤 돌아가서 생성된 상자를 밟고 옆 건물로 간 다음 구석에 버튼을 누르고 부서지는 철조망 벽까지 진행하라. 그 뒤에는 탈출구가 있다. ==== 여담 ==== * 맵 이름인 Zemblanity는 '''의도적으로 발생하는 불행한 발견'''이라는 뜻으로, [[세런디피티]]의 반대 개념이다. * BGM은 ELiTe가 담당했다. * FE2 최초의 탈출구가 2개인 맵이다. == 월간 맵 목록 == 이 월간 맵들은 하이라이트 맵이 출시된 날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Flood Escape 2/Easy 맵/2023년 월간 맵|2023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lood Escape 2/Easy 맵/2023년 월간 맵)] === 2024년 === ==== 1월 - Wintertide Haven (겨울 조수 안식처)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ntertideHaven.png|width=100%]]}}} || ||<-2> '''제작자''' ||<-2> CobaltFormula, zagnandraX2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3 || '''그룹 버튼 개수''' || 2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2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1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5'''로 '''중'''이다. 하지만 그렇게 어려운 기믹이 없으므로 여유를 가지고 예쁜 디자인을 감상하면서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 클리어 방법[*기준] #===== ===== 여담 ===== * 맵 디자인이 매우 아름답고 평화롭다고 평가받는다. ==== 2월 - Sakura Falls (사쿠라 폭포)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kuraFalls_FE2.jpg|width=100%]]}}} || ||<-2> '''제작자''' ||<-2> voidaxe000, iNiqhtv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3 || '''그룹 버튼 개수''' || 2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2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2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실제로는 2024년 1월 30일에 추가되었다.] 난이도는 1.3으로 '''하'''이다. =====# 클리어 방법[*기준] #===== ===== 여담 ===== * Steam Palaces처럼 보기 힘든 분홍색 디자인을 하고 있다. ==== 3월 - Outlier Of A Coppice Carcass (잡목림 잔해의 이상치)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utlier Of A Coppice Carcass.webp|width=100%]]}}} || ||<-2> '''제작자''' ||<-2> Mar_R10Z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3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1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1구간에서 상자를 밟고 올라가는 방향의 반대편 || '''Lost Page 위치''' || - || 잡목림(雜木林)[* 잡다한 나무가 자라는 숲이라는 뜻이다.]에 있는 거대한 공장의 잔해이다. 2024년 3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플레이어는 황량한 공장 앞에서 시작하며, 차오르는 물을 피해 공장으로 들어가 최상층으로 가서 탈출해야 한다. 난이도는 1.1으로 '''최하'''이다. 제작자의 맵 스타일이 크게 만드는 편이라 가시성이 좋고 오비도 쉽다. =====# 클리어 방법[*기준] #===== 1. 공장 앞 비탈길을 올라가 왼쪽 구석의 버튼을 눌러라. 그러면 공장으로 향하는 지형이 생긴다. 생성된 지형을 밟고 길을 따라가 공장 입구에서 상자를 밟고 점프해 위의 버튼을 눌러서 문을 열고 들어간다. 2. 공장 내부 정면의 상자와 사다리를 통해 기계에 달린 버튼을 누르고 왼쪽의 열린 길로 가라. 가다가 길의 마지막 상자를 밟고 공중의 사다리를 올라 다른 플랫폼으로 올라가라. 올라갔다면 길을 따라 버튼을 누르고 오른쪽의 깨진 창문으로 나가라.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면 버튼으로 가는 길 반대편으로 가라. 길이 열리면 벽면의 틈으로 건물 외부로 나가라. 3. 공장 외부 플랫폼과 비계 플랫폼을 따라 계속 전진하라. 플랫폼 거의 끝에서 비계로 향하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다음 그곳에서 버튼을 누르고 근처 생성된 판자를 지나가고 약간의 오비 후 탈출이다. ===== 여담 ===== * 역대 FE2 일반 서버의 맵들 중 가장 긴 이름을 지니고 있다.[* 이름이 길기로 유명한 AVM보다 기며, 24자이다.] * 비계 구간에 이스터에그가 있다. * Mar_R10Z의 4번째 월간 맵이다. ==== 4월 - Pascha Equinox (유월절 추분)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scha Equinox.jpg|width=100%]]}}} || ||<-2> '''제작자''' ||<-2> SharaxJZK, dripperoniz, Lemmylada, RYalbern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3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0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4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6'''으로 '''중상'''이다. =====# 클리어 방법[*기준] #===== ===== 여담 ===== * 맵 이름에서 Pascha란, [[라틴어]]로 [[과월절|과월절(過越祭)]]을 뜻한다. ==== 5월 - Sandstorm Dunes (모래 폭풍의 언덕)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ndstorm Dunes.webp|width=100%]]}}} || ||<-2> '''제작자''' ||<-2> trumpy_bum12, azo_idk, pooandmint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2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4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5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4'''으로 '''중하'''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6월 - Moonlight Forest (달빛 숲)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onlightForest.webp|width=100%]]}}} || ||<-2> '''제작자''' ||<-2> kodeytong, noomlek, Not_xz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2 || '''그룹 버튼 개수''' || 3 || || '''공기 방울 개수''' || 0 || '''벽 점프 구간 개수''' || 0 || || '''집라인 개수''' || 1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0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6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2'''로 '''하'''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무려 FE2 유명 고수인 Not_xz가 참여한 작품이다.[* 어느 수준이냐면 FE2를 하는 거의 모든 사람이 아는 수준이다.] ==== 7월 - 출시되지 않음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2> '''제작자''' ||<-2> -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 || '''그룹 버튼 개수''' || - || || '''공기 방울 개수''' || - || '''벽 점프 구간 개수''' || - || || '''집라인 개수''' || -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7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으로 '''-'''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8월 - 출시되지 않음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2> '''제작자''' ||<-2> -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 || '''그룹 버튼 개수''' || - || || '''공기 방울 개수''' || - || '''벽 점프 구간 개수''' || - || || '''집라인 개수''' || -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8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으로 '''-'''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9월 - 출시되지 않음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2> '''제작자''' ||<-2> -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 || '''그룹 버튼 개수''' || - || || '''공기 방울 개수''' || - || '''벽 점프 구간 개수''' || - || || '''집라인 개수''' || -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9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으로 '''-'''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10월 - 출시되지 않음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2> '''제작자''' ||<-2> -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 || '''그룹 버튼 개수''' || - || || '''공기 방울 개수''' || - || '''벽 점프 구간 개수''' || - || || '''집라인 개수''' || -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10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으로 '''-'''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11월 - 출시되지 않음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2> '''제작자''' ||<-2> -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 || '''그룹 버튼 개수''' || - || || '''공기 방울 개수''' || - || '''벽 점프 구간 개수''' || - || || '''집라인 개수''' || -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11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으로 '''-'''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 12월 - 출시되지 않음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2> '''제작자''' ||<-2> - || ||<-2> '''이전 음악''' ||<-2> - || || '''일반 버튼 개수''' || - || '''그룹 버튼 개수''' || - || || '''공기 방울 개수''' || - || '''벽 점프 구간 개수''' || - || || '''집라인 개수''' || - || '''슬라이드 구간 개수''' || - || || '''조난자 위치''' || - || '''Lost Page 위치''' || - || 2024년 12월 하이라이트 맵으로 출시하였다. 난이도는 '''1.-'''으로 '''-'''이다. =====# 클리어 방법 #===== ===== 여담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lood Escape 2/맵, version=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