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d1116 '''{{{#5cefb9 Floral Shoppe}}}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Tiny Mix Tapes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 ---- }}} || ---- ||<-2><#ff8f9b> '''{{{#5cefb9 {{{+1 Floral Shopp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loralShoppe.png|width=100%]]}}} || ||<#0d1116> '''발매일''' ||[[2011년]] [[12월 9일]] || || '''{{{#0d1116 장르}}}''' ||[[베이퍼웨이브]] || ||<#0d1116> '''재생 시간''' ||39:15 || || '''{{{#0d1116 곡 수}}}''' ||9곡 || ||<#0d1116> '''레이블''' ||Beer on the Rug || || '''{{{#0d1116 프로듀서}}}''' ||Ramona Andra Xavier || [목차][clearfix] == 개요 == >'''/music plays''' 다양한 이름으로 활동하는 일렉트로닉 뮤지션 라모나 안드라 랭글리[* Vektroid라는 이름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가 Macintosh Plus란 예명으로 발매한 음반. == 평가 == 호불호가 극도로 갈리는 문제작으로 손꼽힌다. Tiny Mix Tapes 같은 매체에선 호평했으나, 대부분은 해괴한 괴작이라고 평했다. 그래도 시간이 흐를 수록 호평하는 움직임이 조금 더 많아지긴 했다. [[앤서니 판타노]]도 처음엔 낮은 점수를 줬으나 나중에는 처음보다 더 좋게 들었다고 의견을 바꿨다. [[피치포크]] 역시 시간이 오래 지나고 높은 점수를 줬다. 하지만 호평 혹평 양쪽 다 '''"베이퍼웨이브" 장르를 상징하는 음반'''이라는 것에는 아무도 반박하지 않는다. 상징성 만큼은 더 높은 평가를 받는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가 먼저 냈던 베이퍼웨이브 앨범보다 이걸 더 높게 치는 편이다. 이 앨범이 좋던 나쁘던 후대 일렉트로닉 장르에 지대한 영향력을 남겼다는 것은 그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 트랙 리스트 == ||<-3><#ff8f9b> '''{{{#5cefb9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ブート || 3:24 || || 2 || リサフランク420 / 現代のコンピュー || 7:20 || || 3 || 花の専門店 || 3:55 || || 4 || ライブラリ || 2:43 || || 5 || 地理 || 4:46 || || 6 || ECCOと悪寒ダイビング || 6:42 || || 7 || 数学 || 6:54 || || 8 || 待機 || 1:10 || || 9 || て || 2:16 || == 여담 == [[분류:2011년 음반]][[분류:미국의 일렉트로니카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