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rcaea의 11레벨 수록곡]][[분류:Tone Sphere의 수록곡]][[분류:Cytus II의 수록곡]] [목차] == 개요 == [youtube(1v7WXxLWSrk)] Arcaea 1.7.0 업데이트에서 [[削除]]가 Arcaea에 최초로 제공한 악곡이자 '''Arcaea의 두 번째 Anomaly 곡.''' Luminous Sky의 프리뷰 영상의 끝부분에서 [[Ether Strike]]에 글리치가 발생하고, 1분 49초 지점에서 헥스 코드로[* 66 72 61 63 74 75 72 65, 이를 헥스 코드로 해석하면 '''Fracture'''라는 문자가 나온다.] 숨겨진 메세지가 확인되면서 [[Grievous Lady|Vicious Labyrinth]]와 마찬가지로 Anomaly 악곡이 있을 것이란 예측이 있었고, 결국 업데이트 이후 이 곡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 [[Arcaea]] == [include(틀:Arcaea/보스곡)] [include(틀:Arcaea/11레벨 이상 수록곡)] [include(틀:Arcaea/채보/빛, 곡명=Fracture Ray, 작곡링크=削除, 작곡표기=Sakuzyo, BPM=200, PST제작=Volatile Paradox
, PRS제작=Absolute Paradox
, FTR제작=Paradox Zero, PST레벨=6, PRS레벨=9, FTR레벨=11, PST세부레벨=6.0, PRS세부레벨=9.5, FTR세부레벨=11.3, PST노트=983, PRS노트=1343
Joy-Con:
1242, FTR노트=1279
Joy-Con:
1125, PST해금=아래 문단 참조, PRS해금=아래 문단 참조, FTR해금=아래 문단 참조, 배경=Fracture Ray, 스토리=, 특이사항=Luminous Sky 보스곡
2번째 Anomaly 악곡
2번째 11레벨 악곡
4동 패턴 존재(PRS\, FTR)
3.0 이전 Arcaea 최종 보스곡
역주행 패턴 존재
순간 노트밀도 1위
FTR 노트수가 PRS 노트수보다 적음
PRS 난이도 노트수 1위(Joy-Con 모드 제외))] [include(틀:Arcaea/Luminous Sky, 숨김=Fracture Ray)] === 출현 및 해금 조건 === [include(틀:스포일러)] [youtube(jlT_5_SYw8s)] * 우선, '''히카리,,Zero,,'''를 '''__봉인__''' 상태로 파트너 캐릭터로 지정할 것. * [[Ether Strike]]의 3번째로 'My Guiding Star.'라는 가사가 나오는 부분[* PST에서 417콤보, PRS에서 510콤보, FTR에서 710콤보다. PST의 경우 여기까지 Pure만 찍어도 94% 즈음에서 하드 게이지로 전환된다.]까지 히카리,,Zero,, 의 레벨에 따른 게이지를 채운다.[br] 아래 표는 히카리,,Zero,,의 레벨과 Lost / 게이지에 따른 특수 효과 진입 가능 여부에 대해 기록한 표이다.(단, '''FTR 기준'''이다.) ||
{{{#ffffff 히카리,,Zero,, 레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게이지 || Lost 0 || Lost 0 || Lost 0 || 100 || 98 || 95 || 90 || 86 || 83 || 72 || || {{{#ffffff 히카리,,Zero,, 레벨}}}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게이지 || 68 || 64 || 59 || 57 || 48 || 42 || ? || 30 || ? || ? || * 게이지를 요구치만큼 채웠다면 저 시점에서 HARD 게이지로 바뀌며, 50%보다 낮을 경우 50%까지 게이지가 자동으로 채워진다.[* 이때 Lost시 게이지 감소량은 그대로이며, Lost를 내지 않았더라도 게이지가 자연적으로 서서히 감소한다. 게이지의 자연감소 속도는 히카리,,Zero,,의 레벨이 높을수록 더뎌지며, 게이지가 0%인 상태에서 Lost가 나면 그대로 폭사, Ether Strike의 결과창으로 넘어간다.] 곡이 끝날 때까지 게이지를 0% 이상으로 유지하면 된다. 이때 깎인 게이지에 따라 화면이 가장자리부터 점차 뿌옇게 된다.[* 히카리,,Zero,,의 레벨이 낮을 경우에는 HARD 게이지로 바뀐 이후 초반보단 극후반에 주의해야 한다. 실수 한 번에 바로 폭사한다.] * 유지 성공 시 곡이 끝나지 않고 글리치가 발생하며 게이지도 100%로 회복된다. 글리치와 함께 등장한 동일한 난이도의 Fracture Ray를 HARD 게이지로 플레이한다. * 완주에 성공한 경우 즉시 해금. * 도중에 폭사한 경우 결과에 따라 일정량[* PST는 불명, PRS는 7~22%로 추정되며, FTR은 5~14%로 추정된다.]의 Anomaly%가 차며, 이것이 100%가 될 경우 해금된다. * 4.0 이후 상위 난이도 해금 시 그 하위 난이도의 채보들도 모두 즉시 해금된다. Arcaea의 메인 스토리를 끝까지 본 후, 이 연출을 통해 HARD 게이지로 Fracture Ray를 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 채보 === ==== Past ==== [youtube(msEPJk7s1yI,start=170)] 초견 PM 영상. 플레이어는 焉音ユウ. Past 난이도 중에서는 6레벨로 최상급이다. PST중에서 노트수가 가장 많았으나 현재는 [[HIVEMIND]]에 자리를 넘겨준 상태. ==== Present ==== [youtube(fhEHk-e4XxA)] 패턴 캡쳐 및 Pure Memory (-48) 영상. Present 9레벨 중 난이도 3등으로,[* 사실 보스곡은 자기 자신의 Future 난이도보다도 더 어려운 [[dropdead]]인지라 사실상 2등이라 봐도 무방하다. 2등은 [[Tempestissimo]] 4등은 [[SAIKYO STRONGER]]이다. 보면상수가 9.5에 불과하지만 PM 난이도는 쟁쟁한 상위권 상수 곡들보다 높다.] 9렙 상위권 정도의 방심해서는 안될 난이도에 속한다. 카운트다운이 끝난뒤에 나오는 롱노트를 누르며 한손으로 플로어 + 스카이 노트를 치는 패턴이 상당히 손이 꼬이고 어렵다. 롱노트 원핸드 패턴이 끝나면 Future 난이도의 열화판 패턴[* 10비트, 14비트의 불규칙 폭타 포함. 후살 구간에서 한번 더 나온다.]이 등장하는데, 9+ 정도로 어려우므로 주의. 그 뒤 4동타 패턴 등장 후 잠시 쉬었다가 원핸드 패턴에 아크까지 섞여서 강화되어 나온다! 그 뒤 잠시 쉬었다가 바로 Future 난이도의 열화판 패턴이 나오는데, 마지막 16비트 트릴에서 폭사할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Future의 클리어 난이도는 [[Grievous Lady]]보다 쉽지만 Present에서는 이 곡이 [[Grievous Lady]]보다 어렵다. 10, 14비트 패턴의 존재로 이론치 난이도가 present 난이도 중에서 제일 높다. PRS 난이도 역시 한동안 이론치가 나오지 않다가 [[https://twitter.com/himajin_Babu/status/1063293833851486208|11월 16일에 이론치가 나왔으며]], 2023년 8월 14일 기준 이론치를 달성한 유저는 28명이다. ==== Future ==== [youtube(CQ-M7jtiojg)] '''이론치 (MAX SCORE) 영상'''. 플레이어는 あべゆー. [* 결과창을 보면, 점수에 +0이라고 뜬다. 즉, '''이미 한 번 이론치를 달성한 후''' 다시 한 번 이론치를 달성 했다는 것.] [youtube(xPwLV6FzWgE)] 차트 뷰 영상. 폭타의 박자도 까다로운 편이고[* 453콤보 부근의 스카이 노트 레이저빔은 '''10비트 5연타''', 476콤보 부근의 레이저빔은 '''14비트 7연타'''이며, 후반 폭타에는 10, 12, 14, 16, 20, 24, 32비트가 난잡하게 뒤섞여서 나온다.] 노트의 배치 하나하나도 미스나기 상당히 쉽도록 난잡하게 되어있는 편이다. 최후반의 '''200BPM 32비트''' 트릴[* Arcaea의 모든 채보 중 '''가장 빠른 속도의 트릴'''이다. 16비트로 환산 시 '''400BPM.''']와 스카이 노트가 불규칙하게 끼어있는 16비트 트릴은 엄청난 양의 Far과 Lost를 만든다. 타 11레벨들과 달리 배치가 직관적인 편이기 때문에 11레벨들 중에서는 쉬운 편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 곡의 진가는 타 11레벨 채보들 및 이 곡의 채보를 어느 정도 이해했을 때부터 드러나기 시작한다.''' 전체적으로 매우 빠르고 복잡한 폭타가 많은 양의 Far과 Lost를 만들어내며, 쉬는 구간도 적은 편이라 실질적으로 체력이 더 잘 빠진다. 박자도 10비트/14비트/20비트, 16비트/24비트/'''32비트'''의 복잡한 혼합 패턴 등등으로 인해 매우 까다롭다. 또한 11레벨 중 가장 적은 노트 수를 가진 채보로 한 번의 실수로 인한 점수 손실이 다른 11레벨들에 비해 매우 커 EX+ 이상의 스코어링 난이도도 하늘로 치솟는다. 이러한 폭타와 박자 때문에 '''PM 및 이론치 난이도는 Arcaea의 모든 FTR 채보들 중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0 버전 기준으로 Base Potential이 가장 높은 곡인 [[Tempestissimo]]의 Beyond 채보가 충격적인 난이도를 가졌음에도 '''3일 만에''' 이론치가 보고된 것을 보아 이 곡의 PM과 이론치 난이도가 매우 악랄한 수준이라는 것을 엿볼 수 있다. FTR 이론치 최강 곡이라는 명성대로 [[https://twitter.com/abeyuu_35853915/status/1151453495741956099|'''유일하게 이론치 유저가 1명밖에 없는 채보''']]였다가[* 최초 이론치 유저가 나오기 전까지는 '''유일하게 이론치 유저가 없다'''는 타이틀을 오랫동안 가지고 있기도 했다. 여담으로 다른 11레벨 보스곡들인 [[Grievous Lady]]가 104일, [[最強STRONGER]]와 [[Aegleseeker]]가 1일만에 이론치가 보고되었다.], 2020년 2월 14일에 이론치를 달성한 유저가 두 명이나 더 등장한 것을 시작으로 이론치 유저가 서서히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3.0 업데이트에서 [[Grievous Lady]], [[最強STRONGER]]와 함께 11레벨로 조정되었다. 2023년 6월 2일 기준 이론치 달성자가 20명을 돌파한 상태다. ##위키에서 '현재'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 기타 === Future 난이도에서 각 구간의 노트 밀도가 훨씬 빽빽해 보임에도 실제 노트 수는 Present보다 64개 정도 적은데, 이는 카운트다운이 나오는 구간까지로 비교하면 Present 난이도가 Future 난이도보다 노트가 '''232'''개나 더 많기 때문. Future 난이도에서 히카리,,Fracture,,를 파트너로 설정하고 모든 노트를 Pure 판정으로 쳤을 때, 정확히 하이라이트 부분(807콤보)에서 HARD 게이지로 변경된다. 한국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골절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채보 PM 및 이론치 현황''' * '''공개 당일'''에 Pure Memory (-35) 가 올라왔다. 플레이어는 h1r. [[https://twitter.com/h155i/status/1018803654080335872|#Tweet]] * 공개 이틀 만에 엄지 1Far FR 영상이 올라왔다. 플레이어는 BengaleeHS. [[https://twitter.com/H_Psi__E_Psi/status/1019563653492699141|#Tweet]] * 2018년 11월 11일, 첫 엄지 PM 유저가 등장하였다. (BengaleeHS)[[https://twitter.com/HPsiEPsi_/status/1061475129555771392?s=19|트위터 링크]] * 2019년 6월 30일, 기어코 4동 홀드 파트마저 엄지로 처리하여 PM을 달성하였다. (BengaleeHS) [[https://youtu.be/MIv0njVvw8c|유튜브 영상]] * 2019년 5월 3일, 유튜브에 [[https://youtu.be/ssbz4n6o1lY|1배속 PM 영상이 올라왔다.]] * 2019년 2월 14일, 기존에 이론치 방어기간이 가장 길던 [[Sheriruth]]의 기록 '''213일'''을 제치고 이론치 방어기간 최장곡이 되었다. * 방어 기간 '''366일'''이라는 긴 시간이 지나고, '''최초의 이론치 유저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あべゆー(abeyuu). [[https://twitter.com/abeyuu_35853915/status/1151453495741956099?s=19|트위터 링크]] * 첫 이론치가 나온 지 '''약 7개월'''이 지난 후인 2020년 2월 14일, 이론치 2호를 달성한 유저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TAKUAN. [[https://twitter.com/Takuanhaumaiyo/status/1227989659889750016|트위터 링크]] * 2020년 2월 14일 두 번째 이론치가 나온 지 몇 시간 지나지 않아 세 번째 이론치 달성자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FUTABASAKI. 앞의 이론치 달성자들과 달리 Mirror 스킬을 사용해 이론치를 달성했다. [[https://twitter.com/Futabasaki_12/status/1228032632170016768?s=19|트위터 링크]] * 2020년 2월 19일에 4번째 이론치 유저가 등장했다. 플레이어는 tiram1su. [[https://twitter.com/tiram1su_/status/1230092183589421061|트위터 링크]] * 2020년 5월 26일에 5번째 이론치 유저가 등장했다. 플레이어는 h1r. [[https://twitter.com/h155i/status/1265129870004113408?s=20|트위터 링크]] * 2020년 9월 7일 화면의 대부분을 가리고 PM을 달성한 유저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FUTABASAKI.[* 해당 유저는 다른 11레벨 곡인 [[Grievous Lady]]도 화면 대부분을 가리고 PM을 달성한 전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eXs6KuT-6C8|유튜브 영상]] * 2020년 9월 9일 국내 최초 이론치 유저가 등장했다. 플레이어는 Ren. [[https://twitter.com/Ren_CytusII/status/1303377965166686209?s=19|트위터 링크]][[https://youtu.be/gdqLDAdhBdg|유튜브 영상]] * 2021년 5월 31일 Nintendo Switch 에디션의 [[Joy-Con]] 조작 모드(전면부 4버튼) PM 달성자가 등장했다. 플레이어는 phsXXX.[[https://youtu.be/NeknkBz-GbU|유튜브 영상]] 작곡가인 [[삭제|Sakuzyo]]의 전작인 [[Destr0yer]]와 유사한 모습이 많이 보인다. 드럼스텝 파트에서는 빔과 유사한 사운드가 사용되고, 마지막에는 아예 Destr0yer의 마지막 파트에서 쓰인 사운드를 그대로 가져왔다. == [[Tone Sphere]] (pt. StaZyo) == [youtube(J3gPV8-bK-M,width=560,height=315)] Arcaea × Tone Sphere 콜라보가 개시된 당일, [[Sta]]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Tone Sphere에 수록된다고 [[https://twitter.com/naclbbr/status/1048715257663766528?s=19|밝혔다.]] 이후 10월 29일 톤 스피어 95만 다운로드 기념 업데이트때 Darksphere 챕터에 업데이트 되었다. 제목에 (pt. St-Zy)[* 일본어로 설정할 경우 (しおじょ編) 으로 부제가 바뀐다.]가 붙었는데, Sta와 Sakuzyo의 리믹스 버전이다. 전체적으로 하드스타일 풍의 드럼비트가 추가되었으며, 중후반부의 오케스트라 음원이 변경되었다. 군데군데 전자음과 Sta의 보이스 샘플링이 추가된 것이 특징. 이후 Sta의 개인 앨범 Worlds에 롱 버전이 추가되었다.[[https://youtu.be/_2SyCeDoGY8|#]] ||||||||||||
<:> '''Fracture Ray (pt. St-Zy)''' || ||||||||||||<:>(앨범아트 사진, Arcaea와 동일) || ||<:>작곡||||||||||||<:>[[Sakuzyo]] || ||<:>앨범아트||||||||||<:>cierra || || ||<:>'''{{{#23D6A6 Easy}}}'''||<:>'''{{{#1DACD6 Normal}}}'''||<:>'''{{{#F400A1 Hard}}}'''||<:>'''{{{#AA55FF Expert}}}'''|| ||<:>레벨||<:>5 ||<:>7.5 ||<:>10 ||<:>11.5 || ||<:>노트 수||<:>344 ||<:>471 ||<:>673 ||<:>807 || ||<:>최대 콤보||<:>630 ||<:>800 ||<:>1012 ||<:>1209 || ||'''특이사항'''||||||||||<:>콜라보 수록곡 || Sphere Map에서 해금 가능하며, 하드를 4~5성 이상으로 클리어하면 EXPERT가 나오는 대부분의 다른 곡들과는 달리 Sphere Map을 더 탐험하면 EXPERT 난이도를 해금할 수 있다. === EXPERT === [youtube(e_ZRxuX-CY0,width=560,height=315)] || 해금 조건 : Sphere Map 탐험 || 최고 난이도로 나온 Arcaea와 달리 최고 난이도로 나오지는 않았고, 그조차도 11.5렙 하위권 내지는 물렙이다. 차트를 플레이하면서 중반 덥스텝, 후반 덥스텝 이렇게 두번의 격정적인 부분이 나온다. 여기서 노트가 많이 쏟아져 나오는데, 손을 무식하게 빠르게 움직여도 되지만, 패턴을 파악한다면 무난하게 처리 가능하다. 특히 후반에 조금 난해한 슬라이드 노트 부분이 이 차트에서 가장 특징적인 노트 배치. 제일 마지막엔 슬라이드로 원을 세 바퀴 돌리면서 끝나는데, 첫번째 바퀴는 네 박동안, 다음 두 바퀴는 두 박에 한 바퀴씩 돌리면 된다. 즉, 첫번째 바퀴만 느리게 돌려야 한다. == [[CHUNITHM]] == [youtube(5m7bMyIDoec)] 마스터 난이도 AJ 영상 2019년 5월 23일 [[Arcaea]]와의 콜라보를 통해 수록되었다. == [[Cytus II]] == [include(틀:Cytus II/Tairitsu)] === 채보 === ||<-4> '''{{{#fff Fracture Ray}}}''' || ||<-4> [[파일:Arcaea/Fracture Ray.jpg|width=300]] || || 작곡 ||<-3> [[Sakuzyo]] || || BPM ||<-3> 200[* 스크롤속도 00~00] || || 연주 시간 ||<-3> 2:36 || ||<|2> {{{#373A3C,#DDDDDD 레벨}}} || '''EASY''' || '''HARD''' || '''CHAOS''' || || '''6''' || '''10''' || '''15''' || || 노트 수 || 414 || 669 || 1279 || || 특이사항 ||<-3> 챕터 Tairitsu 준보스곡[br]모든 난이도에서 최고 레벨[br]Arcaea의 FTR 난이도와 CHAOS 난이도의 노트 수 일치 || ||<-2> '''해금 조건''' || || '''EASY''' || Easy 채보 해금 조건[*i 없을 경우 "통상 해금".] || || '''HARD''' || Hard 채보 해금 조건[*i] || || '''CHAOS''' || Chaos 채보 해금 조건 || * 원곡과 Cytus II에 수록된 버전이 다른 경우 Cytus II에 수록된 버전의 음원 영상을 넣습니다. * 해당 수록곡의 간략한 정보를 서술합니다.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부분을 자켓 일러스트의 파일명으로 수정해서 사용합니다. ==== EASY ==== ==== HARD ==== ==== CHAOS ==== [youtube(PZw-vM_obd4)] 폰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Hexanbit. [youtube(cK-meXiIKuc)] 패드 MxM 영상. 플레이어는 TenCha. 본가의 패턴인 극초반의 7부터 0까지 세며 떨어지는 동타와 4동 홀드, 그리고 '''초후반의 복잡한 박자'''를 그대로 구현하였다. 때문에 아무리 판정이 후해졌다고 해도 TP100, MxM 난이도는 상위권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