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 ## 토론 관련 틀은 여기 아래에 삽입해 주세요.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의 '3.서술 우선 순위' 문단 참고.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MeaslyComfortableHappyTable, 합의사항1=상위 문서에서 문단 분리하기, 토론주소2=DetailedNaiveLiterateYarn, 합의사항2=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 토론주소3=TellingBetterSkillfulSpot, 합의사항3=파생 모드는 원작 모드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서 등재하되\, 종속 문서로 등재된 모드의 파생 모드는 이 문서 대신 해당 문서 내 '파생 모드'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서 등재하기, 토론주소4=SmellyAmazingLazyDinner, 합의사항4=모드의 주소는 공식 사이트와 한글 패치 주소 외에는 기재가 불가능하나\, 모종의 사유 등으로 인해 공식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가 불가능할 경우 별도의 다운로드 주소 1곳 기재가 가능하다., 토론주소5=AwesomeBigPoorCredit, 합의사항5=모드를 등재할 때\, 해당 모드가 출시된 월을 반드시 기재해야 한다.)] [include(틀:Friday Night Funkin')] [목차][clearfix] == 개요 == [[Friday Night Funkin']]의 모드 중 2021년의 4분기에 제작된 모드를 서술한 문서다. == 목록 == === 툴 === [[https://gamebanana.com/tools/games/8694?_nPage=1&vl%5Bpage%5D=1&mid=SubmissionsList&vl%5Bpreset%5D=most_viewed&vl%5Border%5D=views&_aFilters%5BGeneric_Game%5D=8694&_sSort=Generic_MostViewed|Tools]]로 분류된 모드들. 엄밀히 따지자면 모드는 아니고, 다른 모드를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모드를 만드는 일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과 자료들이다. === 실행파일 === [[https://gamebanana.com/mods/cats/3827?_nPage=1&vl%5Bpage%5D=1&mid=SubmissionsList&vl%5Bpreset%5D=most_viewed&vl%5Border%5D=views&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27&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Executables]]로 분류된 모드들. 소스 코드 단위에서 모딩을 한 뒤 컴파일했기에 실행파일 하나가 곧 모드이다. 바닐라에 없는 기능을 각 모드 별로 맞춤식으로 추가할 수 있기에 다른 분류의 모드와 비교해서 완성도가 높은 경우가 많다. ====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Lullaby Mod|Friday Night Funkin Lullaby Mo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Lullaby Mod)] ==== The Holiday Mod ==== ||<-2> '''{{{+1 The Holiday Mo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4364 Part 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Part 2 업데이트 이전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44364.jpg|width=100%]]}}}}}} || || '''제작''' ||[[bbpanzu]][br]fluffyhairs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19일 || || '''조회수''' ||73.03만 회[* 2023년 1월 25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4364|모드 주소]] ||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만든 모드. 분류는 Executables이지만 Psych Engine의 Mods 폴더에 파일을 추가해야 플레이가 가능하다. 곡은 Part 1에서 '''Holiday''', '''Deck''', '''Santa''', '''Plum'''이 있고 Part 2에서 스토리 모드에 '''Feliz''', '''Hark''', '''You''', '''Demolition''', 프리 플레이에 '''Zanta'''가 있다. '''Holiday'''는 그냥 보프와 걸프가 노래하는 평범한 곡이다. '''Deck'''은 시작할 때 앞에 문이 있고 누군가가 문을 두드리는데 문이 열리고 아빠와 보프, 걸프가 보이며 노래가 재생되려 하다가 아빠가 첫 화살표를 누르자 마자 [[문전박대 | 문이 닫힌다]](...) 그 뒤 다른 집에서 [[데자뷔#s-1|또 누군가가 문을 두드리고 문이 열린 뒤 아빠와 보프, 걸프가 보이며]] 이번에는 제대로 노래를 한다. 곡은 그냥 아빠와 보프, 걸프가 부르는 [[아름답게 장식하세]]이다. 그래서 노래 제목이 [[아름답게 장식하세]]의 영어 제목인 Deck The Halls의 맨 앞 단어인 Deck이다. 멜로디는 Boopeebo와 약간 유사하다. '''Santa'''는 스키드, 펌프와 보프, 걸프가 부르는 [[Jingle Bells|징글벨]]이다. '''Plum'''에선 지하 금고로 추정되는 곳에서 총을 든 피코, 선데이와 보프가 대결한다. 피코와 선데이는 인질로 추정되는 남자 세명을 겨누고 있으며 바닥에는 금화가 잔뜩 쌓여 있다. 이때 부르는 노래는 [[호두까기 인형|사탕요정의 춤]] '''Feliz'''는 [[Feliz Navidad]]를 부르는 선배와 대결한다. '''Hark'''는 [[Carol of the Bells]]를 부르는 탱크맨과 대결한다. '''You'''는 엄마와 여자친구, 그리고 남자친구가 부르는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이다. '''Demolition'''[* Zanta Claws III 편의 중후반부에서 나오는 노래의 FNF 리믹스이다.]에서는 [[Eddsworld]]의 [[톰(Eddsworld)|톰]]과 보프, 피코가 대결한다.[* 곡이 시작하기 전에 톰이 제안을 하는데, 내가 이기면 나는 모든 도시를 파괴할거지만, 네가 이기면 [[답정너|나는 모든 도시를 파괴하겠다고 한다.]] 흔쾌히 동의하는 보프는 덤. 이후 톰이 '''Perfect.(완벽해.)'''라고 하는데 사실 이건 톰이 아니라 The End Part2편에서 매트가 하는 말이다.[[https://youtu.be/PxtRL1tclds?t=589|#]]] 곡의 길이는 1분 30초대로 짧은 편이고 채보도 크게 어렵지 않으나 중간에 톰이 엔진을 분사하며 날아다니는데 이때 마우스를 활용해서 추진기를 쏴서 엔진을 멈춰야 한다. 문제는 썰매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마우스로 추격하며 클릭하기가 쉽지 않다. 더군다나 이 패턴을 시간 내에 저지하지 못하면 '''바로 즉사다.''' 이 때문에 이런 패턴에 익숙치 않은 사람은 이 곡이 어렵게 느껴질 것이다. 곡이 끝나면 톰이 가로등에 부딫쳐서 리타이어한다. 프리플레이 전용 곡인 '''Zanta'''에서는 [[Eddsworld]]의 [[Eddsworld/등장인물#잔타 클로스(Zanta Claws)|잔타 클로스]][* 해당 모드에서 잔타의 보이스는 [[Friday Night Funkin'/모드/The Full-Ass Tricky Mod|트리키 모드]]의 트리키 보이스를 변조해서 사용했다.]와 [[에드(Eddsworld)|에드]], [[톰(Eddsworld)|톰]], [[매트(Eddsworld)|매트]]가 대결한다. 난이도는 Taiko, Mania 두개인데 Mania로 하면 기존 프나펑 조작법으로 진행하지만 Taiko로 하면 패턴이 [[태고의 달인]] 형식으로 바뀌게 된다. 잔타 클로스가 채보를 누를 때마다 체력이 닳는데, 이 닳는 양이 많은 편이고 에드의 턴에서도 잔타가 같이 노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스를 몇 번이라도 냈다간 바로 골로 갈 수 있으니 조심하자. 이 곡의 배경은 [[Eddsworld]]의 에피소드인 '''[[Zanta Claws#2편|Zanta Claws ll]]'''의 에즈월드 3인방이 잔타와 대치하는 장면이며, 원작처럼 잔타 뒤에 진짜 산타가 감옥에 갇혀 있고, 눈이 없는 톰도 눈이 있는 채로 싸우게 된다. 곡 중간에 잔타가 원작과 같이 '''How can you defeat someone if you can't Recognize?!(그럼 알아 볼 수 없는 상대를 어떻게 물리칠 수 있는지 알아보자고?!)'''라고 한 뒤 산타와 자기 모자를 바꿔치기하고 톰 역시 '''Oh no, Which one Do I Shoot?(안돼, 누굴 쏴야 하지?)'''이라며 당황하고[* 이때 매트의 표정은 놀란 표정으로 바뀌고, 에드는 한심하다는 눈빛으로 쳐다본다.] 진짜 산타를 쏴버리며 에드가 '''You idiot, you shot wrong santa.(이 멍청아. 잘못된 산타를 쐈잖아.)'''라고 꾸짖은 뒤 잔타 클로스가 쏜 레이저가 톰의 눈에 맞아 다시 눈이 없어지고[* Space Face 1편에서 [[https://youtu.be/7ts8-ycqCik?t=110|톰이 내는 비명소리]]를 사용했다. 원작에선 이 레이저가 톰의 눈에 반사돼서 샹들리에에 맞아 떨어져서 잔타가 리타이어하지만 여기선 애초에 레이저가 톰의 눈에 반사되지도 않으며 잔타 클로스 역시 리타이어하지 않고 계속 랩배틀을 이어간다.] 에드가 뒤이어 노래한다. 모드 자체의 퀄리티도 상당한 편이고 [[Eddsworld]]의 등장인물들이 나오다 보니 조회수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는 편이다. ==== Sunday Night Suicide ==== ||<-2> '''{{{+1 Sunday Night Suici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567e978eb64.jpg|width=100%]]}}} || || '''제작''' ||--[[The_Mayz]]--[* 논란으로 탈퇴 ][* TheShipySea에게 권한을 넘겨주었다][br]sonicboiforlife[* 아티스트,애니메이터][br]Shadow Mario[* 엔진(Psych Engine)][br]Tutorialing [br]TheShipySea[* The_Mazy 탈퇴후 새로운 총괄자 ][* 감독,작곡가,코더,차터][br]Valerange[* 작곡가][br]Olimac31[* 작곡가][br]Ristar[* 작곡가,아티스트] [br]Yaro[* 작곡가] [br]Moonmistt[* 작곡가][br]F4ku[* 작곡가,아티스트,애니메이터][br]GonDaLooser[* 아티스트,작곡가][br]Nightmare_Nugget[* 아티스트,애니메이터][br]Eliestarman[* 차터][br]Cape Funkin[* 차터,코더][br]HazeyPurple_[* 아티스트][br]SlumberDev[* 아티스트,애니메이터][br]widen2wo[* 코더]|| || '''분류''' ||실행파일|| || '''출시''' ||2021년 10월 1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64.75만 회[* 2022년 6월 19일, 게임바나나 기준] [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41.98만 회[* 2022년 4월 2일, 게임졸트 기준]||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25161|[[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brockenmickeylol/648124|[[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br][[https://gamebanana.com/wips/70088|[[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업데이트 WIP 페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kHdm7xsNOI, width=400, height=225)]}}} || || 출시 트레일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qJoERnCsXI, width=400, height=225)]}}} || || V2 업데이트 트레일러[* 내용이 살짝 막장인데, 2페이즈 미키가 각성하려다가 갑자기 미키 발밑에 포탈이 생성되어 미키가 빠져버리고, 여자친구와 남자친구는 당황한 표정으로 포탈을 바라본다. 그 후 미키는 공중에 생성된 다른 포탈에서 떨어져서 2페이즈 미키가 1페이즈 미키로 돌아오는데 그 앞에 Smile에서 대결하는 미키가 서있다.] || 디즈니의 [[미키 마우스]] 관련 크리피파스타인 [[자살하는 쥐]]와 대결하는 공포 컨셉의 모드로, 곡은 '''Unhappy'''와 '''Happy''', 2.0 업데이트로 추가된 '''Really happy''' 그리고 Free play의 '''Smile'''로 총 네 곡이 존재한다. 메인 제목인 Suicide Mouse 보다는 주로 Sad Mouse 또는 Happy Mouse 로 알려져있는데, 저연령층에게 Suicide(자살)이라는 단어가 적합하지 않아 알려질 때는 Sad Mouse 로 언급 되는 경우가 많아서 이렇게 된 것이다. --그런데 애초에 프나펑은 저연령층들을 위한 게임이 아니며 온갖 섹드립과 무개념이 판을 치는 곳이다.-- '''Unhappy'''에서는 자살하는 쥐 영상 초반처럼 기괴한 배경음악과 함께 미키 마우스가 무표정으로 도시를 걷는 장면이 나오는데, 길을 걷다가 남자친구와 부딪히게 된다. 남자친구는 미키 마우스를 보고 마이크를 건네고 미키 마우스는 남자친구를 쳐다보며 고개를 끄덕이고 곡이 시작된다. 이 곡은 [[증기선 윌리]]에서 미키 마우스가 불던 휘파람 소리를 리믹스했다.[* 미키 마우스 애니메이션 오프닝의 멜로디도 들어가 있다. 정확히는 클럽하우스의 M.I.C.K.E.Y M.O.U.S.E 부분이다.] 길이는 약 1분으로 짧은 편이고 난이도 또한 짧은 길이에 걸맞게 상당히 쉬운 편이다. '''Happy'''에서는 미키 마우스가 갑자기 미소를 지으면서 곡이 시작한다. 곡의 길이는 약 2분 2초로 약간 긴 편이며[* 다만 후술할 마지막 27초 동안은 검은색 채보만 나오기 때문에 실제 길이는 1분 35초로 그렇게 긴 편은 아니다.] 전체적인 멜로디가 Unhappy보다 신나는 느낌을 준다. 또한 매우 중독적이며 좋은 노래라는 반응이 많다.[* 특히 화면이 흔들리는 페이즈에선 노래가 완전 신나게 변하며 많은 사람들은 이 부분을 좋아한다고 한다. ]난이도의 경우 반복성 채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크게 어렵지는 않으나 1분 부분부터 '''갑자기 미키 마우스가 화면을 바라보며 미친듯이 웃더니[*모습(공포주의)1 [[파일:SUICIDEMICKEYLAUGHingame.gif]]] 화면이 엄청나게 흔들리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반주에 원본 영상 중반부에서 나오는 비명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며 미키마우스의 아이콘 색이 어두운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바뀌고 미키마우스의 자세와 표정도 더 기괴해진다.] 화면이 워낙 많이 흔들려서 채보가 잘 보이지 않으나 앞서 말한대로 반복성 채보가 많기 때문에 외우면 크게 어렵지는 않다. 마지막에는 누르면 체력이 닳는 검은색 노트가 나오는데, 이 노트들로 '''Real Suffering'''[* 직역하면 '''진정한 고통''' 이란 뜻으로 이 문구는 원본 괴담에서도 나온 문구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REAL SUFFERING이라는 문구가 REAL SUFFER'''[[오타|R]]'''ING 이다.]이라는 문구가 만들어지며 곡이 끝난다. 2.0 업데이트로 생긴 '''Really Happy'''에서는 미키마우스가 더욱 더 기괴한 모습으로 변한다.[* 이 곡에서만 미키마우스가 아래쪽 화살표를 누르면 화면을 바라보는 포즈를 취하는데, 꽤 무섭다.] 노래는 제작자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곡과 같으며, 꽤 신나는 느낌을 준다. 또한 남자친구와 여자친구가 서로 긴장한 표정을 짓고 있다. 이 곡도 위의 곡과 마찬가지로 반복패턴이 많아 그다지 어렵지 않을 수도 있지만 중간 중간에 화면이 Happy 이상으로 엄청나게 흔들리며 Happy 후반부에서 나왔던 검은색 노트가 섞여 나온다. 이로 인하여 채보를 제대로 보지 못하다가 죽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배경도 검은색이라서 검은색 노트의 가시성도 떨어지는 편이다. 마지막에 '''미키마우스가 엄청난 노트 수와 함께 기괴하게 웃으면서 노래가 끝난다.[*모습(공포주의)2 [[파일:BipolarMouseUpAlt.png|width=70%]][br]참고로 웃을 때 나오는 비명소리는 자살하는 쥐 원작 후반에 나오는 비명소리로 추정된다.]''' 2.0 업데이트로 추가된 Free play에 있는 노래인 '''Smile'''에서는 [[https://youtu.be/RnZKOMZ2om8|이 영상(공포주의)]]을 기반으로 만든 또 다른 자살하는 쥐[* 그래서인지 팬덤에서는 이 미키 마우스의 명칭을 '''Alt Suicide Mouse'''라 취급한다.]'''[*모습(공포주의)3 [[파일:smile.gif]] 참고로 영상에서 나왔듯 미키마우스의 입아래 있는 점들은 피나 침이 아니라 그의 눈이다. --입이 어디까진데--]'''와 싸운다. 난이도는 위의 곡들보다는 크게 어렵지 않다.[* '''UNHAPPY'''처럼 화면도 흔들리지 않고 점프스케어도 없지만 일단 곡의 분위기가 신나서 그나마 공포감을 덜어줬던 스토리 모드의 곡들과는 다르게 분위기부터 암울하고, 외형이 우리가 아는 미키가 맞나 싶을 정도로 기괴해서 [[충격과 공포]]를 가져다 준다. 외형은 입이 --조커 뺨맞는 정도로-- 찢어져 있으며 뒷짐을 지고 있고 허리를 꺾고 과격하게 리듬을 탄다. 목소리도 스토리 모드의 미키보다 살짝 다르다.] 멜로디를 잘 들어보면 스토리 모드 곡들의 멜로디도 들어가 있다. 게임오버시 자살하는 쥐 영상 후반부부터 들리는 비명소리를 0.5배속한 소리가 들린다. 노래도 좋고 공포감을 잘 살려냈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Really Happy'''는 매우 신나고 [[자살하는 쥐|원작]]의 공포감을 살렸으며 '''Smile''' 역시 원작의 공포를 잘 살렸다.] 그 덕에 아직 데모인데도 불구하고 조회수 10만을 빠르게 달성하는 등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다. 흑백이라는 점 때문에 리마스터나 HD와 같은 모드들이 양산되고 있다. 물론 고퀄리티도 있지만 이블모드의 경우처럼 저퀄리티 뇌절 모드가 더 많다는 문제가 있다. 여담으로, 미키 마우스의 목소리는 Unhappy와 Happy 중반부까지는 남자친구의 목소리를 변형한 것이나 Happy 중반부에서 미키 마우스가 웃기 시작할 때부터는 [[월트 디즈니]]의 목소리를 사용했다. 실제로 잘 들어보면 목소리 톤이 이전에 비해 미묘하게 올라간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3페이즈 업데이트 후 얼마안가 또 살짝 업데이트를 해 '''REALLY HAPPY''' 와 '''HAPPY''' 에 화면이 심하게 흔들리는 효과를 끌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됐다.[* 메뉴화면 옵션에서 직접 들어가거나 HAPPY나 REALLY HAPPY를 할 때 붉은 글씨로 화면이 흔들림 여부를 묻는 문장이 나올 때 설정할수도 있다.] 현재 제작자는 유튜브 사이트에 2.5업데이트의 쓰일 곡인 [[https://youtu.be/gILd6wQGFIs|Uneasing Static]]을 유출한 상태이다. 스토리 모드 4번째 곡으로 나올 듯. 그리고 미키의 반공식 형 격 인물인 [[오스왈드 래빗]]도 업데이트로 추가될 예정이다.[[https://youtu.be/voILd4uTBT0|#]] 유출에 따르면 미국 시간 기준 2022년 2월 15일에 출시될 예정인 듯 했으나 The_Mayz가 유튜브 커뮤니티로 사실이 아니라고 [[https://www.youtube.com/channel/UC5LWfrKwqWXLxgr_yVddFNQ/community?lb=Ugkxzc1ywbDs4unu-WvLVkXSsmjI6GSuzA8f|밝혔다]]. 현재 어떤 한 유튜버 때문에 2.5 업데이트의 대부분이 공개되고 있다. 이에 Mayz는 유튜브 커뮤니티로 이렇게 말했다[[https://www.youtube.com/post/UgkxSXhEexWWqAudpkV0E1aK3uzOlIte0RgB|#]] 현재 총괄자 [[The_Mayz]]가 논란이후 모든 계정을 폭파하고 떠난 상태이지만 그와 별개로 이 모드는 The_Mayz 없이 노래, 스프라이트 다 리마스터하고 다시 만드는 듯하다.[* 현재 총괄자가 교체됐다고 한다] 최근 새로운 노래및 리메이크들이 [[ https://twitter.com/SNSOverhaul/status/1574841298363846658?t=ZCMfnatvdv6_1GZa5hpKWQ&s=19|유출]]되어 많은 노래들이 폐기되버렸으며 기존 노래들에 [[https://twitter.com/SNSOverhaul/status/1577037251829121024?t=UHCRqKmk5c6Y7pUJvpVChw&s=19|이름이 바뀔]] 예정이다. Sunday Night Suicide Overhaul 업데이트가 예정되어있다.로고가 바뀌고 여러곡이 업데이트되며 V2곡들이 모두 리메이크 된다고한다. 또 모든곡들의 이름이 변경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제목이 바뀐곡은 Uneasing Static와 The Sights of Hell주(Unhappy,Happy,Really Happy)의 곡,Smile,Really Psychotic이다. 각각 '''white noise'''와 '''Downcast''','''Posed Laughter''','''Hysteria''','''Big Grin''','''Hysterious'''로 변경될 예정이다.] ===== SuicideMouse.avi REANIMATED - Sunday Night Suicide ===== ||<-2> '''{{{+1 SuicideMouse.avi REANIMATED - Sunday Night Suici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5eb8df1b194.jpg|width=100%]]}}} || || '''제작''' ||ShanePr0ducti0ns || || '''분류''' ||스킨 || || '''출시''' ||2021년 10월 7일 || || '''조회수''' ||12.62만 회[* 2022년 4월 2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26484|모드 주소]] || 자살하는 쥐의 스프라이트와 배경을 리마스터한 모드. 아직 V1버전 밖에 없다. ==== 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 ==== ||<-2> '''{{{+1 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4757.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NiteWind[br][haylow][br]--CinderAshMaker--[* 그루밍 사건으로 제명.][br]DayyBloom[br]@Killerfoxy10[br]Yoshi Dam[br]Visummum[br]SmokeCannon[br]Jakeneutron[br]agvids[br]MashProTato[br]@vtm1ns[br]MashProTato[br]Antimation[br]Artache[br]FuntyLora[br]Mr.Meh5[br]JalenBrah[br]@SUS_PAIN[br]~!vurn!~[br]OJogadorAnimador[br]Veljiko[br]@Rbxjames1[br]TormentedProgram[br]Scissor[br]KyeVL[br]TheZoroForce240[br]BlueCyanide.[br]@PRDevOfficial}}}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23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54.7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4.1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4757|[[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PibbyCorrupted/675182|[[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XvZC0zzeDQ, width=400, height=225)]}}} || || 출시 트레일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ZhcSGB94jg, width=400, height=225)]}}} || || 업데이트 트레일러 || [[어덜트 스윔]]에서 제작한 '[[Pibby|피비와 함께 배워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과 대결하는 모드. [[스티븐 쿼츠 유니버스]]과 [[스피넬(스티븐 유니버스)|스피넬]]과 대결하는 위크의 곡은 '''Save The Day''','''Glitched Gem''', '''My Friends''', '''THE CHANGE'''로 총 4곡, [[모디카이]]와 대결하는 위크의 곡은 '''Overworked'''로 한 곡, 글리치에 감염된 스키드와 펌프, 피코, 남자친구[* 이를 보고 추측해보면 Pibby Corrupted의 남자친구는 다른 세계관의 남자친구인듯하다.]와 대결하는 위크의 곡은 '''Last spooktober''', '''Gunshot''', '''Blue balled'''로 총 세 곡, [[핀(어드벤처 타임)|핀]]과 [[제이크(어드벤처 타임)|제이크]], [[버블검 공주]]와 대결하는 위크의 곡은 '''Corrupted Hero''', '''Brotherly Bond''', '''Gummy Substance''', '''Together Forever'''으로 4곡, 그리고 Free play로 [[https://www.youtube.com/watch?v=TNF4KJpCLx4|'''No Hero Remastered''']], [[https://www.youtube.com/watch?v=MyMBvY5c6fU|'''Lost legend''']], [[https://www.youtube.com/watch?v=Dpu_xKtJ684|'''Elastic Destruction''']], '''Glitched Duo''', [[https://www.youtube.com/watch?v=HzRYBzP_aFA|'''No Hero''']][* 사용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Free play에 존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7OpDzIpNgY|'''You can't save them''']][* Vs. sonic exe의 You can't run의 커버곡] 가 있다. 각종 기믹에다가 상대가 노래를 부를 때마다 체력이 깎이는 등 거의 모든곡들이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그중 압권은 Glitched Duo 중후반부에 나오는 42초 폭타.] '''Steven'''의 위크의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REHPCXcjkn0|'''Save The Day''']]에서는 스티븐과 대결한다. 중간에 스티븐이 말을 한다.[* stop it!(그만해!)] [[https://www.youtube.com/watch?v=CLV1-9S6aos|'''Glitched Gem''']]에서도 스티븐과 대결한다. 여담으로 중간에 포켓몬스터의 레드와 대결하는 BGM이 중간에 들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O89WGt5N8lo|'''My Friends''']]에서는 스피넬과 대결한다. 중간에 Lullaby Mod의 Monochrome가 들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fbHzjmFXnMQ|'''THE CHANGE''']]에서는 처음엔 스티븐과 대결하다가 스티븐이 갑자기 This isn't a GAME!(이건 게임이 아니야!)라고 외치다가 스피넬의 목소리가 들린다. 난이도는 위의 곡들 보다는 쉬운 편에 속하지만 방해 공작은 여전히 존재하니 주의. 마지막에는 스피넬이 웃으면서 스티븐이 같은 말을 반복하며 끝난다. '''Mordecai'''의 위크의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4h_3XKPFfXU|'''Overworked''']]에서는 모디카이와 대결한다. '''week 3'''에서의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q9RbWoK1BYQ|'''Last spooktober''']]에서는 감염된 스키드와 펌프와 대결한다. 위의 곡들처럼 방해요소는 없지만 폭타가 많이 나와 여전히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하니 주의. [[https://m.youtube.com/watch?v=mu9H8YRC-Yg|'''Gunshot''']]에서는 감염된 피코와 대결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7IVADk7effA|'''Blue balled''']]에서는 감염된 남자친구와 대결한다. 감염된 남자친구가 노래를 부를때마다 체력이 다른 캐릭터 보다 많이 깎이니 주의. '''Fine&Jake'''의 위크의 곡인[[https://www.youtube.com/watch?v=D-4-090dgRM|'''Corrupted Hero''']]에서는 핀과 대결한다. 중간에 나오는 칼 채보를 치지 못할 시 체력이 깎이니 주의. [[https://www.youtube.com/watch?v=dJtqUhju1XY|'''Brotherly Bond''']]에서는 제이크와 대결한다. 처음에 제이크가 소리를 지르면서 시작된다. 핀의 칼 채보도 같이 나오는 등 '''Corrupted Hero'''만큼 만만치 않은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LjIT4V70bg|'''Gummy Substance''']]에서는 버블검과 대결한다. 폭타가 자주 등장할 때가 많으니 주의. [[https://www.youtube.com/watch?v=DURWXkUw3N8|'''Together Forever''']]에서는 핀과 제이크와 대결한다. 중간에 제이크가 말을 한다. 이 곡의 노래 길이가 3분을 넘으며 자주 등장하는 폭타, 방해 요소 등 이 위크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2.0 업데이트로는 컷신도 생길 예정이다. 해당 모드와는 별개로 벌써 이블 모드 마냥 여러 캐릭터가 감염된 피비 모드가 수차례 보이는 중이다. 이로 인해 원래 설정인 이 모드도 뇌절이라는 소리를 듣고 있다. ===== High Effort VS Finn & Jake (PIBBY X FNF) ===== ||<-2> '''{{{+1 High Effort VS Finn & Jake (PIBBY X FN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igh Effort Finn and Jake.jpg|width=100%]]}}} || || '''제작''' ||NiteWind[br]Scissor[br]OJogadorAnimador[br]Artache[br][haylow][br]Mr Meh[br]SUS_PAIN[br]agvids[br]vtm1ns[br]SmokeCannon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19일 || || '''조회수''' ||12.15만 회[* 2022년 1월 3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7059|모드 주소]] || 아래 모드의 확장판으로 [[어덜트 스윔]]에서 제작한 '[[Pibby|피비와 함께 배워요]]'에 등장하는 [[핀(어드벤처 타임)|핀]]과 [[제이크(어드벤처 타임)|제이크]]와 대결하는 모드. 곡은 '''Corrupted Hero''', '''Brotherly Bond''', '''No Hero'''다. 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모드는 [[#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따로 출시하였다]]. ====== Mid Effort No-Hero (Pibby x FNF) ====== ||<-2> '''{{{+1 Mid Effort No-Hero (Pibby x FN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8c88efa4613.jpg|width=100%]]}}} || || '''제작''' ||Scissor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11일 || || '''조회수''' ||14.62만 회[* 2022년 1월 3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4978|모드 주소]] || [[어덜트 스윔]]에서 제작한 '[[Pibby|피비와 함께 배워요]]'에 등장하는 [[핀(어드벤처 타임)|핀]]과 대결하는 모드. 곡은 [[https://youtu.be/o0EqsjCeE-g|No Hero]] 하나 뿐이다. 그러나 이 곡이 난이도가 어느 정도 있는게 핀이 채보칠 때마다 체력이 깎이는데 핀의 채보가 거의 [[무리배치]]--핀 파트에선 이게 노래가 맞나 싶을 정도-- 아닌가 싶을 정도로 매우 비정상적으로 많아서 빈사 직전까지 간다. 다만 이것에 의해 체력바가 끝까지 밀려도 죽지는 않는다. 또한 맞추지 않으면 죽는 칼 채보와 맞추면 죽는 바이러스 채보가 자주 등장하고 폭타도 자주 등장해서 난이도가 어느 정도 있다. 사용한 곡은 [[#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의 곡을 사용하였다. ===== Vs Corrupted Steven Universe (Pibby X FNF) ===== ||<-2> '''{{{+1 Vs Corrupted Steven Universe (Pibby X FN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6719.jpg|width=100%]]}}} || || '''제작''' ||Scissor[br]bruh_man[br]Jakeneutron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18일 || || '''조회수''' ||10.04만 회[* 2022년 3월 27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6719|모드 주소]] || [[어덜트 스윔]]에서 제작한 '[[Pibby|피비와 함께 배워요]]'에 등장하는 [[스티븐 쿼츠 유니버스]], [[스피넬(스티븐 유니버스)|스피넬]]과 대결하는 모드. ===== Dusk Till Dawn ===== ||<-2> '''{{{+1 Dusk Till Daw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usk Till Dawn.png|width=100%]]}}} || || '''제작''' ||TheJakeneutron[br]glazey[br]NomIE[br]Mathesu[br][[bbpanzu]][br]Erick Animations || || '''분류''' ||Gamejolt || || '''출시''' ||2022년 2월 20일 || || '''조회수''' ||[[파일:게임졸트.png|width=20]]14.54만회[* 2022년 5월 22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jolt.com/games/FNFsPDuskTillDawn/693307|[[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Pibby|피비와 함께 배워요]]의 [[Pibby#설정|어둠]]에 감염된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의 [[트와일라잇 스파클]]과 대결하는 모드. 다운로드 사이트에 들어가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후원 창이 뜨는데 거기서 달러 부분의 숫자 1을 지우면 나오는 No thanks, take me to the download.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FNF: Madness Vandalization ==== ||<-2> '''{{{+1 FNF: Madness Vandaliz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61d400dd55e.jpg|width=100%]]}}} || || '''제작''' ||[[bbpanzu]][br]Gabriel Barsch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9일 || || '''조회수''' ||23.44만 회[* 2022년 1월 26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27032|모드 주소]] || [[매드니스 반달리제이션|Madness Vandalization]]을 기반으로 만든 모드이다. '''Vandalize'''에서는 원작 팬 애니메이션의 제작자의 캐릭터 '''Gabe'''와 대결하며 이 스테이지에선 체력 게이지가 소량씩 깎인다, 중반부엔 동타와 섞여나오는 부분이 마의 구간. '''Kaboom'''에서는 팀 포트리스 2의 [[데모맨(팀 포트리스 2)|데모맨]]을 모티브로 만든 그런트와 대결한다. 자체 곡도 까다로운데 누르면 체력이 깎이는 폭탄노트까지 나오는데다 플레이 시 화면이 좌우로 마구 흔들려서 어지러울 수 있다.[* 화면이 좌우로 흔들리는 이유가 해당 스테이지에서 걸프의 시점으로 보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MAG-FOUR'''에서는 [[매드니스 컴뱃/등장인물#Mag Agent/매그 에이전트|매그 에이전트 V4]]와 대결한다. 폭타가 자주내려와 난이도가 어렵다. 여담으로 데모맨을 마이크로 잡고있으며 59초쯤에 데모맨을 던져버린다.[* 매그 에이전트 V4는 의외로 다른 매그 에이전트보다 강하게 묘사되는데 외전이긴 하지만 [[행크 J. 윔블턴]]을 반갈죽하고 [[샌포드]]의 갈고리 줄을 끊어버리고 데모맨을 가지고 놀고 매드니스 반달리제이션의 주인공 Gabe도 매그에이전트 V4에게 온갖 수모를 다 겪는다. 특유의 붉은 색 고글을 쓰고있는 멋진 외형덕분에 인기가 많은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일반 매그에이전트는 다른 그런트보다 1.5배 정도 큰데 이 모드에선 남자친구의 3배가 넘는다. 남자친구가 일반 그런트의 절반 크기쯤 되는듯.] ==== Super Mario Bros. Funk Mix ==== ||<-2> '''{{{+1 Super Mario Bros. Funk Mix}}}'''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6928 DX.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DX 업데이트 이전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46928.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Flarewire[br]Traveler_Snak[br]KrystalPhantasm[br]b.o. eszett[br]pixloen[br]SAKKth[br]codist[br]Smuglutena[br]Mari0_Bot/Just James[br]GP12810[br]IGJH[br]Nimbus Cumulus[br]AquaDoesStuff[br]Mad Nyle[br]fluffyhairs[br]fabs[br]NinKey[br]matteenstra}}}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31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21.01만 회[* 2022년 4월 8일, 게임바나나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6928|[[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의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와 대결하는 모드. 인터페이스나 화면의 느낌 등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디럭스와 똑같다. 완성도가 어지간한 모드는 압살하는 수준. 스토리 모드는 World1, World2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테이지마다 짤막한 컷신이 나온다. [WORLD 1] 첫번째 컷신에서 보프가 노래음악을 듣다가 구덩이로 떨어질 뻔한것을 마리오가 도와주고 마리오가 떨어진 마이크를 잡는 것으로 시작한다. '''Mushroom Plain'''에선 꼬마리오와 대결한다. 스피드도 무난하고 초보가 아니라면 쉽게 깰 수 있다. 첫 곡이고 향수를 부른다는 설명에 불구하고 [[슈퍼 마리오브라더스(테마곡)]]은 사용하지 않았다. 두번째 컷신에선 보프가 걸프를 까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찾으려 하다가 지하로 떨어져 마리오와 만난다. '''Brick and Lifts'''에선 슈퍼 마리오와 대결한다. 스피드는 앞 곡이랑 비슷하지만 채보가 대폭 강화되었다. 특히 중간씩 나오는 짧은 폭타는 조심. 참고로 곡은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지하 브금을 어레인지 했다. 세번째 컷신에선 보프가 파이어바를 피하고 브이를 하다가 파이어바가 다시 오는 것을 보고 넘어진다. '''Lethal Lava Lair'''에선 파이어 마리오와 대결한다. 채보는 앞 곡과 난이도가 비슷하나 스피드가 빨라졌다. 여담으로 처음 브금은 용암 브금이 들리고 중간씩 코인 먹는 소리가 들린다. 클리어시 컷신에선 보프와 마리오 형제가 자루에 묶인 키노피오를 구해 '걸프는 다른 성에 있어'라고 얘기하고 보프는 낙심해 넘어진다. [WORLD 2] 컷신에선 보프와 마리오 형제가 물 속을 헤엄치다가 루이지가 점점 멀어지더니 쿵 하는 소리에 마리오가 뒤를 보다 놀라서 보프를 끌고 도망간다. 그 뒤에는 커다란 뽀꾸뽀꾸을 타고 있는 루이지가 추격해온다. '''Deep Deep Voyage'''에선 뽀꾸뽀꾸을 타고 있는 루이지와 대결한다. 난이도는 brick and lifts와 비슷하지만 채보가 좀 약간 어려워 졌으며 그 대신 파워업 노트가 타 스테이지에 비해 그나마 많이 나온다. 컷신에선 보프가 버섯 지형으로 올라오고 힘들어 하는데 폭탄병이 떨어져 보프 머리를 치고 다른 버섯으로 올라간다. '''Hop Hop Heights'''에선 폭탄병과 대결한다. 노래가 짧은 대신 스피드가 대폭 강화되었으며 계단 폭타가 많아서 채보에 집중해야 한다. 중간에 폭탄병을 화내기 시작하더니 마지막엔 폭발한다. 컷신에선 보프가 낭떠러지에서 메달려 있다가 올라온다. 그리고 갈 길 가다가 해머브로즈들 한테 납치당한다[* 해머브로스가 망치대신 총을 들고 있다.] '''Koopa Armada'''에선 마귀 마법봉을 든 쿠파와 대결한다. 마지막 스테이지인 만큼 스피드가 빠르고 채보도 폭타가 대부분여서 어려운 축에 속한다. 거기다 버섯 노트가 없어 채보를 주의깊게 안 보면 3미스 달성하고 바로 죽는다. 중간에 쿠파가 울부짖는데 이때 폭타가 더 난해해지니 더 주의. 엔딩에선 쿠파가 보프에게 다가가려다가 마리오 형제가 난입. 동시에 보프를 구한다. 그리고 마리오 형제와 쿠파의 대결이 시작하려는 찰나 쿠파가 전혀 당황하지 않고 도망간다. 엔딩이 끝나면 걸프를 구했다면서 축하한다고 하고 프리플레이에 들어가 더 많은 챌린지를 하라고 한다. [챌린지] '''2 Player Game'''에선 루이지와 대결한다. 스피드가 생각보다 빠르고 채보가 다 난해해서 어려운 축에 속한다. 후반에 잠깐 쉬는데 빠른 BPM과 조합된 크고 아름다운 폭타가 내려오니 주의. '''Destruction Dance'''에선 철거반의 담당자와 대결한다. 난이도는 중수가 아닌 이상 쉽게 클리어 가능하다. 중간에 배경의 폭탄중 하나가 터져 담당자가 리타이어하고 '''갑자기 와루이지가 난입해 이 곡의 마리오 리믹스를 부른다''' 이때 채보도 약간 어려워진다. 끝나면 배경에 있던 또 다른 폭탄이 터져 보프가 리타이어한다. '''Portal Power'''에선 포탈 마리오과 대결한다. 보프도 포탈건을 착용하고 있다. 빠른 스피드와 난해한 채보, 포탈 기믹 때문에 고수들도 조금 힘들어 할 스테이지마다. '''Bullet Time'''에선 킬러와 대결한다. 빠른 BPM과 조합된 폭타가 대부분이여서 꽤나 어렵다. '''Boo Blitz'''에선 커다란 부끄부끄와 대결한다. 스피드와 채보는 무난한데 문제는 '''불 기믹'''. 부끄부끄 차례일 때 좌 우 버튼으로 불 피해야한다. 세밀한 조종까지 해야지 폭타도 처리해야지 아주 바쁜 스테이지. 중간에 파워업 하나는 주지만 딱 하나뿐이여서 조심해야된다. 여담으로 중간에 thorns의 멜로디가 들리고 보프 턴일떈 부끄부끄가 부끄러워 하며 눈을 가린다. '''Cross Console Crash'''에선 소닉과 대결하며 마리오로 플레이 하게 된다. 중간에 마리오와 소닉의 효과음들이 섞여 나오는 것이 특징. 소닉와 마리오가 싸우다가 테일즈와 루이지가 난입해 같이 부르는 곡.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어려운데 중반부의 ←→↑→구간과 후반부의 [[Friday Night Funkin'/모드/Mii Funkin'/Vs Matt(Wii Funkin')#s-6.1|Shaggy x Matt]]의 '''Final Destination'''구간을 조심해야 한다. 여담으로 초반에 소닉과 마리오가 각각의 캐치프레이즈를 얘기한다.[* 마리오는 "Let's a go!", 소닉은 "Blast Away!".] 아래 두 히든 곡은 처음은 ???로 표기되어있어 해금 전 까진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히든곡 '''Wrong Warp'''에선 글리치 마리오와 대결한다. 오류로 인해 스프라이트가 꺠지고 이상한 자세의 피치, 이상한 색깔이 버섯 지형, 떡하니 수중 배경의 코인 2개가 놓여져 있는 하늘 배경이 특징. 마리오와 보트 둘 다 스프라이트가 깨진 모습으로 등장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곡의 멜로디를 한곡에 때려박은, 한마디로 글리치 버전'''막장'''이며 마지막엔 중간에 곡이 끊기며 끝난다. 히든곡 '''First Level'''에선 슈퍼 마리오 메이커의 괴상버섯 마리오와 대결한다. 원작은 원작인지 각종 파츠들이 뒤죽박죽으로 배치되어있다. 난이도는 앞 곡보다는 많이 어려운 편. 여담으로 마리오와 보프가 추임새 동작을 취할 때마다 뻐끔플라워와 차가 살짝 뛰어오른다. 스토리 모드와 챌린지, 히든곡까지 다 끝내면 크레딧이 나온다. 곡마다 그 스테이지의 담당자와 비하이드 컷신 그림이 있어 나름 고퀄인 편. 시크릿 곡 '''Green Screen'''은 게임보이 카메라에 등장하는 카메라맨과 대결하며 턴마다 시점이 바뀌는 게 특징이다.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무난하다. 묘하게도 얼굴과 목소리가 너무 달라보인다는 평이 많다. 디버그곡 '''BALLS'''는 마리오와 루이지가 대결하는데 해당 곡은 2011년 뉴그라운즈에 업로드 되었던 애니메이션인 [[https://youtu.be/0kyf-taHa4g|Mario's Invincible Song]]이다. 타 스테이지와는 달리 한번만 미스해도 게임 오버다. 해당 곡의 가사는 난 무적이니 니놈은 지옥행이고 내 알이나 빨라는 약 거하게 빨은 듯한 가사. 해당 스테이지의 원곡은 [[슈퍼 마리오 64]]의 [[https://youtu.be/Tk4D7ZClKB8|Powerful Mario]]이다. 체력 시스템은 여타 모드들에 비해 다른 매커니즘을 사용하는데 해당 모드의 원판을 따라간다.[* 단 시크릿 곡인 Green Screen만 유일하게 기존 매커니즘을 사용한다.] 처음엔 파이어 플라워 파워업으로 시작하며[* 프리 플레이 곡인 Two Player Game에선 슈퍼버섯 파워업으로 시작하며 디버그 곡인 Balls는 한번만 미스해도 즉시 게임 오버 처리된다.] 한번 미스를 하면 슈퍼버섯 파워업으로 또 미스를 하면 스몰 폼으로 가게 되는데 이 이상 미스를 하면 게임오버가 된다. 하지만 이 상태애서 가끔 씩 파워업 채보가 나와주는데 이걸 누르면 회복이 된다. 해당 모드는 아이콘이 존재하지만 이 모드의 시스템 특성상 사용되지 않았다. ===== SMB. FUNK MIX: GAME OVER ===== ||<-2> '''{{{+1 SMB. FUNK MIX: GAME O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259e53a3c9ce.jpg|width=100%]]}}} || || '''제작''' ||eat a lot of food[br]Cold_Vee[br]Flarewire[br]kiwiquest[br][[Saster]][br]turtloid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2년 4월 15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0.43만 회[* 2022년 6월 22일, 게임바나나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71500|[[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 위 FUMK MIX의 비공식 확장팩으로, '''Mario 85 PC Port'''에 등장하는 주적 '''MX'''와 대결하는 모드. 곡은 '''Game Over''' 한 곡밖에 없다. 곡 초반부에는 슈퍼 마리오 스테이지의 골 직전에서 평범한 마리오[* 눈을 자세히 보면 슈퍼마리오 브라더스의 마리오와 다르게 완전히 정사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 사실은 눈이 없는 존재인 셈이다.]와 랩배틀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곡이 진행될수록 마리오가 아닌 False Hero의 모습이 점차 뒤틀리게 되더니[* 보컬 역시 노이즈가 끼기 시작하며, 랩배틀을 하며 움직임이 별로 없던 False Hero도 점점 격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곧 웃음소리와 함께 본모습을 들어내며 남자친구를 쫒고 남자친구는 MX에게 도망치는 휭스크롤 화면으로 바뀌게 된다. 곡 후반부에 돌입하면 잠깐 '''머리가 나무기둥에 꽂힌 루카스[* Mario 85 PC Port에 등장하는 플레이어블이자 주역, MX에게 살해당해 게임속에 갇힌 '''8살 짜리의''' 남자아이의 영혼이며 루이지의 모습을 하고 있다.]의 모습이 잠깐동안 점멸되다''' 엄청나게 거대해진 MX와 MX의 눈을 피해 벽돌 벽에 숨은 보프가 계속해 랩배틀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에는 원작처럼 파이프 속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끝. ==== V.S. Mokey ==== ||<-2> '''{{{+1 V.S. Moke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27388.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Krima 업데이트 전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VS Mokey.jpg|width=100%]]}}}}}} || || '''제작''' ||ReddudeXD[br]miguel185[br]Yirius125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10일 || || '''조회수''' ||24.56만 회[* 2022년 8월 26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27388|모드 주소]] || 유튜브 애니메이터 [[Sr pelo]]의[* 원작의 2주차에 등장하는 스키드와 펌프를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정규 시리즈인 [[모키 쇼]]의 캐릭터들과 대결하는 모드. 곡은 [[모키 쇼#모키(Mokey)|모키]]와 대결하는 곡인 '''Boy'''[* 원작에서 모키가 자주 하는 말인 "oh boy!"에서 따왔다], [[모키 쇼#그루비(Groovy)|그루비]]와 대결하는 곡인 '''Ah Hyuck'''[* 원작에서 그루비가 에피소드마다 최소 1번은 하는말인 "ah hyug"에서 따왔다.],'''Dilan Noises''', 크리스마스 위크로 '''Krimah''', Free Play로 '''Waa Hoo''', '''Yekom''', '''Christmas Hope'''로 총 7곡이 있다. 크리마 업데이트로 OH BOI 난이도가 추가되었는데 Week Boi 에서 채보 자체는 하드와 동일하나 주먹 모양의 즉사노트가 내려오는데 위크 보이 특성상 채보 배치가 워낙 난해한지라 조금만 잘못 눌러도 그대로 게임오버다. 위크 보이 외의 곡들은 하드와 동일. '''Boy'''에서 모키가 ''Oh Boy!''라고 한 후 DOODOO FART가 써진 흑인 캐릭터로 변하다가[* 원래는 [[AMOGUS]]가 써진 3D 스타일 빨간 임포스터로 변했다.] 원래대로 돌아온다.[*A 딱 1프레임동안 나오는거라 알아보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보프와 걸프가 나타나는데, 모키가 놀라고 누구냐고 하자 보프는 삡 소리를 내자 모키가 잠시동안 [[자살하는 쥐]]의 영상 중 하나인 기괴한 쥐로 변하다가 원래대로 돌아온다.[*A] 그리고 모키가 자기소개를 하려다가 보프가 던진 마이크에 맞고 마이크를 잡은 후에 사악하게 웃은 후에 대결을 한다. 끝에서는 짧게 "[[년(비속어)|Bitch]]"라고 한다. 난이도가 처음 곡인데도 높고, 소리와 모션이 원작 모키 쇼 답게 이상하고 정신없으니 주의. '''Ah Hyuck'''에서는 모키의 얼굴이 점점 붉어지며 [[Triggered|확대가 되더니]] 갑자기 따봉을 날린다. 그러다가 갑자기 문 두드리는 소리가 들리는데, 걸프가 문을 열 때, 그루비와 딜란이 나온다. 그루비는 계속 이상한 모습들로 변하며 "Ah Hyuck"이라는 소리를 내고 딜란은 키약키약거리며 모키의 집 안으로 들어온다. 보프는 썩쏘를 지으며 그루비와 딜란에게 달려간 뒤 상체가 사라진 채로[* 정확히는 상체와 하체는 사라지고 머리에 두 발만 붙은 모습이다(...)] 마이크를 건네주자, 딜란은 모키한테 달려가고 그루비는 또 납작해지며 이상한 소리를 낸다. 그 후 보프도 납작해진다. 여기서는 그루비랑 대결을 한다. 걸프의 스피커 앞엔 모키와 딜란[* 여담으로 딜란은 모키와 그루비와는 다르게 원작 모습을 아예 그대로 가져왔다.]이 있다. '''Ah Hyuck'''은 첫번째 곡에 비해 노래 시간이 더 길고, 채보를 치는 것이 어려우니 주의.[* 여담으로 노래 중반부에 러시아어로 아이가 삼촌한테 츄파츕스 달라고 말하자 삼촌이 육두문자를 내뱉는 내용이, 막바지엔 fnaf 시리즈에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등장인물#s-6|폰가이]] 목소리가 나온다.] 이쪽도 모키와 똑같이 정신없다. 여담으로 남자친구가 미스를 내면 모키와 딜란이 우는 스폰지밥 짤로 바뀐다. 또 유독 [[몬더그린]]으로 황야라는 말이 많이 들린다. '''Dilan Noises'''에서는 '''boy'''나 '''ah hyuck'''과는 다르게 컷신이 아닌 대화창이 나오며 딜란이 이상한 말을 하자 보프가 대화창이 나와 당황하는데 딜란이 모드 제작자들이 컷신을 넣기 부족해서 그렇다고(...) 말한다. 그리고 보프와 딜란은 서로 말싸움을 하다가 딜란과 노래로 싸운다. 걸프의 스피커 뒤에는 모키와 그루비가 있으며 걸프는 이상한 표정을 짓는다. 노래가 2분 이상이다. 딜란은 원작 모키 쇼의 모습을 그대로 가져와서 동작이 위의 모키와 그루비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정신이 매우 없다. 노래는 Boy보단 어렵고 Ah Hyuck보단 쉽다. 노래 중간에 많은 밈들이 나오고 딜란이 밤비가 되고 노래 후반에 딜란이 흑인 남자로 바뀐다. 여담으로 딜란이 지고 있을때의 아이콘은 '''통닭'''이 되어버린다. '''Waa Hoo'''에선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의 짝퉁 캐릭터인 '''와후(WAA HOO)'''랑 대결한다.[* 원작은 [[Sr pelo]]가 만든 마리오 패러디 애니메이션중 하나인 [[Sr pelo#슈퍼 와 후 브라더스|슈퍼 '''와 후''' 브라더스다.]]] 중간에 요시를 탄다. 난이도는 다른 곡들과 비교했을데 쉬운편인다. '''Yekom'''[* 스펠링이 '''Mokey'''와 반대이다. 모키의 어두운 면을 나타낸 듯.]에서는 기괴하게 변한 모키와 싸운다.배경도 기괴하게 변했는데, 입이 달린 꽃과 거대한 입이달린 붉은 언덕이 있다. 놓치면 즉사하는 노트가 내려오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방심하면 그대로 게임오버 직행이다. 그나마 주의노트가 나오기 전에 미리 소리로 알려주지만 후반부엔 폭타구간 곳곳에 놓여져 있어서 높은 난이도를 가진 곡. '''Christmas hope'''에서는 [[모키 쇼#크람푸스(Krampus)|크람푸스]]와 대결한다. 이때 남자친구가 아니라 모키가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된다.[* 다만 다른 스테이지에 나왔던 모키와는 다르게 목소리가 정상적이다.] 후반쯤에 크람푸스가 거대해지고 시점이 정면이 된다. ==== Baldi's Basics in Funkin' DEMO ==== ||<-2> '''{{{+1 Baldi's Basics in Funkin' DE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29359.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데모 1에서의 썸네일펼치기 · 접기 ] [[파일:616dd4ce7599a.jpg|width=100%]]}}}}}} || || '''제작''' ||AdvideGEP[br]Fidy50[br]niffirg[br]Dee_Dae[br]Cotiles[br]Totally-Not-Genji[br]Voidicus[br]Oolexx[br]Jack.exe[br]BitTech[br]Artemiy Kopych[br]Bamdad[br]ScorchVx[br][[Banbuds]][* 트리키 모드 총괄 제작자로 유명한 그 사람 맞다. 팔도 프랑크의 목소리를 담당하였다고 한다.] || || '''분류''' ||실행파일|| || '''출시''' ||2021년 10월 19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27.67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12.12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https://gamebanana.com/mods/329359|[[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BaldiFunkin/656007|[[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vCunAi8HHk, width=400, height=225)]}}} || || 데모 버전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d3WjuA-auM, width=400, height=225)]}}} || || 데모 1.5 버전 트레일러 || [[Baldi's Basics in Education and Learning]]을 바탕으로 만든 모드. 아직은 발디하고만 대결 할 수 있으나 추후 업데이트[* 1.5업데이트를 진행했으나 모션이 부드러워진점과 곡이 약간수정되고 Psych Engine으로 바꾼거 외에는 따로 week가 추가되지 않았다]로 발디의 학교의 다른 캐릭터들과도 대결할 수 있을듯 하다.[* 현재 발디와 시크릿 스테이지의 팔도 프랑크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스프라이트가 공개된 캐릭터는 '교장 선생'으로, 아마 두 번째 위크는 교장 선생과 대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있는 곡은 '''Basics''', '''Lesson''', '''Expulsion[* 구 '''Dismissal''']''', 시크릿 곡으로 '''Piracy'''으로 총 네곡이 있다. '''Basics'''에서는 발디가 Now it's time to for everybody's favorite subject라고 말하며 노래가 시작된다. 첫번째 곡인 만큼 난이도는 무난한 편. '''Lesson'''에서는 처음에는 난이도가 매우 쉽지만 후반부에 발디가 '''갑자기 자를 들고 나타나게 된다.''' 이때부터 자 채보[* 누를시 체력이 깎인다.]가 나오며 난이도도 훅 올라가니 주의. '''Expulsion'''에서는 많은 자 노트 때문에 높은 난이도를 자랑한다. 가끔씩 발디 점프스케어가 나오고, 캐릭터가 바뀐다.[* 처음에는 화난 발디지만,이후 3D가 되고,잠시 히든엔딩의 남자로 추정되는 남자가 나오더니,다시 원래대로 돌아온다. 그리고 3D부터 걸프렌드가 아예 사라져버린다. 원래대로 돌아가도 마찬가지] '''발디''' 패턴에서는 처음부터 노이즈가 끼더니 노래가 시작된다. 자 노트가 은근 많이 나온다. '''3D 발디'''패턴에서는 3D 발디의 패턴이 끝날때까지 화면이 흔들린다. 자 노트는 덤. 그리고 '''의문의 남성'''패턴은 이 두 패턴에 비해 자 노트도 안 나오고 조금 쉬운 편이다. 상대편 노트가 안보인다. 가끔씩 의문의 남성에게 에러가 난 듯 버벅거릴 때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발디 패턴으로 롱노트가 내려오고 끝이 난다. 이때 '''자 노트가 매우 많이 나온다.''' 업데이트 전 '''Dismissal'''[* '해고', '퇴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Dismissal from school'은 바로 '''퇴학'''이라는 뜻이다.]에서는 중간중간에 섞여 있는 자 채보와 수많은 폭타 덕분에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가끔씩 발디의 점프스케어가 나올 때가 있다. 현재는 위의 곡으로 대체되었다. 메인 화면에서 94150을 입력하면 시크릿 곡 '''Piracy'''[* Piracy는 [[해적]]이라는 뜻도 있지만 '''불법 복제, 해적판, 저작권 침해'''라는 뜻도 있다. 발디 게임을 불법적으로 복제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사람들을 풍자하기 위해 만들어진 스테이지이다.]를 플레이 할 수 있다. 배경은 오류가 난 붉은 공간에 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이 써져 있고 남자친구는 긴장한 모습을 취하는데, 발디[* 정확히는 발디가 아닌 '''팔도 프랑크(Faldo Frank)'''라는 아예 다른존재이다. 그리고 팔도 프랑크는 과학교사였으며 컴퓨터 과학수업 도중 사고로 죽었다고 하며 나이는 34세였다고 한다. ]가 에러가 난듯한 모습으로 변하고, PIRACY라고 적힌 자와 피가 묻은 칼을 들고 있다. 난이도는 매우 어려운데, 노트가 많이 내려오고 노트가 흔들리거나 등의 방해요소가 있다. 중간에 블루스크린 노트가 내려오는데, 이걸 누르면 [[블루스크린]]이 뜨며 게임오버 된다.[* 이때 다시 하려면 게임을 재부팅해야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모드의 공식 채널인 [[https://m.youtube.com/c/BaldisBasicsInFunkin|Baldi's Basics in Funk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이 모드는 규모가 큰 대형모드에 가깝지만 잘 알려져있지 않다. ==== Friday Night Funkin': Vs Oswald (DEMO) ==== ||<-2> '''{{{+1 Friday Night Funkin': Vs Oswald (DE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76fded6b154.jpg|width=100%]]}}} || || '''제작''' ||Jakeneutron[br]jglazey[br]Mathesu[br]N O M I E||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25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21.89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바나나 기준] [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8.96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0889|[[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VsOswald/657899|[[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디즈니]]의 옛 마스코트이자 [[미키 마우스]]의 형인[* 반공식이긴 하다.] [[오스왈드 래빗]]과 대결하는 모드. 곡은 '''Rabbit's Luck''', Free play로 이상해진 스피넬과 대결하는 '''Last Straw'''로 총 2곡이 있다. [[https://m.youtube.com/watch?v=gGAVAZ6DGdw|'''Rabbit's Luck''']]에서는 오스왈드가 음악 공연을 하기위해 남자친구를 만나 랩 배틀을 한다. 오스왈드가 중간중간에 말을 한다. 마지막 쯤 "난! 그렇게까진! 안! 늙었어!(I'M! NOT! THAT! OLD!)"[* 그런데 오스왈드는 현실 나이로 따져보면 [age(1927-09-05)]세이다(...) 물론 카툰 캐릭터다 보니 이런 걸 따져봤자 별 의미 없는 짓이긴 하지만...][* 여담이지만 오스왈드의 첫 등장 작품도 너무 늙어보인다는 말을 들었다.]라고 오스왈드가 말하며 화를 낸다. 이때 난이도도 조금 올라가니 주의. 그리고 마지막에 오스왈드가 하! 이 늙은이랑 붙어서 어땠냐?(Ha! How's that for an old-head?)라고 말하며 끝난다. 여담으로 이곡의 난이도를 Easy나 Normal로 바꾸면 노래가 바뀐다.[* 정확히는 노래 자체는 똑같으나 곡에 길이가 줄어들고 그만큼 연출들이 많이 생략된다. 그리고 후반의 폭타가 사라져 난이도가 상당히 쉬워진다.] Free play론 [[https://m.youtube.com/watch?v=4YWbdK9BvaM|'''Last Straw''']]가 있는 데 오스왈드가 컴컴한 배경에서 혼자 말하다가 스피넬(?)[* [[파일:Pipecleaner_spinel_il_680x540.2306696492_8wmb.jpg]][br]스피넬과 아주 닮은(?) 이 인형을 모티브로 하였다.]처럼 보이는 인형과 싸운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 스피넬이 갑자기 소리를 지른다. 이때 부터 스피넬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체력이 깎이니 주의. 그러곤 오스왈드가 도망치려던 찰나 많은 손들이 나타나며 오스왈드가 인형처럼 변하고 끝난다.[* 약간 공포스럽다는 평도 있다.] 현재 [[https://gamejolt.com/p/vsoswald-week-2-will-be-yakko-warner-vs-oswald-the-singin-rfkuayxx|2주차]]가 예고되어 있다.[* 오스왈드 옆에 있는 캐릭터는 [[워너브라더스]]에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애니매니악스]]에 나오는 '''야코 워너'''다.] 여담으로 이 모드의 제작자인 Jakeneutron의 유튜브 채널에 피비와 함께 배워요의 글리치에 감염된 오스왈드의 곡인 [[https://m.youtube.com/watch?v=uM1OdbdQRpc|Rabbit’s Glitch]]를 올렸다. ==== FNF Undertale [Demo] ==== ||<-2> '''{{{+1 FNF Undertale [De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b43bc0ce8a4.jpg|width=100%]]}}} || || '''제작''' ||BoxOfRocks[br]lightywighty[br]Egg Overlord[br]EEF[br]Yoshifan33[br]NeatoNG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11일 || || '''조회수''' ||26.56만 회[* 2022년 8월 26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2415|모드 주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xHZC9mKPDo, width=400, height=225)]}}} || || 트레일러 || [[언더테일]]을 바탕으로 만든 모드이다. 아직은 [[아스리엘 드리무어]], 오메가 [[플라위]], [[샌즈]]하고만 대결할 수있다. 플레이 방법은 기존의 프나펑처럼 노트도 쳐야하는데 [[언더테일]]처럼 영혼(하트)가 있고 그걸 움직이며 '''장애물까지 피해야 한다'''. 덕분에 난이도는 최상. 곡을 플레이하지 않을 때는 맵을 돌아다닐 수 있는데 여기에서 보프의 스프라이트는 [[Friday Night Funkin'/모드/The X Event|The X Event]] 모드에서 따왔다. 높은 퀄리티 덕분인지 출시한지 '''6일만에''' 조회수 10만 회를 달성했다. 현제 업데이트되어 [[아스리엘 드리무어]], 오메가 [[플라위]], [[샌즈]]가 삭제되고 [[플라위]],더미,[[냅스타블룩]],[[토리엘]]하고만 대결할수 있다.[* 참고로 불살과 몰살있다.루트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진다.][* 삭제만 된거지 나중에 업데이트로 다시 리메이크되어 추가될 예정이다.] ==== Friday Night Apocalypse: VS PIBBY ==== ||<-2> '''{{{+1 Friday Night Apocalypse: VS PIBB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iday Night Apocalypse VS PIBBY.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접기] BalloonBoyXd[br]MekaZeff111[br]KeeganKeegan[br]StebanAR[br]Skipper_DEV[br]Active777[br]KaZophobia[br]Numberless[br]Shrub#6904[br]DustSnazIsChocolate[br]Shoeshock123[br]BorbTheOne[br]IJailDev[br]VORTEX/ZOMBEAL[br]your mother#0918[br]BlueToons[br]Cattuss[br]Synthic[br]adrielinz[br]ImCuriousYT[br]FalconGod1033[br]SyncopiteStorm158[br]dark_entity CM[br]Sainzy[br]Creepa[br]Fire_MF[br]GalXE[br]Penguinsmh[br]Shrub}}}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18일 || || '''조회수''' ||20.48만 회[* 2022년 8월 26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wips/62474|모드 주소]][* 아직 개발중이라 다운받을수는 없다.] || [[어덜트 스윔]]에서 제작한 '[[Pibby|피비와 함께 배워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과 대결하는 모드. [[#Friday Night Funkin: Pibby Corrupted|이 모드]]와는 다른 모드이다. [[https://mobile.twitter.com/PibbyWith|모드 공식 트위터 계정]]. ==== Funkin Drowned (DEMO) ==== ||<-2> '''{{{+1 Funkin Drowned (DE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81a9ea5f84c.jpg|width=100%]]}}} || || '''제작''' ||Garbo[br]ItoSaihara[br]Yabo[br]Teethlust[br]BreezyMelee[br]Case117[br]HayseedHere[br]gibz679[br]DiscWraith[br]LittleGeecko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31일 || || '''조회수''' ||16.9만 회[* 2022년 1월 21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2494|모드 주소]] ||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과 관련된 [[크리피파스타]]의 주인공인 [[Ben drowned]]과 대결하는 모드. 곡은 '''Terrible Fate'''하나 밖에 없다. 곡 하나의 벨이 울리고 벤이 웃거나 1:15초 부분[* 정확히는 곡이 1:15 남았을때이다.]에서는 수면 아래로 배경이 바뀌는 등 데모임에도 불구하고 연출이 고퀄이다.[* 수면 아래가 배경으로 바뀌었을때는 검은색 잉크같은게 묻고 손부분이 컸던것, 얼굴부분이 검정색이였던것 싹다 사라지고 벤도 일반 링크처럼 바뀌었다. 애초에 Drowned이라는 뜻이 익사하다는 뜻인데 아마 이를 반영한 듯 하다.] ==== Blocky Myths Vs Herobrine ==== ||<-2> '''{{{+1 Blocky Myths Vs Herobr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V1 업데이트 이전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제목 변경 이전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61715fa9acb2a.jpg|width=100%]]}}}}}} || || '''제작''' ||SmokeCannon[br]Slimemoreno17[br]Z11Gaming[br]indigoUan[br]Dylan[br]Select[br]TiagoFuzionPoco[br]OJogadorAnimador[br]CanonDev[br]MrFlamin[br]MagiciansWRLD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21일 || || '''조회수''' ||15.21만 회[* 2022년 1월 21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29840|모드 주소]] || [[마인크래프트]]의 도시전설 [[히로빈]]과 대결하는 모드. 곡은 '''Recreated''', '''Danger''', Free play로 Little Herobrine으로 총 3곡이 있다. 만약 노트가 하나라도 미스가 나면 히로빈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체력이 깎인다. 첫 번째 곡 '''Recreated'''는 첫 곡 치고는 꽤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데 채보 자체는 무난한 편이나 16비트 연타 노트가 곡 내내 섞여 내려온다. 그나마 노트 속도가 빠르진 않아서 연타에 익숙하다면 그럭저럭 할 만한 정도. 그러나 두 번째 곡 '''Danger'''에서 난이도가 폭등하는데 기본적으로 화면이 조금씩 진동하며 시작부터 끝까지 '''미친듯이 폭타가 내려온다.''' 사실상 중간의 롱노트 동타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드랍 파트라 봐도 무방할 정도. 거기에 채보 속도 또한 폭등해 가뜩이나 복잡한 채보가 더더욱 읽기 어려워 진다. 덤으로 초반 드랍 파트에 한 순간 누르면 게이지가 다는 특수 노트가 섞여 나오는데 이 구간에 도달한 시점에 이미 미스가 발생해 히로빈에게 체력바가 쭉 밀려난 상태라면 하나라도 누르는 순간 알이 박살날 확률이 높다. 후반부 진입시 화면이 클럽마냥 무지갯 빛으로 점멸하기 시작해 눈이 두 배로 피로해 지는건 덤. 때문에 데모 버전임에도 불구하고 악랄하기 짝이없는 난이도로 인해 유명세를 탔다. '''Little Herobrine'''에선 플레이어가 슬렌더맨으로 바뀐다. 또한 노래 길이가 '''7초'''다. 아래는 이 노래의 가사다. >Herobrine: COME TO THE DANCE FLOOR >WE'LL HAVE A NICE DANCE >THEN I'LL FUCKING MURDER YOU IN MY ENCHANTED DIAMOND TANTS > >Slenderman: Little Herobrine, I'm cumming in your mo— 여담으로 이 모드엔 마인크래프트의 난이도에서 따온 HardCore라는 난이도가 존재하는데 시작부터 끝까지 '''즉사 노트'''가 비오듯 쏟아지며 단 한 번이라도 미스를 내거나 특수 노트를 누르면 '''강제로 게임이 꺼진다.'''즉 도배 되다 시피 쏟아지는 즉사 채보를 모두 피해 퍼펙트 콤보를 치면 클리어가 가능하다(...). 사실상 데모 버전이라는걸 확실시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막아둔 난이도라 봐도 무방할 정도.[* 이런 괴랄한 난이도 덕분에(?)아직도 클리어를 했다는 사람이 보이지 않다.] 여담으로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뭔가를 피하는 모션을 취하는 기능이 있다, 아마도 다음 업데이트에서 쓰일 예정인듯. ==== The Friday Night Incident ==== ||<-2> '''{{{+1 The Friday Night Incide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0d12299de3be.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게임졸트에서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공포 주의) ] [[파일:Friday Night Incident Week2 Demo.jpg|width=100%]]}}}}}} || || '''제작''' ||Arthur_(ADJ)[br]SaltedSporks[br]Saruky__[br]Angelattes[br]Mr. Amazing VA[br]Audiospawn's Sudzy Bubbles[br]KGBepis[br]Fore[br]Teethlust[br]Nightkniyt[br]Iro:)[br]Blue Skittle[br]Active777 || || '''분류''' ||실행파일|| || '''출시''' ||2021년 10월 15일[* 링크가 나온 날짜는 6월 29일이고 정식으로 출시된 날짜는 10월 15일이다.]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4.93만 회[* 2022년 1월 21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2.06만 회[* 2022년 1월 3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https://gamebanana.com/wips/56747|[[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구버전)]][* 이 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아직 구글 드라이브 링크 밖에 없다. 그래서 밑에있는 게임졸트 링크를 다운로드 하자.][br][[https://gamejolt.com/games/fridaynightincident/645374|[[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여자친구의 삼촌인 '''트롤롤로 씨(Mr. Trololo)'''와 대결하는 모드. 원래는 '''Trololo Week'''밖에 없었으나, W2 업데이트로 '''Final Week'''까지 업데이트가 되었다. '''Trololo Week'''에는 '''Glad''', '''Prepare''', '''Evacuate'''로 총 세곡이 있으며, 아직 개발 중인 '''Final Week'''에는 '''Aurora''' 1곡이 있다. '''Glad'''에서는 처음에 컷씬이 나오는데 여자친구가 밝은 미소를 띠며 트롤롤로 씨에게 안긴다. 트롤롤로 씨도 여자친구를 보고 정말 오랜만이라고 말하며 여자친구를 반겨준다.[* 이때 트롤롤로 씨가 여자친구를 Klubnika, Roza, Sunshine 등의 애칭으로 부르는데, Klubnika는 러시아어로 딸기라는 뜻, Roza는 러시아어로 장미라는 뜻, Sunshine은 영어로 햇빛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남자친구와 만나 옛날때 처럼 노래를 부르고 싶다면서 노래가 시작된다. 난이도는 무난한 편. '''Prepare'''에서는 갑자기 트롤롤로 씨가 기침을 하기 시작한다. 이 곡 중간중간에 트롤롤로 씨가 계속 기침을 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중간에 스프라이트와 아이콘이 바뀌는데 자신이 빈사 아이콘을 보면 알겠지만 입에서 피를 흘리고 있다. '''Evacuate'''에서는 트롤롤로 씨가 계속되는 통증으로 인하여 토까지 하게된다. 그리고 갑자기 쓰러지고 '''트롤롤로 씨가 트롤지와 비슷한 모습이 된다.'''[* 여기서 트롤롤로 씨가 여자친구에게 도와달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 트롤지에게 조종당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고는 도망치는 것을 시작해야한다며 곡이 시작된다. 이 곡에서 도끼 채보가 나오는 데 이 채보를 누를 경우 도끼에 의해 그대로 즉사한다. 이런 채보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폭타도 만만치 않게 내려오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사실 제작자가 실수로 너무 어렵게 만들었다고 한다. 다음 업데이트에는 난이도가 지금보다는 쉬워질 예정이다.]. 그리고 곡이 끝나면 트롤지처럼 된 트롤롤로 씨가 남자친구를 죽이려 쫓아가다가 음료수를 밟고 넘어져서 놓친다. 그리고 누군가[* 추후 업데이트될 게임졸트의 데모 업데이트에는 이 인물이 '''오로라(Aurora)'''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마찬가지로 업데이트로 나올 인물인 '''트리 씨(mr.tree)'''에게 죽는다.]가 남자친구 일행에게 다가가며 컷씬이 끝난다. 고유 난이도로는 Hard보다 높은 난이도인 Troll이 있다.[* Troll 난이도로 플레이시 Evacuate의 채보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져 반 불가능이 된다. 봇 플레이로 해봐도 중간에 렉이 생겨서 강제로 죽는다.] 여담으로 [[Trollge]] 밈을 참고해서 만든 모드중 하나며 트롤롤로의 목소리는 [[I Am So Happy Finally Be Back Home|트롤송]]으로 유명한 러시아 가수 에두아르드 힐의 목소리를 사용했다. ==== FNF: Squid Game ==== ||<-2> '''{{{+1 FNF: Squid Ga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70338fc1f7c.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1.6 업데이트 전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616854f26f56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1.5 업데이트 전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6160733baa591.jpg|width=100%]]}}}}}} || || '''제작''' ||AshuraTheEchidna[br]GoggledAnimations || || '''분류''' ||실행파일|| || '''출시''' ||2021년 10월 8일 || || '''조회수''' ||11.91만 회[* 2022년 1월 21일 기준] || || '''관련 사이트'''||[[https://gamebanana.com/mods/326775|모드 주소]] || [[오징어 게임]]의 [[오징어 게임/등장인물/진행 요원#일꾼 (○)|일꾼]]과 대결하는 모드. 곡은 '''Red Light'''단 하나밖에 없다. 빨간 불 채보만 주의하면 무난한 편. ==== Friday at Treasure Island ==== ||<-2> '''{{{+1 Friday at Treasure Isla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86c46d8cbe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조회수 1.5만 회 달성 이전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32310.jpg|width=100%]]}}}}}} || || '''제작''' ||Yirius125[br]MassacreGamer29[br]Doggy647[br]miguel185[br]Chariz[br]Captain_Cheddar[br]sugar.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31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1.74만 회[* 2022년 1월 21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6.3천 회[* 2022년 1월 21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2310|[[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fati/659325|[[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2차 창작/팬게임#s-8|Five Nights at Treasure Island]] 일명 FNATI를 FNF로 게임화 시킨 모드이다. '''Tutorial'''에선 그레그가 게임 방법을 알려준다. 포토네거티브 미키마우스, 오스왈드, 임퓨어리티가 오면 스페이스를 눌러 카메라를 끄면 된다. 아세팔루어스와 언다잉을 보면 ctrl을 눌러 가만히 있으면 된다. 노래를 하면 전기가 차오른다. ==== VS. The Chosen One [Animation VS FNF] ==== ||<-2> '''{{{+1 VS. The Chosen One [Animation VS FN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0817.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데모 버전에서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40817 DEMO.jpg|width=100%]]}}}}}} || || '''제작''' ||OfficialFE[br]MijaeLio[br]XG_Chris[br]amaarzadjali[br]DUDE IM JOA[br]HeckingLost[br]Scorpzie[br]Goji Darko[br]Yaro_h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4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2.77만 회[* 2022년 3월 16일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612회[* 2022년 3월 16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0817|[[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VsTheChosenOne/687592|[[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Alan Becker]]의 정규 시리즈인 [[Animator vs. Animation]]시리즈의 등장인물 [[The Chosen One|선택 받은 자]]와 대결하는 모드이다. 노래는 Adobe, Victim, End Process 그리고 히든 곡으로 Alan, Diva[* B3 리믹스 모드에 나오는 그 노래가 맞다.]가 있다. ==== Wednesday's Infidelity ==== ||<-2> '''{{{+1 Wednesday's Infideli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ednesday's Infidelity Part 2.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Part 1 썸네일 펼치기 · 접기(공포 주의) ] [[파일:FNF mod 343688.jpg|width=100%]]}}}}}} || || '''제작''' ||Jhaix[br]Cape Funkin[br]ZERO ARTIST[br]Nightmare_Nugget[br]ZetaE[br]Jloor[br]VOICE OF KINGFOX || || '''출시''' ||2021년 12월 16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 12만 회[* 2022년 9월 10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31.28만 회[* 2022년 10월 4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3688|[[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wednesdayinfidelity/672074|[[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위의 [[#Sunday Night Suicide|Sunday Night Suicide 모드]]처럼 [[미키 마우스]] 괴담인 [[자살하는 쥐]]와 대결하는 모드이다. 제목의 뜻은 '''수요일의 불화'''. 이쪽도 괴담을 기반으로 해서 그런지 공포감이 상당하다. 총 3주차가 있으며[* 난이도는 Hard로 고정되어 있다.], 도중에 곡 대부분이 크게 유출이 되는 사태가 벌어졌지만 빠르게 조치한채로 꿋꿋히 작업을 마치며 확장 버전이 출시됐다. 이 때문인지 Freeplay에서 게임 데이터 유출시킨 유저를 디스하는 곡을 만들었다.(...)[* 최후는 오스왈드의 사격미스로 죽는다. --자살하려던 것이 빗겨 나간거다. 그 와중에 'fuck, i missed again![* 망할, 또 빗겨 나갔어!]'이라고 외치는 오스왈드가 압권--] 2.0 업데이트로 수록된 곡이 상당히 많아졌다. 노래는 스토리 모드로 플레이할 수 있는 Week 1의 '''Wishfulness''','''Dejection''','''Unknown Suffering''' 해피 엔딩의 '''Sunsets''','''Versiculus Iratus''' 배드 엔딩의 '''Last day''','''Hellhole''' 7곡과 Week 2의 '''Carnival In Toyland''','''Spring March'''2곡과 Week 3의 '''Cravings''','''Hunger Pangs''' 2곡과 Freeplay에 있는 마우스 임포스터의 보너스 곡 '''Needle mouse''','''Unknown defeat''' 2곡과 커버 보너스 곡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스테이지#s-2.6.1|Too Slow]]''','''Battered''','''Accelerant''' 3곡과 일반 보너스 곡 '''Vesania''','''Kriman't''','''Untold Loneliness''','''Leak Ma Balls''' 4곡과 디버그 보너스 곡인 '''Clubhouse'''와 '''Corpse'''그리고 ~~ refer madness ~~ [* 페기 되었다]로 총 22곡이 수록되어 있다. 똑같이 [[자살하는 쥐]]와 대결하는 모드인 [[#Sunday Night Suicide|Sunday Night Suicide 모드]]와의 콜라보가 예정되어있다고 알려져있었으나 Sunday Night Suicide 모드 제작자인 [[The_Mayz]]의 논란에서 그냥 The_Mayz가 주장만 했지 Wednesday's Infidelity 팀이 아예 승인한 적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근데 D-Sides디자인이[[#Sunday Night Suicide|Sunday Night Suicide 모드]]와 겹친다.[* 두모드의 D-Sides버전 수어사이드의 디자인이 오스왈드다.]] 게임을 실행하면 프나펑 인트로가 나오는데 갑자기 어떤 음악과 함께 메세지 하나가 뜬 후 음악이 바뀌더니 '''현실적인 눈을 크게 뜬 미키 마우스의 혐짤'''[* 흔히 자살하는 쥐 괴담과 함께 떠돌아다니는 짤이다.]이 있는 엔터를 눌러 실행하는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엔터를 누르면 경고 메세지가 뜨며 메인 메뉴로 이동한다. WEEK 1을 시작하면 컷신이 나온다. 어느 아름다운 수요일 아침, 미키는 미니가 어떤 키가 큰 멋진 쥐에게 말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건 미니가 그 쥐의 매력에 푹 빠지게 했고 그녀는 이제 그의 품 안에 있다. 미키는 외로워하고 두려워하며 계속 [[https://gamejolt.com/games/wednesdayinfidelity/672074#screenshot-1213294|도로]]를 걷다가 남자친구를 발견했고 나레이션은 아마도 남자친구가 미키에게 도움이 될거라 말한 후 계속 검은 화면만 나오다가 '''또 미키 혐짤이 나온다.''' '''Wistfulness'''에선 우울한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Sunday Night Suicide|Sunday Night Suicide 모드]]의 '''Unhappy'''처럼 [[증기선 윌리]]의 휘파람 소리를 노래로 부르며 난이도는 쉽다. 중간에 미키가 몸을 떨다가 '''눈이 하얗게 변하고 고통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흑백 만화에서는 볼 수 없는 붉은색의 피눈물을 흘리다''' 원래대로 돌아온다. 이때부터 화면이 흔들리고 채보창이 깜빡거리니 주의. 노래가 끝난 후 컷신에서는 미키 마우스가 몸을 떨며 수상하게 미소를 짓는다. '''Dejection'''에선 미키 마우스가 몸을 떨지 않은 채로 미소를 짓지만 노래를 부르지 않는 상태일 때 잠시동안 표정이 Wistfulness 중간에 나온 고통스러워하는 표정으로 바뀐다. 이 노래부터 미키가 노래를 부를 때 마다 게이지가 깎이니 주의. 난이도는 쉽지만 중간에 미키가 비정상적으로 웃더니 화면이 검어지며 웃는 노트가 내려오는데 누르면 몇 초 동안 '''얼굴이 녹아내린 미키의 점프스케어가 나와 화면을 가리니 주의.'''[* 다만 이 노트는 업데이트로 사용되지 않게되었다.] 후에도 난이도는 화면이 흔들리거나 게이지가 밀리므로 살짝 까다로워졌지만 노트만 잘 보면 쉽다. 다만 노래가 2분 51초로 꽤 긴 편이고, 곡 후반부에 약한 폭타가 내려오니 집중하자. '''Unknown Suffering'''에선 초반부에는 '''Dejection'''에서의 모습이었다가 기괴하게 웃는 채로 주사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변하는 미키 마우스랑 대결한다. 노트 수가 상당히 많은 데다가 속도도 꽤 빨라 꽤나 어렵다. 또한 노래 초중반에 암전 효과와 함께 미키 마우스의 스프라이트가 바뀌는데[* 자살하는 쥐 영상을 유튜브에 찾아보면 나오는 영상 중에 이와 같은 모습이 있다, [[#Sunday Night Suicide|Sunday Night Suicide 모드]]의 곡인 '''Really Happy'''의 미키 마우스와 비슷한 모습인 이유.][* 업데이트로 처음 모습이 바뀐 이후 다음 파트에 바로 이 모습이 된다.], 이 때부터 주사기를 던지는 패턴이 나온다. 주사기는 Space로 피하고 맞으면 얼굴이 잠깐 변하고 체력이 조금 차지만 노트 속도가 빨라지고 화살표도 위치가 조금씩 움직이고 조금 회전한다.[* 심하면 '''채보끼리 겹칠수 도 있다.'''] 가로막힌 문의 판자에 IM DEAD라고 적혀있다 --[[포켓몬스터 로스트실버|어?]]-- 또 업데이트로 시간 기믹이 생겼는데,원래는 2분 1초짜리 곡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2분 54초이며''',2분 1초가 되면 시간이 늘어난다.''' 이후 곡을 클리어하면 해피루트나 베드루트로 나뉜다. 루트의 조건은 미스 갯수로,30회 미만이면 해피,이상이면 배드이다. '''해피루트''' 이후 미키가 남자친구를 건드려고 할때 뒤에서 미니가 말린다, 그리고 남자친구한테 키가 큰 멋진 쥐와 자기는 아무 사이도 아니라고 얘기한다. 이후 다시 남자친구와 미키는 다시 랩배틀을 한다. '''Sunsets'''[* 일몰이라는 뜻도 있지만 '''종말이라는 뜻도 있다.''']에서는 평범한 모습으로 돌아온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난이도는 많이 쉽다. 클리어를 한 이후 걸프가 나타나며 해피엔딩...인줄 알았는데,나레이터가 보프가 미키의 운명을 바꿔버렸다며 어두운 목소리로 변하며 미키의 머리를 '''터트려버린다.'''[* 나레이터가 터트린거다] 이후 화면이 검어지며 다음 곡이 나온다.[* 서술했듯이 Sunsets는 종말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일종의 복선인 셈.] '''Versiculus Iratus'''에서는 미키 마우스가 사탄과 대결한다.초반부에는 망토를 입은 슬픈 악마[* 정체는 사탄이다]이지만,잠시후 갑자기 뒤에서 머리만 있는 사탄이 나타나며 거대한 본모습이 된다. 또 미키는 쇠사슬이 묶여있고,배경은 지옥에서 해골들이 움직인다. 후반부에는 머리만 있는 사탄이 화면에서 웃고,미키가 공중에 뜨며 글리치가 일어난다.[* 이 모습중 후술할 2개의 위크의 미키들의 얼굴이 있다.] 이후 화면이 어두워지며 끝난다. '''배드루트''' 미키가 총을 머리에 대 자살을 하려하고 보프의 뒤에서 글리치가 있는 균열이 생긴다. '''Last Day'''에서는 자살하려는 미키마우스와 대결한다. 곡 분위기가 암울하고,난이도는 '''Sunsets'''와 비슷하다. 결국 미키는 자살하고 보프는 어디론가 이동된다. 도착한 곳은 다름아닌 지옥. 그리고 그곳에서 '''미키 마우스를 만난다.''' 이후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사탄이 되고 사탄이 모습을 드러내며 다음곡이 시작된다.[* 해피루트 에서도 그렇듯 나레이터가 미키의 머리를 터트리므로 사탄이 터트린거다] '''Hellhole'''에서는 미키마우스와 대결한다.[* 어째 미묘하게 트리키 모드 배경과 비슷하다(...)][* 어어어엏] 초반에는 '''Dejection'''의 모습이었다가,이후 '''Unknown Suffering'''의 두번째 모습이되었다가,중간에 모습이 또 바뀐다. 또 사탄이 중간에 난입하여 대결하다가 사라진다.[* 참고로 등장을 할때 나오는 소리가 밈에 사용되는 굵은 비명소리다(...).] 이후 계속 노래를 부르다 곡이 끝난다. 참고로 이 곡은 이 모드에서 가장 긴 곡이며[* '''무려 5분 10초라는 길이이다!'''], Week 1 곡들중 유일하게 프리플레이에서 봇플레이 사용이 불가능하다. WEEK 2 '''Carnival in Toyland'''에서는 Brick of Friendship 2주차의 주요 적인 줄리안(Julian)과 대결한다.[* 원작은 1934년에 나온 영화인 March of the Wooden Soldiers에 나오는 미키마우스 옷을 입은 '''원숭이'''이다.여담으로 오른쪽 모션에서 벽돌을 들고 있는데,위크 화면에서 보프에게 벽돌을 던지고 있다(...).] 난이도는 조금 쉬운 편.[* 스토리는 "Versicules iratus 이후 88년뒤에 줄리안으로 환생한 미키는 영윈한 행복의 토이랜드에서 살아간다는 내용이다] '''Spring March'''에서도 줄리안과 대결하며,난이도는 조금 올라갔다.Week2의 스토리는 미키코스튬 안에 있던 원숭이가 숨이 막혀 죽고 [[FNaF|미키코스튬과 한몸이 되었다는 스토리다.]] WEEK3 '''Cravings'''에서는 체다치즈를 갈망하는 기괴한 미키와 대결한다.[* 긴 팔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기괴한 얼굴을 가졌고 아이콘이 치즈이다. 이 캐릭터의 원본은 한 대학생이 과제로 만든것이다. 크리피파스타가 아닌 밈의 일종이다.] 초반에 너를 사랑해 노래를 부르다가 화면이 검어지고 '''Father...I Craving Cheddar...(아버지...저는 체다를 갈망해요...)'''라고 한다. '''Hunger Pangs'''에서도 앞에 노래를 부르다 화면이 어두워진후 '''Father...II crave more...(아버지...저는 더 갈망해요...)'''라고 말한다. 이후 곡이 빠르고 조금 밝아진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점점 느려지다 피아노를 쾅 치는 소리와 함께 끝난다. 여담으로 Week 1,Week 2,Week 3들은 세계관이 이어지는 스토리이다. Freeplay로 할수있는 "Vesania"도 세계관이 이어진다 [* Vesania 내용은 지옥에서 죽기를 3번 반복한 미키가 완전히 미쳐서 사탄이 보프와 미키 둘을 대결시키며 둘이 누가 먼저 죽는지 지켜보는 것이다..] Freeplay에만 있는 곡들은 총 3개로 분류되며, 각각 어몽어스, 타 모드곡 코버곡, 기타 곡들로 나뉜다. * 어몽어스 * 타 모드곡 코버콕 '''Battered'''에선 행크의 마스크를 쓴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마스크라던가 대기 모습을 보면 행크 챌린지에 나오는 행크와 매우 같지만 곡은 Accelerant가 아닌 Antipathy 모드의 Battered라는 곡을 사용했다.] 노트 속도가 빠르고 채보도 많이 내려오며[* 동타가 '''거의 기본 패턴 수준'''으로 내려오며, 중반부에 폭타가 나오는데 난이도가 꽤 높다.] 곡의 길이도 길어 어렵다. * 기타 곡 '''Untold Loneliness'''[* 뜻은 '''말하지 않은 외로움'''으로, 작중 오스왈드가 심히 피폐해진 이유가 이때문일 수도 있다.]에선 [[오스왈드 래빗|'''오스왈드''']][* 정확히는 D-Side 미키 마우스]와 D-Side 남자친구가 대결한다. 미키가 주사기였다면 오스왈드는 권총으로 원본인 '''Unknown Suffering'''이 D- Side로 리믹스 되면서 아이콘도 D-side처럼 서로를 마주보는 형태로 바뀌었으며 메인 부분 비트가 더 신나졌고 도중에 대사가 나오는 것이 특징. 처음에 오스왈드가 {{{#red Alright, Alright. '''Let's get this over with.'''}}}[*해석 {{{#red 알았어, 알았어. '''이걸로 끝내보자.'''}}}]이라고 말하고 시작한다.후반부엔 오스왈드가 D-Side의 마이티.Zip 처럼 어떤 시를 외우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In the end, We all... {{{#red DIE.}}} >결국 끝에는, 우리 모두...{{{#red 죽어.}}} >Why should I, even try? >그런데 왜 나는, 노력해야 할까? >Gun in hand, {{{#red My life shall end...}}} >이 손에 쥐어진 총으로, {{{#red 내 삶은 끝나겠지...}}} > {{{#red '''MY SUFFERING SHALL BE KNOWN, FRIEND!'''}}} >{{{#red '''내 고통이 알려지겠지, 친구!'''}}} 이후 오스왈드가 미친듯이 웃으며[* 웃음소리를 잘 들어보면 흐느끼는 것 같아도 보인다.] 보프의 턴이 끝날 즈음 손에 쥐던 권총으로 '''자기 머리를 쏴버리지만, 총알이 뇌를 관통하는 대신 눈에 맞아버려 생존한다.'''[* 오스왈드의 이명이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Oswald The Lucky Rabbit)인데, 이때문인지 미키와 달리 자살 시도조차 [[코마에다 나기토|운에 막혀버려 실패한듯 하다.]] 오스왈드도 못마땅하는듯 짜증내하는 신음소리를 내며 곡에 돌입한다.] 여담으로 이 모드에서는 여자친구가 나오지 않으며, 남자친구의 스킨으로 바꿀수있다.[* 머리카락은 검은색으로 바뀌었으며, 미키 마우스가 입는 바지와 신발을 입고 옛날식 마이크를 들고 있다.][* 그리고 남자친구가 미스를 낼 때마다 남자친구의 얼굴이 '''위에 나온 미키 혐짤로 바뀐다.'''][* 여자친구는 업데이트에 나올 예정이다.'''] 또 만약 ESC나 Enter키를 누르면 사탄이 나타나 멈추지 못하게한다. 그리고 '''Reffer madness''' 라는 [[대마초]]를 하고 있는 미키의 스프라이트가 게임내엔 있지않고 데이터 파일에 있는데 위에 설명한 유저들이 유출시켜버려서 폐기되있다. ==== Friday Night Funkin' Red Version - Vs Red ==== ||<-2> '''{{{+1 Friday Night Funkin' Red Version - Vs R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3113.jpg|width=100%]]}}} || || '''제작''' ||valengarfy[br]BRN101[br]kimakurus music[br]Benjiworld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14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0.02만 회[* 2022년 2월 4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2.1천 회[* 2022년 2월 5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3113|[[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vs_red/671625|[[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레드(포켓몬스터)|레드]]와 대결하는 모드. 곡은 '''Pokemon Master''' 한 곡밖에 없다. 이 모드에서는 인터페이스가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처럼 게임보이 풍의 도트로 변한다. 이 외에도 랩배틀을 하는 모습 역시 포켓몬스터처럼 되어있으며, 중간중간 화면이 도트로 바뀌기도 하는 등 높은 퀄리티를 자랑한다. 레드의 옆에는 피카츄와 리자몽이 서있고, 누를 경우 남자친구의 체력이 깎이는 노트가 등장한다.[* 피카츄의 방해노트는 노란색에 피카츄의 검은 무늬와 전기가 흐르는 노트이며, 리자몽의 방해노트는 주황색에 불로 뒤덮인 노트이다.] 만약 이 방해노트를 여러번 눌러 남자친구의 체력이 0이 된다면 게임오버가 되니 주의할 것. 여담으로 파일을 보면 레드의 아이콘이 별개로 존재하는데.[* 픽셀로 바뀌었을 때의 아이콘도 있다.] 인게임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아마도 이 모드에서는 게이지가 끝까지 밀려야 죽는 게 아니고 체력이 다 깎여야 죽어서 그런 듯. ==== (ESP) FRIDAY NIGHT SYMPHONY! (Vs missasinfonia) V2 ==== ||<-2> '''{{{+1 (ESP) FRIDAY NIGHT SYMPHONY! (Vs missasinfonia) V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4685.jpg|width=100%]]}}} || || '''제작''' ||charmipotato[br]SalvaElJaparo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9일 || || '''조회수''' ||10.13만 회[* 2022년 3월 27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4685|모드 주소]] || ==== Friday Night Foundation (demo) ==== ||<-2> '''{{{+1 Friday Night Foundation (de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6860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Guardian 탈퇴 이전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41342.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Buhmageddon[* 총괄자, 매인 아티스트.][br][[MPRanger]][* 총괄자, 매인 작곡가.][br]Guardian[* 전 총괄자로, 모드 제작을 그만뒀다. 이로 인해 첫번째 게임바나나 모드 주소가 삭제되었다.][br]veri[* 전 총괄자.][br]Jackie.exe[*a1 코더.][br]seanbruh[*a1][br]WassabiSoja[*a1][br][[Tsuraran]][*b1 작곡가.][br]LuvSeals[*b1][br]Bubblyyy[*b1][br]ClockwerkSmurf[*c1 채보 제작자.][br]Endercreep[*c1][br]B3GFSimp[*c1][br]Chococacola[*d1 아티스트.][* UI 아티스트.][br]Omega[*d1][* 스프라이트 아티스트.][br]Ket[*d1][* 스프라이트 아티스트.][br]DammaRamma[*d1][br]NETHERloid[*d1][* SCP 메뉴 아티스트.][br]wyvernnn[*d1][*e1 애니메이터.][br]radpas1213[*e1][br]Arm4GeDon![*e1][br]Wolf653[* 작가, 위키 수정.]}}}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11일[* 첫번째 게임바나나 모드 주소 출시일][br]2022년 4월 2일[* 두번째 게임바나나 모드 주소 출시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0.19만 회[* 2022년 1월 21일, 첫번째 게임바나나 모드 주소 기준]--[br][[파일:게임바나나.ico]]6.4천 회[* 2022년 5월 2일, 두번째 게임바나나 모드 주소 기준][br][[파일:게임바나나.ico]]9.5천 회[* 2022년 7월 23일, 세번째 게임바나나 모드 주소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3.4천 회[* 2022년 1월 17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1342|첫번째 [[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삭제됨)]]--[br][[https://gamebanana.com/mods/387484|[[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banana.com/mods/368602|[[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구버전)]][br][[https://gamejolt.com/games/fnfoundation/669598|[[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보안이 취약한지 의심이 드는--[[SCP 재단]]을 배경으로 만든 모드이다. 노래는 Week BREACH의 '''Terminated''', '''Vivisection''', '''Captivated''', '''My World''', Freeolay의 '''Decaying''', 비밀 곡 '''Me'''가 있다. '''Terminated'''에선 [[세계 오컬트 연합]]의 요원과 대결한다. 배경은 감시실. 중간에 GOC쪽에 총알 채보가 오는데[* 총알 채보를 치기전 GOC가 대사를 읆는데 내 좆이나 빨아(...)이다.~~그만큼 화나셨다는거시지~~] 총알 채보를 누르면 GOC가 총을 남자친구에게 쏨과 동시에 체력이 60% 정도 깎인다. 후반부에 자주 내려오니 주의하자. 난이도는 무난하다. '''Vivisection'''에선 [[SCP-049]]와 '''049-2가된''' GOC와 대결한다. 배경의 기존의 배경에서 더 어두워지고 CCTV 화면은 몇 개는 깨지고 몇 개는 꺼져있다. 보프 쪽에만 피가 묻은 손모양 노트가 오는데 누르면 체력이 '''빈사 아이콘이 보일 정도로 깎이니''' 주의하자.[* 원 문서에서 SCP-049는 손을 접촉해 상대를 즉사시키고 '수술'이라는 과정을 거쳐 049-2라는 존재 만들어 낸다.] 중간에 좀비가 된 GOC가 노래를 부른다.[* GOC가 노래를 부를때는 아이콘도 GOC로 바뀐다.] 난이도는 노트가 많고 특수 노트가 있어서 조금 어렵다. '''Captivated'''에선 D계급인 '''Valorant(발로란트)'''와 대결한다. 배경은 [[SCP-914]]. 노래 중에 발로란트가 칼로 공격하는데, 스페이스바로 피해야 하며, 못 피하면 '''즉사다.''' 점점 갈수록 더 많이 공격하니 QT 모드에 익숙하지 않으면 여기서 죽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채보 난이도도 만만치 않고 즉사 기믹도 있어 꽤 어려운 곡이다. '''My World'''에선 [[SCP-106]]과 대결한다. 배경은 SCP 재단의 한 공간. 노래 중간에 SCP-106이 남자친구를 주머니 차원으로 끌고 오는데, 배경이 매우 어두워지고 SCP-106이 지속적으로 체력을 깎으니 주의하자. 난이도는 Vivisection와 Captivated보단 쉽다. Freeplay의 '''Decaying'''에서는 SCP-106과 대결한다. My World처럼 SCP-106이 중간에 남자친구를 주머니 차원으로 데려간다. 난이도는 My World보단 어렵지만 그래도 Vivisection와 Captivated보단 여전히 쉽다. 노래가 꽤 신난다. '''Me'''는 비밀 곡으로, 메뉴 화면에서 2521을 누르면 덩굴들이 화면을 가리고 그 가운데에 하트가 나타난다. 그 후 비밀 곡으로 이동한다, [[SCP-2521]]과 대결하며, 곡이 매우 길긴 하지만 다른 곡들보다 매우 쉽다. 제작자가 이 모드의 제작을 그만둬서 게임바나나에서는 다른 제작자가 올릴 때 까지 삭제되었었다가 2022년 4월 2일에 새로운 모드 주소로 돌아왔다. 현재 1.5 업데이트가 진행됐다.곡이 더 추가되고 더욱더 퀄리티가 좋아졌다 ===== Friday Night Site (FAN MADE) ===== ||<-2> '''{{{+1 Friday Night Site (FAN MADE)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0af1288d6d9.jpg|width=100%]]}}} || || '''제작''' ||Azri[br]Rangeriumer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8월 13일 || || '''조회수''' ||24.58만 회[* 2021년 12월 25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09121|모드 주소]] || 위 모드를 팬들이 추측해서 만든 것이다. [[Friday Night Funkin'/모드/High Effort Ugh 2.0 (feat. Tankman)|High Effort Ugh]] 모드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노래는 전부 FRIDAY NIGHT FOUNDATION의 노래를 사용했으며 '''Evaluation''', '''Recontainment''', '''Terminated''', '''Mayhem'''이 있고, Freeplay에서 추가로 '''Explanation'''과 '''Playtime'''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선 남자친구와 여자친구가 D계급이다. 1번째 곡에선 남자친구가 재단 요원과 랩배틀을 하는데, 여자친구는 [[SCP-914]]에다 마이크를 집어넣고 매우 고음으로 돌린뒤, [[http://ko.scp-wiki.net/scp-1081|SCP-1081]][* 스피커에 휘파람이 재생되면 듣는 사람을 실어증에 걸리게 만드는 SCP이다. ]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여친은 원작처럼 SCP-1081 위에서 리듬을 타고 남자친구는 기동 특무부대, GOC 세계 오컬트 연합, 혼돈의 반란과 랩배틀을 한다. 여담으로 Salty Sunday Night 모드의 여자친구를 대체한 캐릭터인 이츠미가 카메오로 나온다.[* 원작 모드인 FRIDAY NIGHT FOUNDATION 모드의 [[Tsuraran|제작자중 한명]]이 Salty Sunday Night 모드의 제작자라서 나오는 듯 하다.] ==== FNF: TeamSeas Mod ==== ||<-2> '''{{{+1 FNF: TeamSeas Mo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6132.jpg|width=100%]]}}} || || '''제작''' ||Serkoid[br]Surge SPB[br]sensisgone[br]Peblin[br]Valmonator[br]RedToons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15일 || || '''조회수''' ||10.02만 회[* 2022년 3월 27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6132|모드 주소]] || [[MrBeast]]체널의 주인인 지미 도날슨과 대결하는 모드. ==== Vs. Cartoon Cat FULL WEEK ==== ||<-2> '''{{{+1 Vs. Cartoon Cat FULL WEE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2876 1.5.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1.5 업데이트 이전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공포 주의) ] [[파일:FNF mod 332876.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KenethYT[br]Trevor Henderson[br]AshyTown[br]Vb[br]ThatOne_Kid[br]TheKiroGamer[br]Wolf The Knight[br]TheodorePOG[br]Numberless[br]PorscheACR[br]Egg Overlord[br]mystic:3[br]ZetaE[br]The Ferbison[br]scrilopolis[br]Astr0verload[br]ubacio[br]Jloor[br]Manux12[br]Widen2wo[br]Mushi[br]FRANDERMAN123[br]YT_GD[br]Darne[br]TheGrams31[br]Monotono[br]Kreagato[br]justisaac[br]Top 10 Awesome[br]lolelujah321[br]sirj455[br]Benkamyn[br]Ovron[br]BoBBy[br]Silly Content (Art)[br]LadMcLad[br]Trollge enjoyer[br]LeNinethGames[br]Sector03[br]Yirius125[br]lunarcleint}}}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1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0.2만회[* 2022년 4월 15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8.7천 회[* 2022년 4월 15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2876|[[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cartooncatupdate/660190|[[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원레는 카툰켓과 대결하는 모드였으나 1.5업데이트로 롱홀스와 대결하는 위크가 추가됐다.[* '''절대로 이 모드의 고유 캐릭터가 아니다.''' 이 두명은 그저 크리피파스타의 괴담일뿐이다.] ==== Friday Night Trepidation ==== ||<-2> '''{{{+1 Friday Night Trepid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7833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1.5 업데이트 이전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공포 주의) ] [[파일:617725da851e1.jpg|width=100%]]}}}}}} || || '''제작''' ||Dr. Daynaze[br]--El Taco[* [[https://twitter.com/DrDaynaze/status/1491879700721020935|Daynaze의 트윗]]을 보면 [[Friday Night Funkin'/사건 사고/2021년#El Taco 발언 논란|발언 논란]] 때문인지 제작자 목록에서 탈퇴된 듯 하다.]--[br]RALorenzo[br]Pickle King[br]TheNothingMonster[br]CagireSleet8757[br]Anonex[br]CallMeBanana[br]Dark_The_Player0[br]AntiMyersDiver2033[br]damwaffels[br]Togie[br]Grimbo_Yea[br]PogArtist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25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7.5만회[* 2022년 10월 3일, 게임바나나 기준.] --[[파일:게임바나나.ico]]7.7만 회[* 2021년 12월 27일, 게임바나나(구버전) 기준][* 삭제됨]-- [[파일:게임졸트.png|width=20]]1.09만 회[* 2022년 5월 20일, 게임졸트(구버전)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78331|[[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https://gamebanana.com/mods/330969|[[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구버전)(삭제됨)]]-- [[https://gamejolt.com/games/trepidation/658175|[[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구버전)]] || [[크리피파스타]]의 [[Jeff the Killer|제프 더 킬러]], [[슬렌더맨]], [[포켓몬스터 로스트실버]]의 [[심향|골드]]과 대결하는 모드. 1.5 업데이트로 전반적으로 새 모드라고 해도 될정도로 상당히 많이 달라졌다. {{{#!folding [노래 목록] GO TO SLEEP 위크에선 보프와 걸프가 숲에서 길을 걷다가 가면을 쓴 [[Jeff the Killer|제프 더 킬러]]를 만난다. 첫 곡은 '''SDAMOS'''이며 난이도는 무난하다. 그러다 두번째 곡 '''Sleeping Tragedies'''에선 제프 더 킬러가 가면을 벗은 채로 대결한다. 난이도가 조금 올라갔다. 세 번째 곡 '''Endless Sleep'''에선 폭타가 많이 나오지만 폭타를 끝내면 난이도가 쉬워진다. 마지막 곡 '''Endless Nightmare''' 보프를 베어버리고 제프 더 킬러가 미쳐버린다. 난이도는 조금 어렵다. !!DODGE!!라고 경고하면 스페이스 바를 눌러야하고 함정 노트인 칼 노트가 존재한다. 노래 중간에 숲이 불탄다. 노래가 끝나면 합성으로 공포가 두배가 된 제프 더 킬러 혐짤이 나오고 '''GO TO SLEEP'''라고 나오는데 시간 후에 ''' 씨끄러운 소리와 함께 화면 전체를 제프 더 킬러 혐짤로 가린다.''' 그 후 GOT YO ASS LOL이라는 단어가 나오며 플레이어를 놀린다. 2주차 HE'S LOOKING... 위크에선 숲으로 도망가서 회복한 보프와 걸프가 슬렌더맨을 만난다. 보프가 슬렌더맨에게 마이크를 건네주자 결국 노래를 한다. 첫 곡인 '''Tall Figure'''는 무난하다. '''Slender'''에선 반드시 쳐야하는 노트와 치면 안 되는 노트가 존재해 난이도가 조금 올라가지만 여전히 쉽다. '''Sight'''에서는 노트 속도가 빨라져서 난이도가 상승한다. 배경에 여자친구가 묶여있으며 마블 호넷 시리즈의 마스키와 후디가 뒤에 있다. 중간에 마스키가 오른쪽 채보의 높이를 바꾼다.--뻐큐는 덤이다.-- 후반부에 검은 화면에 스케치한 그림체로 변한다. 3주차인 IM DEAD 위크에선 보프가 포켓몬 게임기를 발견하고 걸프가 [[게임보이]]를 가지고 있다 해서 게임기에 넣는데 게임기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모다피 탑에서 [[포켓몬스터 로스트실버]]의 [[심향|골드]]를 만난다. 골드는 보프를 레드로 착각하고 랩배틀을 한다. 첫번째 곡 '''Champion Battle'''의 난이도는 어렵지 않다. 싸움도중 골드는 안농의 눈이 뜨더니 팔이 짤리고 비명을 지른다. '''Uncertain Demise'''에선 골드가 포기할수 없다며 다시 도전한다. 하지만 보프는 제프 더 킬러때랑 달리 무서워하긴 커녕 오히려 비웃으며 도발한다. 브케인의 공격을 스페이스바로 피해야된다. '''Lost soul'''에선 게임에서 나갈 준비한다. 갑자기 도중에 검은 화면에 얼굴만 나오는게 특징. 곡이 끝나면 평범해진 DPPT 포켓몬스터 엔딩 크레딧을 건너며 끝난다. 4주차에선 디스맨과 대결한다. 단일 곡으로 '''Dream This Guy'''가 있으며 체력바가 없는 대신 노트를 놓칠 때 마다 채보창의 명도로 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즉사 노트가 존재한다.}}} 이스터에그가 존재한다.[* 히든 곡의 경우 Free play에 수록되지는 않는다.] 찾는 방법은 IM DEAD 위크를 클리어해서 끝날 때 나오는 숫자를 메뉴 화면에서 치고 뜨는 입력 화면에서 특정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X키를 누르면 아래의 힌트들이 주어진다. * 힌트1 상식: 섀기가 놀랐을 때 하는 말은? {{{#!folding [정답(스포일러 주의)] zoinks입력. 치면 섀기의 "zoinks" 음성이 나오고 한 사람의 사진이 뜬다.}}} * 힌트2 빈칸 채우기: EPIC RAP BATTLES OF HISTORY!!!! ________ VERSUS SleNDERmAN {{{#!folding [정답(스포일러 주의)] eminem입력. 치면 히든 곡인 Epic Rap Battle을 플레이하게 된다. 플레이어 측으로 에미넴이 슬렌더맨과 대결하는 곡이다.}}} * 힌트3 상식: 팬들이 만든 작품들을 무엇이라 할까요? {{{#!folding [정답(스포일러 주의)] fanart입력. 치면 누군가의 팬아트가 뜬다.}}} * 힌트4 상식: 슬렌더맨과 대결 중에 여자친구를 포획한 두 사람은 누구일까요? {{{#!folding [정답(스포일러 주의)] masky and hoodie입력. 히든 곡 Trespasser를 플레이하게 된다. 슬렌더맨 3번째 곡에서 배경에 있던 마블 호넷 시리즈의 마스키,후디와 대결한다. 특이하게도 플레이어의 채보가 가운데에, 상대방의 채보는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체력바가 보이지 않는 대신 노트를 한 번이라도 놓치면 게임 오버된다.}}} * 힌트5 상식: 마운트 실버에서 골드가 대결한 사람은? {{{#!folding [정답(스포일러 주의)] red입력. 히든 곡 No Head Red를 플레이하게 된다. 플레이어 측으로 골드가 목이 잘린 레드와 대결한다.}}} * 힌트6 상식: 아기가 잠자도록 날 불러줘요, 난 무엇일까요? {{{#!folding [정답(스포일러 주의)] lullaby를 입력. 히든 곡 Lullaby를 플레이하게 된다. 플레이어 측으로 어린 여자친구가 제프와 노래하는 곡이다.}}} 그리고 버전 2가 출시된다는 화면이 나온다. 흰색으로 가려진 다섯 명의 캐릭터들이 있다.[* 추측하자면 첫번째가 [[히로빈]], 세번째가 [[Ben drowned]]이다.] 제프 더 킬러에게 게임오버되면 보프의 모자와 머리 사이가 칼에 꽂히고, 슬렌더맨에게 패배하면 얼굴이 표식에 의해 가려진다. 또한 골드에게 패배하면 손 한쪽만 남은채로 몸이 잘고 보프도 골드와 똑같이 유령이 된다. 2022년 2월 11일에 올라온 [[https://twitter.com/DrDaynaze/status/1491879700721020935|제작자 Daynaze의 트윗]]을 보면 El Taco는 [[Friday Night Funkin'/사건 사고/2021년#El Taco 발언 논란|발언 논란]] 때문인지 제작자 목록에서 탈퇴된 듯 하다. 1.0 버전이 게임바나나에서 삭제된 이유도 그것인듯. 하지만 El Taco 없이 제작할 것 같다고 [[https://twitter.com/DrDaynaze/status/1492187688207847427|한다]]. 이후 한국 시간 기준 2022년 5월 20일 새벽 4시쯤에 1.5 버전이 업데이트되었다. ===== Friday Night Slashing: Jeff The Killer ===== ||<-2> '''{{{+1 Friday Night Slashing: Jeff The Kill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30-90_61059bd848f14.jpg|width=100%]]}}} || || '''제작''' ||Dr. Daynaze[br]El Taco || || '''분류''' ||--실행파일[* Trepidation 모드가 출시되면서 삭제되었다.]--[br]Gamejolt || || '''출시''' ||2021년 7월 31일 || || '''최종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5.09만회[* 2021년 10월 26일, 원래 모드 사이트 기준][* Trepidation 모드가 출시되면서 삭제되었다.]--[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9.4천 회[* 2022년 5월 20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09995|[[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삭제됨)]]--[br][[https://gamejolt.com/games/Mods/643808|[[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위 모드의 업데이트 이전 버전으로, [[크리피파스타]]의 [[Jeff the Killer|제프 더 킬러]]랑만 대결하는 모드이다. 곡은 '''SDAMOS'''[* '''S'''weet '''D'''reams '''A'''re '''M'''ade '''O'''f '''S'''creams. 직역하면 '''달콤한 꿈은 비명으로 만들어진다.'''], '''Sleeping Tragedies''', '''Endless Sleep'''로 총 3곡이다. [[Friday Night Funkin'/사건 사고#El Taco 발언 논란|제작자 El Taco의 논란]]으로 인해 한번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모드이다. 현재 Friday Night Trepidation이 업데이트되어서 게임바나나에서 구버전이 삭제되었다. ==== Mic Of Time: Final Hours ==== ||<-2> '''{{{+1 Mic Of Time: Final Hou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2584.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Nom_lol[br]RaiGuyyy[br]Kahmelio[br]Kurri[br]RobedRed[br]Yoshi Dam[br]RBXJames[br]Mojo[br]Xarion[br]ChillTeensie[br]SpcG[br]GARBIE PATTIE[br]TigerShark900[br]Chase Redding[br]thebronjahames[br]Nebula+Zorua[br]Toastbutbutter[br]TackSFM[br]Diomana[br]muto157[br]Zflare_[br]Arievix[br]Izy_[br]OJogadorAnimador[br]Sally potatoe[br]luckiestzeus148[br]GalaxyOfJorgee[br]DaniDev}}}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0월 31일 || || '''최종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1.12만회[* 2022년 6월 24일, 게임바나나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2584|[[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 [[익사한 벤]] 괴담에서 나오는 캐릭터들과 대결하는 모드. ==== A Beautiful Day Outside ==== ||<-2> '''{{{+1 A Beautiful Day Outsi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5103.jpg|width=100%]]}}} || || '''제작''' ||McChomk[br]srPerez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23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2.84만회[* 2022년 9월 3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6.2만회[* 2022년 9월 3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5103|[[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vs-sans/673868|[[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 YTP Invasion V2 ==== ||<-2> '''{{{+1 YTP Invasion V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8983 V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V2 업데이트 이전의 썸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38983.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StashClub[br]agvids[br]mark[br]PSL3[br]Willow of the woods[br]Father Carmine[br]rosa_la_may[br]ChocoNic[br]MashProTato[br]SAKKth[br]Traveler_Snak[br]IGJH[br]Valonide[br]CircleMan[br]ZertyGB[br]Thieviouss[br]Ironik0422[br]santi1[br]dublicus[br]Lexicord[br]peakjuggler[br]saqzar[br]AveryDoesStuffs[br]LixianPrime[br]ItIsIWeeg[br]MrChompsAlot[br]Yamz[br]DexterTheStick[br]CarlosisST[br]Allen Roman}}}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27일 || || '''조회수''' ||10.42만 회[* 2022년 9월 3일, 게임바나나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8983|모드 주소]] || 이름 그대로 [[YouTube Poop]]의 캐릭터들과 싸우는 모드. ===== WEEGEE INVASION V3 ===== ||<-2> '''{{{+1 WEEGEE INVASION V3}}}'''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00460.jpg|width=100%]]}}} || || '''제작''' ||StashClub[br]lol4mehsussy[br]santi1[br]PSL3[br]LetterY[br]Bmv277[br]donut[br]dankypoyo|| || '''분류''' ||--실행파일[*삭제됨1 현재 이 모드에 대한 수많은 비난을 이겨내지 못한 제작자가 모드를 삭제하였다.]-- || || '''출시''' ||2021년 7월 1일 || || '''최종 조회수''' ||--11.02만 회[* 2021년 9월 4일, 게임 바나나 사이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00460|모드 주소]][*삭제됨1]--[br][[http://web.archive.org/web/20210802135802/https://gamebanana.com/mods/300460|모드 웨이백머신]] || 위 모드의 구버전으로, [[마리오 시리즈]]의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를 주제로 한 인터넷 밈인 [[루이지(마리오 시리즈)#WEEGEE|위지]]와 싸우는 모드. 아래의 모드의 V3버전이기도 하다. 노래는 총 4곡으로 '''Spaghetti''', '''Weegee''', '''Invasion''', '''Obsolete'''가 있다. '''Spaghetti'''에서는 위지가 보프를 발견하고 랩으로 보프를 없애면 다시 기억될 수 있다는 생각에 노래한다. 첫 곡 치곤 난이도가 매우 높으니 주의할 것. '''Weegee'''에서는 보프가 루이지치곤 무섭다고 하자 위지가 자신의 파워 레벨은 9000이 넘고 노래가 끝난후 자신의 이름을 알게될 것이라면서 노래한다. 난이도는 여전히 어려우며 노트가 상대와 자신에게 왔다갔다 하니 주의 할 필요가 있다. '''Invasion'''에서는 남자친구가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로 변한다. 배경에 갑자기 [[소닉 더 헤지혹#s-8.2|싸닉]]과 위티 머리를 들고 있는 모슈와 마리오가 나온다. 난이도는 어렵지만 위의 두 곡보다 확실히 쉬운 편이다. '''Obsolete'''에서는 남자친구가 원래대로 돌아온다. 그리고 위지는 남자친구이 보프에게 위지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이유를 말하는데 더 좋은 인터넷 환경에 있고 싶지만 보프가 그 자리에 있는데다가 쓰레기로 인터넷이 넘쳐흐르고 프나펑 먹방과 [[가챠라이프]] 비디오에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리고 자신은 예전엔 인기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잊혀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보프는 마지막 곡까지 응원하여 위지랑 노래하게 된다. 배경에 트롤지와 로보트닉, 가논돌프가 있다. 난이도는 폭락하여 첫번째 곡보타 더 쉬워진다. 보너스 곡에서는 kwaekman85라는 유저가 만든 '''Weegee (90's remix) Extended''' 영상의 노래를 부른다. 현재 이 모드에 대한 수많은 비난을 이겨내지 못한 제작자가 모드를 삭제하였지만 곧 위의 모드를 출시하였다. ====== Weegee ====== ||<-2> '''{{{+1 Weegee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30-90_6098adbc8bb6f.jpg|width=100%]]}}} || || '''제작''' ||StashClub||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5월 10일 || || '''조회수''' ||15.12만 회[* 2021년 12월 25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284978|모드 주소]] || 위 모드 보다 처음 만들어진 원래모드이다. [[Friday Night Funkin'/모드/V.S Zardy - Foolhardy|자디 모드]]에 덮어씌운 모드이므로 노래는 '''Weegee''' 하나밖에 없었다.[* 그리고 [[Friday Night Funkin'/모드/V.S Zardy - Foolhardy|자디 모드]]에 덮어씌운 모드이므로 노래제목이 [[Friday Night Funkin'/모드/V.S Zardy - Foolhardy#Foolhardy|Foolhardy]]라고 표시되어있다.] BPM은 자디 모드와 동일하나 연타가 많고, 시간이 더 짧다.[* 도중에는 위티의 계단+연타 패턴이 원작보다 빠르고 빽빽하게 들어오므로 왠만한 고인물 유저가 아니라면 이 부분에서 대부분 죽는다.] ==== FNF Battle Cats ==== ||<-2> '''{{{+1 FNF Battle Ca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44187.jpg|width=100%]]}}} || || '''제작''' ||{{{#!folding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Hazelpy[br]Egg Overlord[br]nylu[br]Da Butter Dog[br]CosmicFroggo[br]Disco Mosquito[br]Allan[br]Cerbera[br]MicklePickle[br]redpanzee[br]Ironik[br]pickle jar[br]That Awful Username[br]RandomThingsWIthJay[br]Pugsly[br]Feral[br]logie[br]hampter[br]st4r[br]AMBri[br]boi[br]Zeno[br]Sp00kyPump[br]WishingLime[br]MrCat}}}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2월 19일 || ||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5.78만회[* 2022년 9월 3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12.13만회[* 2022년 9월 3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44187|[[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BattleCats/644472|[[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냥코 대전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모드. ==== Vs. Beepie BF Lover ==== ||<-2> '''{{{+1 Vs. Beepie BF Lo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6207.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게임졸트에서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Vs. Beepie BF Lover Gamejolt.gif|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 데모 버전에서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336207 Demo.jpg|width=100%]]}}}}}} || || '''제작''' ||valengarfy[br]BRN101[br]Sickaric[br]Spr1ngy_Teze.39[br]Stickman__911[br]blueby87[br]kimakurus music[br]KoichiM4 {{{#!folding [ Special Thanks 펼치기 • 접기 ] Fore_8040[br][[bbpanzu]][br]Otomania[br]GenoX[br][[RetroSpecter]]}}} || || '''분류''' ||실행파일[br]--Gamejolt[*삭제됨2]-- || || '''출시''' ||2021년 11월 15일 || || '''최종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0만 회[* 2022년 4월 20일, 게임바나나 기준][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3천 회[* 2022년 4월 20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6207|[[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br]--[[https://gamejolt.com/games/beepie/664062|[[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삭제됨2]-- || 보프의 팬걸인 '''비피(Beepie)'''와 대결하는 모드. 곡은 튜토리얼의 '''Polkka'''와 비피 위크의 '''Stalker''', '''Together Forever''', '''Mine''', '''That I Need''', '''Its Ok'''까지 총 6곡이다. 이 모드는 카메오가 참 많다. {{{#!folding [ 카메오 목록 펼치기 · 접기 ] * [[위티]] * [[Friday Night Funkin'/모드/Sarvente's Mid-Fight Masses|Sarvente's Mid-Fight Masses 모드]] * [[사르벤테]][*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FRIDAY NIGHT FEVER + TAKI'S REVENGE|타키]]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 [[루브(Friday Night Funkin')|루브]][* [[행크 J. 윔블턴]]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 [[가셀로]] * [[하츠네 미쿠(Friday Night Funkin')|하츠네 미쿠]] * [[헥스(Friday Night Funkin')|헥스]] *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Entity Origins: BREAKOUT|Entity Origins: BREAKOUT 모드]] * 다이뎀[* [[솔라자르]]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 실험체 06[* [[아고티]]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 [[타비(Friday Night Funkin')|타비]][* --강제로--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1분기#Ex-GF Over Mom Mod|아야나]]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타비(Friday Night Funkin')|아야나]][* [[타비(Friday Night Funkin')|타비]]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 [[Friday Night Funkin'/모드/VS IMPOSTOR + LOGGO'S HALLOWEEN/등장인물#빨간 임포스터(Red Impostor)|빨간 임포스터]] * [[Friday Night Funkin'/모드/literally every fnf mod ever (Vs bob Week)|literally every fnf mod ever 모드]] * [[Friday Night Funkin'/모드/literally every fnf mod ever (Vs bob Week)#밥(Bob)|밥]] * [[Friday Night Funkin'/모드/literally every fnf mod ever (Vs bob Week)#론(Ron)|론]] * [[Friday Night Funkin'/모드/literally every fnf mod ever (Vs bob Week)#리틀 맨(Little Man)|리틀맨]] * [[카피(Friday Night Funkin')|카피]] * [[Friday Night Funkin'/모드/Doki Doki Takeover!#모니카 (Monika)|모니카]] * [[Friday Night Funkin'/모드/V.S. Shaggy#섀기 (Shaggy)|섀기]] * [[Friday Night Funkin'/모드/Mii Funkin'/Vs Matt(Wii Funkin')#오스카 (Matt)|오스카]] *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Minus|Minus 모드]] *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Minus#베타 남자친구(Beta Boyrfiend/Beta BF)|베타 남자친구]] *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Minus#못된 남자친구(Mean Boyfriend/Mean BF)|못된 남자친구]][* [[동물의 숲 시리즈]]의 [[동물의 숲 시리즈/일반 주민/고양이#히죽|히죽]]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FRIDAY NIGHT FEVER + TAKI'S REVENGE|Friday Night Fever 모드]] * [[CesarFever#오너캐|피버]] * 티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VS RetroSpecter IPU UPDATE|레트로스펙터]]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Vs. Camellia|카멜리아]]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2분기#Salty's Sunday Night|오피밥]] * [[Friday Night Funkin'/모드/Mii Funkin'#Vs. eteled|에텔레드]]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Stickman VS Friday Night Funkin'|잭(스틱맨)]]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2분기#V.S. Pompom|폼폼]]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2분기#Peculiar Colours|코랄리]] * [[bbpanzu]]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Vs Arch|Arch]] * [[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Friday Night Funkin' - V.S Pou|포우]] --밥(밥앤보십)--[*a. 데모 버전 한정] * [[샌즈]] * [[행크 J. 윔블턴]] * [[매드니스 컴뱃/등장인물#2BDamned / Doc|2BDamned]] * 니쿠 * XJ9/제니 * 포어 * 발렌가피 * 카이트 * [[StickyBM]] * Sickaric * Spr1ngyTeze * Stickman911 * Kimakurus * BRN101 * Blueby87 * Maavo}}} 이 모드에서 남자친구는 [[하츠네 미쿠]]의 코스프레를 하고 있고, 여자친구는 [[냥캣]]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또한 랩배틀 중 여러 모드의 캐릭터들이 코스프레를 한 채 지나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제작진이 모종의 이유[* [[Neonight]] 혹은 극성 팬덤 으로 인한 것 으로 보인다]로 비공개 처리 했었으나 최근 게임바나나 페이지가 돌아왔다. === 커스텀 음악 === [[https://gamebanana.com/mods/cats/3819?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19&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New Songs]] [[https://gamebanana.com/mods/cats/3821?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21&_sSort=Generic_MostViewed|(+ Skins)]]로 분류된 모드들. 원판이 리듬 게임인 만큼 새로운 음악은 언제나 수요가 높기 때문에 실행파일 못지않게 인기 있는 모드들도 있다. === 리믹스/커스텀 채보 === [[https://gamebanana.com/mods/cats/3825?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25&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Remixes/Recharts]] [[https://gamebanana.com/mods/cats/3826?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26&_sSort=Generic_MostViewed|(+ Skins)]]로 분류된 모드들. === 스킨 === [[https://gamebanana.com/mods/cats/3833?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33&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Skins]]로 분류된 모드들. 창작곡이나 실행파일을 포함할 순 있지만 본질적으로 등장인물의 모습을 바꾸는 모드들이다. === 배경 === [[https://gamebanana.com/mods/cats/5064?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5064&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Stages]]로 분류된 모드들. 등장인물보다는 배경을 바꾸는 데 중점을 두는 모드들이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https://gamebanana.com/mods/cats/1931?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1931&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User Interface]]로 분류된 모드들. 대부분 아이콘, 화살표 등의 UI 스킨들이다. === 번역 === [[https://gamebanana.com/mods/cats/3828?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828&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Translations]]로 분류된 모드들. 말그대로 공식 혹은 모드들을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번역한 모드들이다. === 기타 === [[https://gamebanana.com/mods/cats/3046?_nPage=1&_aFilters%5BGeneric_Category%5D=3046&_sSort=Generic_MostViewed|Mods - Other/Misc]]로 분류된 모드들. 대부분 파생 모드인 경우가 많지만 가끔 파생 모드가 아닌 경우도 있다. === Gamejolt === [[GameBanana]]가 아닌 [[Game Jolt]]에만 올라온 모드이거나 GameBanana에서 삭제되고 ''' 공식 링크'''로 Game Jolt에서만 남아있는 모드들. ==== [[Friday Night Funkin'/모드/Indie Cross|Indie Cros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riday Night Funkin'/모드/Indie Cross)] ==== Friday Night Funkin' - Vs Huggy Wuggy (Demo) ==== ||<-2> '''{{{+1 Friday Night Funkin' - Vs Huggy Wugg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s Huggy Wuggy.png|width=100%]]}}} || || '''제작'''[* 취소된 풀버전 크레딧이다.] ||KJ Elliott[br]Fidy50[br]DToons[br]Fries.fla[br]Nylu[br]Piggyfriend1792[br]Sayge3D[br]BAnims || || '''분류''' ||Gamejolt || || '''출시''' ||2021년 10월 25일 || || '''조회수''' ||31.52만 회[* 2022년 4월 10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jolt.com/games/huggywuggyfnf/657741|모드 주소]] || [[Poppy Playtime]]에서 나오는 장난감 인형인 [[Huggy Wuggy|허기 워기(Huggy Wuggy)]]와 대결하는 모드. 노래는 [[Poppy Playtime]]의 메인화면 bgm을 리믹스한 '''Playtime'''이라는 곡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배경은 허기 워기가 처음으로 쫓아오는 곳. 노래 길이는 '''3분 46초'''로 [[Friday Night Funkin'/모드/V.S Zardy#Foolhardy|Foolhardy]]보다 4초 더 길지만 난이도는 크게 어렵진 않다. 계단 패턴을 제외하면 무난한 편. 여담으로 노래가 동심을 자극하고 좋다는 반응이 많다. 은근히 암울한 느낌이 든다. 여담으로 초기에는 허기워기의 모션이 몸만 살짝 돌리는 수준이였지만 업데이트로 [[https://www.youtube.com/watch?v=cyR4wAlVq7U|모션이 좀 더 역동적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마이크를 들지 않고있는 캐릭터들이 취하는 모션과 같은 공통점을 그대로 띄고있어서 호불호가 좀 있다.] 최근 들어 Poppy Playtime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 이유인지 이 모드 또한 아직 데모인데도 불구하고 가뿐히 조회수 10만을 넘기는 등 빠르게 인지도를 얻고 있다. 원래 [[Mommy long legs]]가 나오는 업데이트가 예정되어있었으나 원작 [[Poppy Playtime]]의 개발자가 [[Poppy Playtime#개발자 Enchanted Mob의 NSFW 및 과거언행 논란|각종 논란들]]을 일으키자 이에 제작자 KJElliott가 Poppy Playtime에 정떨어져서 취소했다고 [[https://twitter.com/KjEll1ott/status/1496302765030662151|밝혔다]]. ===== VS Huggy Wuggy (replaced) ===== ||<-2> '''{{{+1 VS Huggy Wuggy (replac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79a75dd0921.jpg|width=100%]]}}} || || '''제작''' ||BRJC333 || || '''분류''' ||--커스텀 음악 + 스킨[*삭제됨 제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만든 모드라서 삭제되었다.]-- || || '''출시''' ||2021년 10월 27일 || || '''조회수''' ||~~16.15만 회[* 2022년 1월 3일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1387|모드 주소]][*삭제됨]~~ || 허기 워기의 2, 3페이즈가 추가되는 팬메이드 모드. '''Playground'''에선 노래가 2분 2초이지만 주제가가 나온채로 목소리가 바뀌고 속도가 빨라진다. 그 후 노래가 멈추면 다시 노래를 하는데 갑자기 '''배경이 흔들리고 허기 워기의 눈이 검은색으로 변하더니 여자친구를 차버리고 흰 눈동자가 생기며 화면이 검게 변한 상태로 노래를 한다.''' 모션이 바뀌고 목소리가 이상해지며 난이도가 매우 급상승한다. 특히 빠르게 내려오는 계단 패턴의 난이도가 높은 편. 그 후에는 다시 쉬워진다. '''Play'''에선 노래가 1분 46초이다. 처음엔 무난하지만 두번째 턴에서 [[Friday Night Funkin'/모드/V.S. Whitty#s-4.1.3|Ballistic]] 못지 않은 '''16비트 계단폭타가 내려온다.''' 그 후엔 긴 채보만 나오다가 이후 41초 부근에서 '''엄청난 폭타가 나온다.''' 이후 계속 폭타가 나오므로 주의하자. 제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만든 모드라서 삭제되었다. === 그 외 === [[GameBanana]], [[Game Jolt]]이외의 사이트에 올라왔거나, 비공개 혹은 삭제된 모드들. ==== VS. Cassette Girl ==== ||<-2> '''{{{+1 VS. Cassette Gir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NF mod 339085.jpg|width=100%]]}}} || || '''제작''' ||mongmong[br][[Saruky__]][br]shadowfi[br]Chromatical || || '''분류''' ||실행파일 || || '''출시''' ||2021년 11월 27일 || || '''최종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31.62만 회[* 2023년 7월 28일, 게임바나나 기준] [br][[파일:게임졸트.png|width=20]]2.14만 회[* 2022년 8월 26일, 게임졸트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gamebanana.com/mods/339085|[[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비공개)[br][[https://gamejolt.com/games/vs-Cassette-girl/667350|[[파일:게임졸트.png|width=20]]모드 주소]] || Newgrounds에서 활동하던 유명 유저인 SoftDon의 자캐이자 Friday Night Funkin'의 티저에 출시 예정이라고 나온 4명의 캐릭터들[* 나머지는 [[피코(Newgrounds)|피코]], 탱크맨, [[행크 J. 윔블턴]]] 중 하나인 '''[[Friday Night Funkin'/등장인물#카세트 걸(Cassette Girl)|카세트 걸(Cassette Girl)]]'''과 대결하는 위크를 팬들이 추측해서 만든 모드이다. 카세트 걸의 목소리가 상당히 독특한데, 성우를 채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수록곡은 '''Ukiyo''', '''Earworm''', '''Machina''', Freeplay의 '''Soda Groove''', '''City Funk'''까지 총 5곡이다. 메인 화면의 모습이 바뀌고 채보를 칠 때마다 채보의 색깔로 효과가 생기는 등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하는 모드이다. OST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여담으로 팀장이자 애니메이션을 맡은 mongmong은 한국인이다. 2023년 7월 28일에 발생한 원작자 SoftDon의 성폭행 논란으로 인해 게임바나나에서 비공개 처리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다른 카세트걸이 출연하는 모드나 혹은 포함된 모드들은 비공개 처리 하겠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riday Night Funkin'/모드, version=4452, title2=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 version2=1483), title3=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 version3=2015, paragraph3=2.2.14, title4=Friday Night Funkin'/모드/2021년/3분기, version4=2618, paragraph4=2.9.1)] [[분류:Friday Night Funkin'/모드/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