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게임을 실행하면 프나펑 인트로가 나오는데 갑자기 어떤 음악과 함께 메세지 하나가 뜬 후 음악이 바뀌더니 '''현실적인 눈을 크게 뜬 미키 마우스의 혐짤'''[* 흔히 자살하는 쥐 괴담과 함께 떠돌아다니는 짤이다.]이 있는 엔터를 눌러 실행하는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엔터를 누르면 경고 메세지가 뜨며 메인 메뉴로 이동한다. 여담으로 이 모드에서는 여자친구가 나오지 않으며, 남자친구의 스킨으로 바꿀수있다.[* 머리카락은 검은색으로 바뀌었으며, 미키 마우스가 입는 바지와 신발을 입고 옛날식 마이크를 들고 있다.][* 그리고 남자친구가 미스를 낼 때마다 남자친구의 얼굴이 '''위에 나온 미키 혐짤로 바뀐다.'''][* 여자친구는 굿엔딩 컷신에만 나온다.] 또 만약 ESC나 Enter키를 누르면 사탄이 나타나 멈추지 못하게한다. == WEEK 1 == WEEK 1을 시작하면 컷신이 나온다. 어느 아름다운 수요일 아침, 미키는 미니가 어떤 키가 큰 멋진 쥐에게 말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건 미니가 그 쥐의 매력에 푹 빠지게 했고 그녀는 이제 그의 품 안에 있다. 미키는 외로워하고 두려워하며 계속 [[https://gamejolt.com/games/wednesdayinfidelity/672074#screenshot-1213294|도로]]를 걷다가 남자친구를 발견했고 나레이션은 아마도 남자친구가 미키에게 도움이 될거라 말한 후 계속 검은 화면만 나오다가 '''또 미키 혐짤이 나온다.''' === Wistfulness === 우울한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Sunday Night Suicide 모드의 '''Unhappy'''처럼 [[증기선 윌리]]의 휘파람 소리를 노래로 부르며 난이도는 쉽다. 중간에 미키가 몸을 떨다가 '''눈이 하얗게 변하고 고통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흑백 만화에서는 볼 수 없는 붉은색의 피눈물을 흘리다''' 원래대로 돌아온다. 이때부터 화면이 흔들리고 채보창이 깜빡거리니 주의. 노래가 끝난 후 컷신에서는 미키 마우스가 몸을 떨며 수상하게 미소를 짓는다. === Dejection === 미키 마우스가 몸을 떨지 않은 채로 미소를 짓지만 노래를 부르지 않는 상태일 때 잠시동안 표정이 Wistfulness 중간에 나온 고통스러워하는 표정으로 바뀐다. 이 노래부터 미키가 노래를 부를 때 마다 게이지가 깎이니 주의. 난이도는 쉽지만 중간에 미키가 비정상적으로 웃더니 화면이 검어지며 웃는 노트가 내려오는데 누르면 몇 초 동안 '''얼굴이 녹아내린 미키의 점프스케어가 나와 화면을 가리니 주의.'''[* 다만 이 노트는 업데이트로 사용되지 않게되었다.] 후에도 난이도는 화면이 흔들리거나 게이지가 밀리므로 살짝 까다로워졌지만 노트만 잘 보면 쉽다. 다만 노래가 2분 51초로 꽤 긴 편이고, 곡 후반부에 약한 폭타가 내려오니 집중하자. === Unknown Suffering === 초반부에는 '''Dejection'''에서의 모습이었다가 기괴하게 웃는 채로 주사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변하는 미키 마우스랑 대결한다. 노트 수가 상당히 많은 데다가 속도도 꽤 빨라 꽤나 어렵다. 또한 노래 초중반에 암전 효과와 함께 미키 마우스의 스프라이트가 바뀌는데[* 자살하는 쥐 영상을 유튜브에 찾아보면 나오는 영상 중에 이와 같은 모습이 있다, [[#Sunday Night Suicide|Sunday Night Suicide 모드]]의 곡인 '''Really Happy'''의 미키 마우스와 비슷한 모습인 이유.][* 업데이트로 처음 모습이 바뀐 이후 다음 파트에 바로 이 모습이 된다.], 이 때부터 주사기를 던지는 패턴이 나온다. 주사기는 Space로 피하고 맞으면 얼굴이 잠깐 변하고 체력이 조금 차지만 노트 속도가 빨라지고 화살표도 위치가 조금씩 움직이고 조금 회전한다.[* 심하면 '''채보끼리 겹칠수 도 있다.'''] 가로막힌 문의 판자에 IM DEAD라고 적혀있다 --[[포켓몬스터 로스트실버|어?]]-- 또 업데이트로 시간 기믹이 생겼는데,원래는 2분 1초짜리 곡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2분 54초이며''',2분 1초가 되면 시간이 늘어난다.''' 이후 곡을 클리어하면 해피루트나 베드루트로 나뉜다. 루트의 조건은 미스 갯수로,30회 미만이면 해피,이상이면 배드이다. === 해피루트 === ==== Sunsets[* 일몰이라는 뜻도 있지만 '''종말이라는 뜻도 있다.'''] ==== 이후 미키가 남자친구를 건드려고 할때 뒤에서 미니가 말린다, 그리고 남자친구한테 키가 큰 멋진 쥐와 자기는 아무 사이도 아니라고 얘기한다. 이후 다시 남자친구와 미키는 다시 랩배틀을 한다. 에서는 평범한 모습으로 돌아온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난이도는 많이 쉽다. 클리어를 한 이후 걸프가 나타나며 해피엔딩...인줄 알았는데,나레이터가 보프가 미키의 운명을 바꿔버렸다며 어두운 목소리로 변하며 미키의 머리를 '''터트려버린다.'''[* 나레이터가 터트린것으로 정체는...] 이후 화면이 검어지며 다음 곡이 나온다.[* 서술했듯이 Sunsets는 종말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일종의 복선인 셈.] ==== Versiculus Iratus ==== 미키 마우스로 플레이하며 사탄 체르노보그와 대결한다. 초반부에는 망토를 입은 슬픈 악마이지만,잠시후 갑자기 뒤에서 머리만 있는 체르노보그가 나타나며 거대한 본모습이 된다. 또 미키는 쇠사슬이 묶여있고,배경은 지옥에서 해골들이 움직인다. 후반부에는 머리만 있는 체르노보그가 화면에서 웃고,미키가 공중에 뜨며 글리치가 일어난다.[* 이 모습중 체다치즈나 줄리안의 얼굴이 보인다.] 이후 화면이 어두워지며 끝 === 배드루트 === ==== Last Day ==== 미키가 총을 머리에 대 자살을 하려하고 보프의 뒤에서 글리치가 있는 균열이 생긴다. 곡 분위기가 암울하고,난이도는 '''Sunsets'''와 비슷하다. 결국 미키는 자살하고 보프는 어디론가 이동된다. 도착한 곳은 다름아닌 지옥. 그리고 그곳에서 '''죽었던 미키 마우스를 만난다.''' 이후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사탄이 되고 사탄이 모습을 드러내며 다음곡이 시작된다.[* 해피루트 에서도 그렇듯 나레이터가 미키의 머리를 터트리므로 사탄이 터트린거다] ==== Hellhole ==== 미키마우스와 대결한다.[* 어째 미묘하게 트리키 모드 배경과 비슷하다(...)]초반에는 '''Dejection'''의 모습이었다가,이후 '''Unknown Suffering'''의 두번째 모습이되었다가,중간에 모습이 또 바뀐다. 또 사탄이 중간에 난입하여 대결하다가 사라진다.[* 참고로 등장을 할때 나오는 소리가 밈에 사용되는 굵은 비명소리다(...).] 이후 계속 노래를 부르다 곡이 끝난다. 참고로 이 곡은 이 모드에서 가장 긴 곡이며[* '''무려 5분 10초라는 길이이다!'''], Week 1 곡들중 유일하게 프리플레이에서 봇플레이 사용이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어두워지며 끝 == WEEK 2 == '''Carnival in Toyland'''에서는 Brick of Friendship 2주차의 주요 적인 줄리안(Julian)과 대결한다. '''Spring March'''에서도 줄리안과 대결하며,난이도는 조금 올라갔다.Week2의 스토리는 미키코스튬 안에 있던 원숭이가 숨이 막혀 죽고 [[FNaF|미키코스튬과 한몸이 되었다는 스토리다.]] WEEK3 '''Cravings'''에서는 체다치즈를 갈망하는 기괴한 미키와 대결한다.초반에 너를 사랑해 노래를 부르다가 화면이 검어지고 '''Father...I Craving Cheddar...(아버지...저는 체다를 갈망해요...)'''라고 한다. '''Hunger Pangs'''에서도 앞에 노래를 부르다 화면이 어두워진후 '''Father...II crave more...(아버지...저는 더 갈망해요...)'''라고 말한다. 이후 곡이 빠르고 조금 밝아진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점점 느려지다 피아노를 쾅 치는 소리와 함께 끝난다. 여담으로 Week 1,Week 2,Week 3들은 세계관이 이어지는 스토리이다. Freeplay로 할수있는 "Vesania"도 세계관이 이어진다 [* Vesania 내용은 지옥에서 죽기를 3번 반복한 미키가 완전히 미쳐서 사탄이 보프와 미키 둘을 대결시키며 둘이 누가 먼저 죽는지 지켜보는 것이다..] == Freeplay == === Battered === 행크의 마스크를 쓴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마스크라던가 대기 모습을 보면 행크 챌린지에 나오는 행크와 매우 같지만 곡은 Accelerant가 아닌 Antipathy 모드의 Battered라는 곡을 사용했다.] 노트 속도가 빠르고 채보도 많이 내려오며[* 동타가 '''거의 기본 패턴 수준'''으로 내려오며, 중반부에 폭타가 나오는데 난이도가 꽤 높다.] 곡의 길이도 길어 어렵다. === Untold Loneliness'''[* 뜻은 '''말하지 않은 외로움'''으로, 작중 오스왈드가 심히 피폐해진 이유가 이때문일 수도 있다.] === [[오스왈드 래빗|'''오스왈드''']][* 정확히는 D-Side 미키 마우스]와 D-Side 남자친구가 대결한다. 미키가 주사기였다면 오스왈드는 권총으로 원본인 '''Unknown Suffering'''이 D- Side로 리믹스 되면서 아이콘도 D-side처럼 서로를 마주보는 형태로 바뀌었으며 메인 부분 비트가 더 신나졌고 도중에 대사가 나오는 것이 특징. 처음에 오스왈드가 {{{#red Alright, Alright. '''Let's get this over with.'''}}}[*해석 {{{#red 알았어, 알았어. '''이걸로 끝내보자.'''}}}]이라고 말하고 시작한다.후반부엔 오스왈드가 D-Side의 마이티.Zip 처럼 어떤 시를 외우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In the end, We all... {{{#red DIE.}}} >결국 끝에는, 우리 모두...{{{#red 죽어.}}} >Why should I, even try? >그런데 왜 나는, 노력해야 할까? >Gun in hand, {{{#red My life shall end...}}} >이 손에 쥐어진 총으로, {{{#red 내 삶은 끝나겠지...}}} > {{{#red '''MY SUFFERING SHALL BE KNOWN, FRIEND!'''}}} >{{{#red '''내 고통이 알려지겠지, 친구!'''}}} 이후 오스왈드가 미친듯이 웃으며[* 웃음소리를 잘 들어보면 흐느끼는 것 같아도 보인다.] 보프의 턴이 끝날 즈음 손에 쥐던 권총으로 '''자기 머리를 쏴버리지만, 총알이 뇌를 관통하는 대신 눈에 맞아버려 생존한다.'''[* 오스왈드의 이명이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Oswald The Lucky Rabbit)인데, 이때문인지 미키와 달리 자살 시도조차 [[코마에다 나기토|운에 막혀버려 실패한듯 하다.]] 오스왈드도 못마땅하는듯 짜증내하는 신음소리를 내며 곡에 돌입한다.][* 유출러,임포스터를 제외한 나머지의 D-Sides 디자인은 파일에 있다.] === leak my balls === 미키는 마침내 네 번의 환생을 맞이했을 때(너무 느린 앙코르를 정식으로 간주한다면) 사탄을 자신의 반대편으로 완전히 받아들이기로 결정하고 두 사람은 팀을 이루어 루이스와 펠리페라는 이상하게 생긴 두 남자를 상대합니다. 유출자였습니다. 공교롭게도 오스왈드는 머리에 총을 겨누고 테이블에 앉아 근처에 도착했습니다. 바보들과 미키와 사탄 사이의 랩 배틀이 끝난 후, 오스왈드는 앞서 언급한 총을 자신의 머리를 향해 발사하지만, 그의 터무니없는 행운으로 인해 그의 뾰족한 슛이 빗나가고 운 좋게도 유출자를 맞았습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riday Night Funkin'/모드/Wednesday's Infidelity, version=58, paragraph=3)] [[분류:Friday Night Funkin'/모드/스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