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영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G3battlecruiserModel.jpg|width=100%]] || || [[파일:xBmwABa.jpg|width=100%]] || || {{{#white '''G3 Class Battlecruiser'''}}} || [목차] == 개요 == G3급은 48,400톤급의 엄청난 [[배수량]]을 자랑하는 [[영국]]의 [[순양전함]] 계획명이다. == 제원 == ||<-3> {{{#fff {{{+1 '''G3급 순양전함'''}}}[br]''G3-class battlecruiser''}}} || ||<-2> '''이전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어드미럴급]] || ||<-2> '''계획''' ||<|2>4척 || ||<-2> '''취소''' || ||<-2> '''기준배수량[* 표준배수량이라는 말은 각국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뜻이 다름]''' ||49,200톤 || ||<-2> '''만재배수량''' ||54,774톤 || ||<-2> '''전장''' ||260.9m || ||<-2> '''전폭''' ||32.3m || ||<-2> '''흘수''' ||만재 시 10.9m || ||<-2> '''승조원''' ||1,716명 || ||<-2> '''출력''' ||160,000SHP || ||<-2> '''최고 속력''' ||32노트 (약 59km/h) || ||<-2> '''항속거리''' ||16노트 (약 30km/h) 순항 시 13,000km || ||<|3> '''동력''' ||<|2> '''기관''' ||[[보일러]] 20기 || ||[[증기 터빈]] 4기 || || '''추진''' ||4축 [[프로펠러]] || ||<|5> '''무장''' || '''주포''' ||3연장 BL 16인치 Mk.1 [[함포]] 3기 || ||<|3> '''부포''' ||2연장 BL 6인치 Mk.22 함포 8기 || ||BL 4.7인치 [[대공포]] 6문 || ||8연장 [[2파운더]] 40mm 대공포 4기 || || '''어뢰[* 주력함은 어뢰로 대잠공격을 하지 않음]''' ||622mm [[어뢰]] 발사관 2문 || ||<|6> '''장갑''' || '''측면''' ||305 ~ 356mm || || '''갑판''' ||76 ~ 203mm || || '''바벳[* 포곽은 케이스메이트 형식의 부포곽 같은 것을 말함. 주포탑 바벳은 그냥 바벳으로 부름]''' ||279 ~ 356mm || || '''주포탑''' ||203 ~ 444mm || || '''장갑함교''' ||203mm || || '''격벽''' ||254 ~ 305mm || == 상세 ==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계획해서 속력은 32노트까지이며 장갑도 측면 300mm가 넘는 등 사실상의 [[고속전함]]인 물건이다. 16인치 3연장 주포탑 3기를 장착했다. 이런 물건이 순양전함으로 분류된 이유는 상대적으로 빠르지만 약하고 방어력도 부족하다는것인데, 그 비교대상이 N3급 전함으로 18인치 3연장 주포탑 3기[* [[야마토급 전함]]과는 0.1인치 작은 구경, 같은 수다.]를 장착한 거함이었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K2/K3급 순양전함|K2, K3라는 계획]]이 있었고, 18 인치 3연장 주포탑 3기를 장착하고, 실루엣은 [[어드미럴급 순양전함]]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함선을 만들려고 했다. 배수량은 52,000 톤을 넘겼고 리버풀을 제외하면 정박 가능한 곳이 거의 없을정도의 거체였다. 결국 이를 15 인치 주포로 바꿔 계획해서 [[J3급 순양전함|J3]]라는 계획안이 나왔고, 10,000 톤 가까운 배수량을 줄였다. 이후 장갑을 증설하고 주포를 16.5 인치로 키우는 대신, 주포탑을 4개에서 3개로 줄인 것이 G3 개념안이며, 최종적으로는 엔진 출력을 18 만 마력에서 1 6만 마력으로 줄이고, 주포의 구경을 16.5인치에서 16인치로 줄이는 선에서 실제 건조될 G3 의 설계안이 완성된다. 함명은 최초의 순양전함인 [[인빈시블급]]과 후속함인 [[인디패티거블급]]에 사용된 이름을 전용할 계획이었다. 즉, 인빈시블을 네임쉽으로 하여 인도미터블, 인디패티거블, 인플렉시블로 명명하려고 하였다. 처음엔 4척을 주문했고, 중량탄을 발사하던 기존 15 인치와는 달리 경량 고속탄을 발사하는 컨셉으로 기획된 16 인치 주포의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하지만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서 35,000톤을 초과하는 주력함의 건조가 금지됨에 따라서 N3는 물론 G3 4척의 건함 계획도 모두 취소된다. 이후 G3급의 설계를 기반으로 크기를 축소하고 몇몇 부분을 변경한뒤, 16 인치 주포의 시제품을 유용하여 건조된 전함이 바로 [[넬슨급 전함]]이다. 전함을 건조하는데 같은 전함인 N3급이 아니라 순양전함인 G3급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N3급의 경우 18 인치의 거포를 탑재하는 사양이었기 때문에 그 설계를 유용할 경우 설계 변경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예상되었다. 둘째, 영국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조인될 당시, 16 인치 주포를 탑재한 전함 쿼터를 2척을 받았지만, 유일하게 16인치가 없는 국가여서 시급하게 타국 대비 전함 화력의 열세를 극복해야 했다. 그런 까닭에, 원래부터 16인치 주포를 탑재할 예정이었던 G3급의 설계를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넬슨급 전함은 G3급보다 N3급의 영향을 더욱 강하게 받았다는 견해도 있다. 외형도 N3급을 더 닮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넬슨급 전함|항목 참조]] === F2/F3 순양전함 설계안 ===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주력함의 배수량에 제한이 생기자 영국 해군에서 [[넬슨급 전함]] 초기 설계안인 O3 전함 설계안과 함께 고려했던 설계안이다. 두 설계안 모두 15 인치 함포 3기가 전방에 배치된 형태였고 표준 배수량 35,000 톤 제한에 맞춰 설계되어 G3보다 약 30 m 정도 짧은 전장을 가지고 있다. F2 설계안은 15 인치 연장포 3기를 탑재할 예정이었고 F3 설계안은 F2 설계안에 비해 부함포와 장갑을 어느 정도 줄이고 15 인치 3연장포 3기를 탑재할 예정이었다. == 매체에서의 등장 == * [[Naval Creed:Warships]]에서 [[Naval Creed:Warships/영국 테크 트리/전함 #s-1.3.5|영국 순양전함 5티어 1차 전함]]으로 등장하고 높은 화재율과 기묘한 장갑으로 어떤 적이건간에 활활 태우고, 빠른 속력을 지닌 전함이다. 다만 철갑 관통이 안 좋고 3번포탑각 또한 상당히 안 좋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못생긴 전함이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고. * [[전함소녀]]에서 [[인빈시블(전함소녀)]]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기사 컨셉으로 풀 플레이트아머로 무장했으며 심지어 헬멧까지 썼다. [[파일:UK_T9_DUNCAN.jpg]]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영국 9티어 전함으로 등장. * [[대영제국 함장이 되었다]]에서 인빈시블급 순양전함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세계 대전]] [[분류:순양전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영국군/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