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89><-2> '''{{{#FFF {{{+1 GM 윌밍턴 공장}}}[br]GM Wilmington Assembly, D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M 윌밍턴 공장.png|width=100%]]}}}|| ||<-2> '''개요'''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위치''' ||[[델라웨어 주]] 뉴캐슬 카운티 윌밍턴 || || '''상세 주소''' ||801 Boxwood Road, Wilmington, DE || || '''우편 주소''' ||19804 || || '''개장 연도''' ||[[1947년]] || || '''폐쇄일''' ||[[2009년]] 7월 28일 || || '''소유 기업'''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2001-2010).svg|width=30]] [[제너럴 모터스]] || || '''좌표''' ||북위 39도 43분 42.37초[br]서경 75도 36분 41.26초 || ||<-2> '''지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801 Boxwood Rd,너비=100%,높이=250px)]}}}||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델라웨어 주]] [[윌밍턴]]에 위치해 있었던 [[제너럴 모터스]]의 자동차 제조 공장이었다. == 역사 == [[델라웨어 주]] [[윌밍턴]] 801 박스우드 로드에 위치해 있었으며, [[1947년]], 전후 세워진 공장이자 [[뷰익]]-[[올즈모빌]]-[[폰티악]](B-O-P)의 관리 하에 있던 공장이었다. 공장의 운영 방식은 초기 GM이 택했던 차량이 한 곳에서 시작되는 허브 공장이 특징[* 과거 [[쉐보레]], [[올즈모빌]], [[뷰익]], [[캐딜락]], [[GMC(자동차)|GMC]]와 같은 기업들은 본 공장과 [[1933년]]에 미국의 주요 도시에 지사 형태의 조립 공장이 설립되었고 이들은 허브 공장에서 녹다운 키트를 받아 GM 차량들을 현지에서 수요에 맞게 조립하는 방식을 갖추고 있었다. 당시 허브 공장은 [[뷰익]], [[쉐보레]]의 [[미시간 주]] 플린트 공장, [[올즈모빌]]의 랜싱 공장, [[폰티악]]의 폰티악 공장, [[캐딜락]]의 디트로이트 공장이 있었다.]으로, [[1909년]]에 형성된 [[제너럴 모터스]]가 발전하던 방식을 채택한 것이었다. [* [[1945년]] 이전까지만 해도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및 리즈 공장, [[위스콘신 주]] 제인스빌 공장, [[오하이오 주]] 노우드 및 로즈타운 공장, [[미시간 주]] 플린트, 입실랜티(윌로우 런) 공장, [[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 LA 반 누이스 공장, [[뉴욕 주]] 버팔로와 테리타운 공장, [[조지아 주]] 레이크우드 공장,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공장, [[매사추세츠주]] 프레밍햄 공장[* 원래는 폰티악-올즈모빌-뷰익의 관리 체계 하에 있던 공장이었다.]이 과거 [[쉐보레]]의 관리 하에 있던 공장이었다.] 이 공장은 설립 이후 [[텍사스 주]] 알링턴 공장, [[조지아 주]] [[GM 도라빌 공장|도라빌 공장]], [[캔자스 주]] [[캔자스시티]] 페어팩스 공장, 쉐보레 관리 하의 [[매사추세츠주]] 프레밍햄 공장, [[캘리포니아 주]] [[NUMMI|프리몬트 공장]] 및 사우스 게이트 공장, [[뉴저지 주]] 린덴 공장과 함께 [[1965년]]까지 B-O-P 브랜드의 관리를 받았다. [[GM대우]]와도 인연이 있는 공장인데, 국내에 판매된 [[GM대우 G2X|G2X]]가 전량 이 공장에서 생산된 바 있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윌밍턴 공장의 폰티악 솔스티스.png|width=100%]]}}}|| ||<#314589> '''{{{#fff 2009년 6월, 공장 폐쇄 전에 찍힌 폰티악 솔스티스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tZP8GWM4d8,width=640,height=360)]}}}|| ||<#314589> '''{{{#fff 생산라인에서 빠져 나오는 윌밍턴 공장의 마지막 차량}}}''' || [[2009년]] [[제너럴 모터스]]의 파산 및 부활 과정에 있던 상황 속에서, 7월 28일에 마지막 [[폰티악 솔스티스]]가 생산라인을 빠져나오면서 폐쇄되었다. 이 공장의 폐쇄로 인해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의 자동차 대량 생산은 종언을 고한 셈이라 할 수 있었다. === 폐쇄 이후 === 현재 [[피스커 오션]]을 만든 전기차 제조사인 [[피스커]] 측에서 이 공장을 연방 세액 공제를 통해 40,000달러[* 원화가치 약 5,345만원] 미만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단을 만드는 계획인 [[피스커 애틀랜틱|프로젝트 니나]]의 생산 기지로 활용하려 하였다.[* 여담으로 이러한 발표가 나왔을 때, 당시 부통령이자 전 델라웨어 주 상원의원 출신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참석한 바 있었다.] 피스커 측에서는 [[2012년]] 말까지 차량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이로 인한 효과로는 3,000개의 공급업체와 일자리뿐만 아니라 2,000개의 공장 일자리를 창출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고 했으며, [[2014년]]에는 연간 75,000대에서 100,000대의 차량을 생산하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하면서 이 중 절반은 해외 수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에 차 있었다. 그렇게 되면 미국산 차량 중 가장 높은 수출 비중을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같은 해 9월 연방정부에서 나온 5억 2,870만 달러[* 원화가치 약 7,065억원] 중 [[미국 에너지부]] 차관으로 나온 비용 1억 7,500만 달러[* 원화가치 약 2,339억원]은 GM 공장 재정비 비용으로 투입되었다. 파산과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생산이 [[2014년]]~[[2015년]]으로 밀려났고, 이후 완샹그룹이 해당 부지를 취득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16년]] 10월에 매물이 나왔고 이후 하비, 한나&어소시에이츠(Harvey, Hanna & Associates) 측에 [[2017년]]에 매입된 후 [[2019년]] 말에 완전히 철거되었다. 이후 [[2020년]] 5월 19일에 [[아마존]]이 해당 부지에 풀필먼트 센터를 건설하겠다 선언했고, 이는 [[미국]] 내 3번째로 건설한 풀필먼트 센터였다. 340,000㎡의 규모의 땅에 세워졌으며, [[2021년]]에 문을 열었다. == 역대 생산차량 == === 쉐보레 === * [[쉐보레 셰베트]] (1975~1985) * [[쉐보레 코르시카]] (1987~1996) * [[쉐보레 베레타]] (1987~1996) * [[쉐보레 말리부]] (1997~1999) === 폰티악 === * [[폰티악 T1000|폰티악 T1000/1000]] (1981~1985) * [[폰티악 템페스트(캐나다)|폰티악 템페스트]] (1987~1991) * [[폰티악 솔스티스]] (2006~2009) === 새턴 === * [[새턴 L-시리즈]] (2000~2005) * [[새턴 스카이]] (2007~2009) === GM대우 === * [[GM대우 G2X]] (2007~2008) === 오펠 === * [[오펠 GT]] (2007~2009) [[분류:델라웨어 주의 자동차 제조 공장]][[분류:제너럴 모터스/공장]][[분류:1947년 설립]][[분류:2009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