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BMS OF FIGHTERS]]2012의 참가 [[Be-Music Script|BMS]]이자 리듬게임 [[VOEZ]]의 수록곡이다. == Gamegame(bms edit) == [youtube(fEgQ-gzjJoA)] 작곡가는 s-don, BGA 및 일러스트 篠乃ちよ가 제작했다. [[BMS OF FIGHTERS]]2012 참가곡으로, 이 곡이 나오기 전까지는 무명에 가까웠던 s-don이 처음으로 흥행시킨 곡이다. 2곡밖에 없는 팀[* BOF는 1팀 3곡이 기본 구성인 대회다.][* 나머지 한 곡은 Ras의 [[テキトウInfinite love]]다.]이라는 불리한 상황에서도 총점 16위라는 높은 순위를 달성했을 정도로 큰 관심을 받은 곡이다. 이 곡 이후 s-don은 부명의인 Iriss 명의나 본 명의로 많은 곡을 작곡하고 있지만, BMS에서 s-don의 대표곡은 여전히 이 곡인 상황이다. === 대회 결과 === 총점 : '''111995''' (119 임프레션) [* 에이스 보정시 139993] 중앙값 : 960.00 / 1000.00 평점 : 950.4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16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16위 === BMS 차분 === ||<-6>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Lanother || ★6 || 2175 || EASY || La*2℃ || || || plus+ || ★14 || 2389 || EASY || swa || || || pw-another || ▼1 || 1832 || NORMAL || pw || 제2발광 || || 9 EX || ●4 || 1450 || EASY || 0samil0 || PMS || || 9 Insane || ●10 || 2118 || EASY || 0samil0 || PMS || |||||||||||| [[Be-Music Script/단위인정/통상 BMS|통상 BMS]] 9단 || ||스테이지|| 곡명 || 차분명 || 난이도 || 참고 || || 1 || [[ラケシスと永遠の祈祷者]] || || ☆11 || || || 2 || [[Precious!!!]] || 7key,Another || ☆11 || || || 3 || '''[[Gamegame|Gamegame (bms edit)]]''' || || ☆11 || || || 4 || [[Shooting Silver Bullet]] || ANOTHER || ☆12 || || == [[VOEZ]] == * [[VOEZ/수록곡]] [youtube(nq3giKruKwA)] VOEZ 수록 버전은 bms edit와 약간 차이가 있다. 원곡보다 BPM이 소폭 빨라졌고 샘플링이 변경되었다. === 채보 === |||||||| '''Gamegame''' || |||||||| 이미지 링크?width=300 || ||<#eee> 작곡 |||||| s-don || ||<#eee> BPM ||||||<:> ||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 3||<:> 7||<:> 13|| ||<#eee> 노트 수 ||<:> 146||<:> 290||<:> 480|| ==== Easy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P/SS 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패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패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Hard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P/SS 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패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패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Special ==== [youtube(_aFc617nUA0)] AP 영상 패턴이라고 해 봤자 2슬라이드+단타의 조합이 연달아 내려오는 것 말고 없으며,타이밍만 익히면 오히려 쉬는 구간이 된다.다만 AP와 스코어링을 노릴 때는 조심해야 한다.초반의 엇박 단타가 손을 꼬이게 하고,중후반의 슬라이드의 간격이 넓어 손가락의 속도를 맞추면서 긁어야 한다. === Gamegame? === ||||||||
'''Gamegame?''' || |||||||| 이미지 링크?width=300 || ||<#eee> 작곡 |||||| s-don || ||<#eee> BPM ||||||<:> ||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 '''-41'''||<:> '''99'''||<:> '''41'''|| ||<#eee> 노트 수 ||<:> '''1235'''||<:> 663(2017년)[br]696(현재)||<:> 785|| 만우절인 4월 1일에 업데이트된 채보. --발광 VOEZ-- 난이도 표기와 세 난이도의 보면의 형태가 심히 병맛이다.(...) Special보다 하드가 더 난이도가 높으며, 노트 수가 많을수록 난이도가 낮다. ==== Easy ==== [youtube(idrLGQ7K46c)] 플레이 영상 중간부터 슬라이드 노트로 거대한 ? 표시가 나온 후로 몇번의 홀드와 탭 노트와 동시타 후에 슬라이드 노트로 문자가 나오는데, 순서대로 나열하면 5x11, 366/3, CIII, EIGHT ONE ONE, 八十三, 육십구, Es 라는 문자가 나온다. '''하지만 이 문자들에는 엄청난 떡밥이 숨겨져 있는데...''' 이하 밑의 기타 항목에서 후술. ==== Hard ==== [youtube(WFv9_S0MiNA)] '''AMP'''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C_Seafood. --다시 봐도 못 믿겠다--[* 다만 이 영상은 난이도 하향을 먹은 2018년 채보 AMP 동영상이며, 하향 전인 2017년 채보는 AMP 기록자가 없는 듯 하다.] 초반부터 홀드노트가 겹쳐져서 내려오고, 45초에서는 홀드노트가 있는 상태로 라인이 화면에서 나가버린다(...). 1분쯤에서는 많은 홀드노트가 겹쳐서 내려온다. 참고로 이 겹쳐지는 홀드노트의 파훼법은 홀드노트가 치는 것만 인식하고 이후는 누르고만 있으면 되는 것과 판정라인의 윗부분도 치면 처리가 되는 점을 이용해, 첫 홀드노트를 누르고 나서, 내려오는 홀드노트의 박자에 맞춰 판정선의 윗부분을 터치해주기만 하면 된다. 이러면 홀드노트를 계속 처리하는 걸로 인식해서 겹쳐진 다중 홀드노트가 모두 처리된다. 위 영상도 그렇게 처리하는 걸 알 수 있다. 그러더니 그 뒤에는 아예 '''4동시 폭격'''과 '''8동시 스와이프'''[* 심지어 이 8동시 스와이프가 ← → ← → ← → ← → 로 나오는 부분도 있다. 레인 판정도 좁은데다 손가락 8개를 정확하게 교차해야 해서 사실상 AMP 플레이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편. 다행히 2018년 채보에서는 이 부분이 8동시 대신 4동시로 수정되었다.]도 내려온다. 게다가 1분 45초에서는 라인이 까매져서 홀드노트와 일반노트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라인 색이 이래서 검정색이면 안되는구나-- --라인 위쪽을 보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겹쳐지는 홀드노트들로 끝난다. 이중 다중 홀드 노트는 나중에 [[Leviathan(Rayark)|Leviathan]], 까매지는 라인 효과는 [[Lifill]], [[Ragnarok(Rayark)|Ragnarok]]와 같은 공식 채보에 사용된다. 2017년 버전과 2018년 버전의 채보 차이가 있다고 한다. [[https://m.youtube.com/watch?v=eSCV1c1uhmc|영상 참조]]. 8동시 스와이프가 4동시로 완화되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오던 슬라이드들이 같은 방향으로 나오는 대신 6동시타가 추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소폭 하향된 편. 전술했듯 위 동영상도 [[https://twitter.com/C_Seafood/status/1245343250581311488?s=20|C가 2018년 채보로 AMP를 찍은 것이다.]] ==== Special ==== [youtube(uipTXyUciD8)] '''AMP 영상''' 플레이어는 C_seafood Easy와 Hard와 비교해보면 그래도 평범한 채보이다. 처음에는 보통의 Special 채보와 다름없이 시작하다가, 잠시 후 슬라이드로 41 및 fool 글자가 나온다. 그러고 나서 0:20경부터 '''야바위 채보'''(...) --미친 누가 리듬게임 채보 갖고 야바위를 하냐-- 가 시작된다. 처음 네 개가 파란색 및 빨간색이 무작위로 선택되어 나온 후 색깔이 없어지며 마구 섞이다가 섞임을 멈춘다. 이게 네 번 등장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랜덤 패턴이 아니라 노트 배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 첫 번째 섞임에서는 네번째 단타, 두 번째 섞임에서는 1,2번째 슬라이드, 세 번째 섞임에서는 2,3,4번째 홀드, 네 번째 섞임에서는 모두 홀드해야 한다. 네 번째 섞임에서의 마지막 홀드는 위 동영상에서 1:00까지 해야 한다 (중간에 슬라이드 노트가 튀어나오기 때문). 그러고 나서 잠시 후에 Special 채보의 강화판이 나온다. 위 영상에서 1:32까지는 그냥 좀 더 어려운 Special 채보라 생각하고 하면 되지만 문제는 1:33부터 이번에는 피아노 치듯이(...) 쳐야 한다. 중간에 4동시 단타가 시시때때로 나오며 마지막에는 2동시 단타+2동시 스와이프 혼합이 네 번 나온다. 그 뒤 4동시 홀드를 중간중간에 떼었다 눌렀다 하면서 처리하고, 마지막에 나오는 슬라이드+4동시 폭격과 2동시 홀드까지 처리하면 마무리. === 기타 === ==== Gamegame? Easy 채보의 이스터 에그의 정체 ==== [[https://youtu.be/53OgGqe1NIs|업데이트를 알리는 영상]]의 설명에 "Can you find it?"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고, 또한 Easy 채보에 VOEZ 2017이라는 노트아트 등이 있어 숨겨진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레딧]] 등에서 나왔다. 그러다가 마침내 채보 구성 자체가 [[이스터 에그]]임이 밝혀졌는데, 슬라이드 노트로 구성된 거대한 ? 표시 이후 나오는 홀드와 탭노트는 '''[[모스 부호]]'''이며, 2~5 동시타들은 '''[[이진법]]'''[* 노트가 있는 곳을 1, 없는 곳을 0으로 해석하면 된다]으로 나타낸 숫자, 그리고 이진법 숫자와 바로 뒤의 문자 노트들은 '''[[아스키 코드]]'''이다. 이 부호와 코드를 해석하면 ||||||<:> '''모스부호''' || ||<:>'''·''' ||<:>E ||<|7><:> [[유튜브]] |||| ||<:>'''― · · ·''' ||<:>B || ||<:>'''· · ―''' ||<:>U || ||<:>'''―''' ||<:>T || ||<:>'''· · ―''' ||<:>U || ||<:>'''― ― ―''' ||<:>O || ||<:>'''― · ― ―''' ||<:>Y || ||||<:> '''이진법''' ||<:> '''아스키코드''' || ||<:>'''◇◆◇◆◇◇◇◇''' ||<:>80 ||<:>P || ||<:>'''◇◇◆◆◇◆◆◆''' ||<:>55 ||<:>7 || ||<:>'''◇◆◆◆◇◆◇◇''' ||<:>116 ||<:>t || ||<:>'''◇◇◆◇◆◆◇◆''' ||<:>45 ||<:>- || ||||<:> '''문자''' ||<:> '''아스키코드''' || ||<:>'''5 × 11''' ||<:>55 ||<:>7 || ||<:>'''366 ÷ 3''' ||<:>122 ||<:>z || ||<:>'''CⅢ''' ||<:>103 ||<:>g || ||<:>'''Eight One One''' ||<:>118[* 읽는 순서는 One One Eight으로 떨어지므로 역순.] ||<:>v || ||<:>'''八十三''' ||<:>83 ||<:>S || ||<:>'''육십구''' ||<:>69 ||<:>E || ||<:>'''[[아인슈타이늄|Es]]''' ||<:>99[* [[아인슈타이늄]]의 [[원소]]번호.] ||<:>c || ||||||<:> '''https://youtu.be/P7t-7zgvSEc''' || [[https://youtu.be/P7t-7zgvSEc|보이즈의 새로운 신곡을 알리는 숨겨진 유튜브 주소 하나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Noël|이 곡의 정체는 바로...]]''' [[분류:BOF/수록곡]][[분류:VOEZ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