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98B2F><:> '''[[서울 다이너스티|{{{#white 現 오버워치 }}}]][[Gen.G eSports/오버워치|{{{#white 프로게임단 }}}]]''' || ||||<#A98B2F><:> '''[[Gen.G/리그 오브 레전드|{{{#white 現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A98B2F><:> '''[[Gen.G PUBG|{{{#white 現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A98B2F><:> '''[[Gen.G/클래시 로얄|{{{#white 現 클래시 로얄 프로게임단 }}}]]''' || ||||<#A98B2F><:> '''{{{#white 現 포트나이트 프로게임단 }}}''' || ||||<#A98B2F><:> '''[[Gen.G eSports/콜 오브 듀티|{{{#white 現 콜 오브 듀티 프로게임단 }}}]]''' || ||||<#A98B2F><:> '''{{{#white 現 APEX 레전드 프로게임단 }}}''' || ||||<#808080><:> '''[[Gen.G/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white 前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프로게임단 }}}]]''' || ||||<:><#ffffff>[[파일:Gen.Glogo_square.png|width=325]] || ||||<#000000><:> '''{{{#A98B2F 젠지 e스포츠}}}''' || ||||<#A98B2F><:>'''{{{#000000 Gen.G eSports}}}'''|| ||<:><#000000>'''{{{#A98B2F 창단}}}''' ||<:> [[2017년]] [[7월 12일]] || ||<:><#000000>'''{{{#A98B2F 지역}}}'''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000000>'''{{{#A98B2F 회장}}}''' ||<:> Kevin Chou (케빈 추) || ||<:><#000000>'''{{{#A98B2F 부회장}}}''' ||<:> Kent Wakeford (켄트 웨이크포드) || ||<:><#000000>'''{{{#A98B2F 최고경영자}}}''' ||<:> Chris Park (크리스 박) || ||<:><#000000>'''{{{#A98B2F 최고성장책임자}}}''' ||<:> Arnold Hur (아놀드 허) || ||<:><#000000>'''{{{#A98B2F 자문위원}}}''' ||<:>[[크리스 보쉬|Chris Bosh (크리스 보쉬)]] || ||<:><#000000>'''{{{#A98B2F 단장}}}''' ||<:>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이호철(e스포츠)|이호철]][* 오버워치 전담.] || ||<:><#A98B2F> '''{{{#000000 링크}}}''' ||<:> [[https://www.geng.gg/| [[파일:GenG_only_logo.pn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DmmbxGg8g-EBkC_ku6vybg| [[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0]]]] [[https://www.facebook.com/GenGesport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18]]]] [[https://twitter.com/GenG| [[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0]]]] || [목차] [include(틀:-)] == 개요 == 젠지 e스포츠는 모바일 게임 회사 카밤의 공동 창업자인 [[대만계 미국인]] 케빈 추가 운영하는 프로게임단 사업체다. 2017년 하반기 창단 후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와 [[MVP Black]]을 인수하고 [[Lunatic-Hai #1]]의 멤버들을 영입 하는 등 각 게임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팀들을 일괄 인수해 순식간에 새로운 게임단을 창설하여 국내 e스포츠에서 가장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기업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PLAYERUNKNOWN'S BATTLEGROUNDS|배틀그라운드]], [[클래시 로얄]], [[포트나이트/배틀로얄|포트나이트]], [[콜 오브 듀티 시리즈]] 게임단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 전 세계 e스포츠게임단 중 가장 가치있는 게임단 7위이다.[[https://www.forbes.com/sites/mikeozanian/2018/10/23/the-worlds-most-valuable-esports-companies-1/#16370e146a6e|#]][* 아시아 e스포츠게임단 중 유일하게 Top10에 들어가있다] === Gen.G 리브랜딩 === [Youtube(hyyFqDdLJ9c)] 창단 후 KSV eSports라는 이름을 사용하다 2018년 5월 4일 Gen.G eSports로 팀명을 리브랜딩했다. 이러자 당연히 한국에서 흥행했던 하이퍼 FPS 게임 오버워치의 캐릭터 [[겐지(오버워치)|겐지]]가 연상되는 묘한 발음을 가진 팀명탓에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98769&site=lol|커뮤]][[http://gall.dcinside.com/m/teamseoulowl/226747|니티]]와 [[http://gall.dcinside.com/leagueoflegends1/12956603|게임]][[http://gall.dcinside.com/battlegrounds/1084120|종목]][[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gong&no=11813|들을]] 불문하고 화제가 되었다.~~그리고 [[위아더월드|하나같이 구리다고 까고있다]]~~ 원래 팀명인 KSV는 [[한국|Korea]]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의 약자라고 한다.[* 장난식으로 각 게임 팬덤마다 불리는 약자가 다른데 롤은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92481|'''K'''ing '''S'''uper am'''V'''ition]], [[강찬용|강서방('''K'''ang '''S'''eo '''V'''ang)]] 이라고 하고 히오스는 큰사발('''K'''eun '''S'''a '''V'''al), [[쌍검 드립|코리안 쌍검 바리안('''K'''orean '''S'''sanggeom '''V'''arian)]], [[뱅붕|코리아 섹시 뱅붕('''K'''orea '''S'''exy '''V'''angbung)]],[[김치]][[소주]][[불고기]]('''K'''imchi '''S'''oju '''B'''ulgogi) 등으로 불린다.] 바뀐 팀명인 Gen.G는 게임산업의 새시대가 도래했다는 의미로 Generation Gaming라고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인지 발음도 ~~다들 입에 달라붙던~~ 겐지가 아닌 젠지로 읽는것이라 한다. Gen.G측에서도 이 점을 우려했는지 팀명 변경 소식이 가장 먼저 퍼졌던 롤 인벤에 [[http://www.inven.co.kr/board/lol/4625/2021714?vtype=pc|공식계정으로 글을 작성하기도 했으며]] 리브랜딩 이후에 열렸던 APL 결승전 사전 인터뷰에서도 에스더선수가 겐지 이스포츠가 아닌 젠지 이스포츠라고 불러달라고 언급할정도 운영중인 각 팀의 이름은 '브랜드명+팀 고유명'을 취하는 다른 일반적인 게임단들과는 다르게 젠지의 브랜드를 강조하려는 의도로 '브랜드명+종목명' 방식으로 팀 고유명을 단순화 시켰다. 단, 한 리그에 복수 팀을 운영중인 배틀그라운드 종목에서는 브랜드 컬러인 황금색과 검은색의 영문명 Black과 Gold로 구분했으나,[* 이에 젠지 하츠쪽 히어로즈 팬덤의 반발이 있었다. 만 3년간 사용해온 클럽명을 오너측의 결정에 의해 빼앗긴 셈이 되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Gen.G Hots]]의 기타 문단 참조.] 해당 종목도 통합을 거치며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 운영 중인 게임단 == [include(틀:Gen.G eSports)] == 해체된 프로게임단 ==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프로게임단 === [[Gen.G/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항목 참고 == 주요 실적 == * [[Gen.G Hots]] [[2017 Gold Club World Championship|2017 GCWC]] 우승[* KSV 게임단 창단 후 획득한 첫 우승 타이틀.] [[2018 Eastern Clash: Taipei]] 준우승 [[2018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 Korea Phase 1|2018 HGC KR Phase 1]] 우승 [[2018 Mid-Season Brawl]] 우승[* Gen.G 리브랜딩 후 획득한 첫 우승 타이틀.] [[2018 Eastern Clash: Incheon]] 우승 [[2018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 Korea Phase 2|2018 HGC KR Phase 2]] 우승 [[2018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글로벌 챔피언십 Finals| 2018 HGC Finals]] 우승[* 현재까지 Gen.G 이스포츠의 글로벌 파이널급 대회 우승 중 가장 최근 우승] * [[Gen.G PUBG]] * [[Gen.G PUBG Black]]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APL 파일럿 시즌]] 우승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APL 시즌 1]] 우승 * [[Gen.G PUBG Gold]]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준우승 [[PUBG Warfare Masters Pro Tour]] 준우승 [[2018 HOT6 PUBG Survival Series Season 2 Pro Tour]] 준우승 [[펍지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2018]] TPP 모드 우승 == 배번 목록 == ||<-12>
<#FFF><:>[[파일:Gen.Glogo_square.png|width=100||]] || ||<-12><:>{{{#!folding 배번목록 ( 펼치기 / 접기 ) ||<-3><:>'''{{{#A68A0F 번호}}}'''||<-3><:>'''{{{#A68A0F 이름}}}'''||<-3><:>'''{{{#A68A0F 팀}}}'''||<-3><:>'''{{{#A68A0F 포지션}}}'''|| ||<-3><|3><:>'''{{{#000 1}}}'''||<-3><:>'''{{{#000 [[김병선(프로게이머)|김병선]] Fleta}}}'''||<-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30]] DPS}}}'''|| ||<-3><:>'''{{{#000 예현서 Agnes}}}'''||<-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30]] DPS}}}'''|| ||<-3><:>'''{{{#000 [[고정완]] Esther}}}'''||<-3><:><#000000>'''[[파일:pubglogos1.png|height=50]]'''||<-3><:>'''{{{#000 Backup}}}'''|| ||<-3><|1><:>'''{{{#000 2}}}'''||<-3><:>'''{{{#000 Winds}}}'''||<-3><:><#1e90ff>'''[[파일:CRShield.png|height=50]]'''||<-3><:>'''{{{#000 defense}}}'''|| ||<-3><|1><:>'''{{{#000 3}}}'''||<-3><:>'''{{{#000 XiaoK}}}'''||<-3><:><#1e90ff>'''[[파일:CRShield.png|height=50]]'''||<-3><:>'''{{{#000 offensive}}}'''|| ||<-3><|1><:>'''{{{#000 4}}}'''||<-3><:>'''{{{#000 Che Shen}}}'''||<-3><:><#1e90ff>'''[[파일:CRShield.png|height=50]]'''||<-3><:>'''{{{#000 offensive}}}'''|| ||<-3><|4><:>'''{{{#000 5}}}'''||<-3><:>'''{{{#000 [[김준혁]] zunba}}}'''||<-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flex.png|height=30]] FLEX}}}'''|| ||<-3><:>'''{{{#000 [[이성진]] CuVee}}}'''||<-3><:><#133C3F>'''[[파일:xNLs83T.png|height=50]]'''||<-3><:>'''{{{#000 [[파일:TOP_icon_geng.png|width=30]] TOP}}}'''|| ||<-3><:>'''{{{#000 [[심영훈]] SimSn}}}'''||<-3><:><#000000>'''[[파일:pubglogos1.png|height=50]]'''||<-3><:>'''{{{#000 Shot Caller}}}'''|| ||<-3><:>'''{{{#000 D King}}}'''||<-3><:><#1e90ff>'''[[파일:CRShield.png|height=50]]'''||<-3><:>'''{{{#000 offensive}}}'''|| ||<-3><|4><:>'''{{{#000 7}}}'''||<-3><:>'''{{{#000 [[양진모]] tobi}}}'''||<-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30]] SUPPORT}}}'''|| ||<-3><:>'''{{{#000 문성민 Lvlz}}}'''||<-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30]] SUPPORT}}}'''|| ||<-3><:>'''{{{#000 [[김민기]] Chelator}}}'''||<-3><:><#000000>'''[[파일:pubglogos1.png|height=50]]'''||<-3><:>'''{{{#000 Backup}}}'''|| ||<-3><:>'''{{{#000 [[한왕호]] Peanut}}}'''||<-3><:><#133C3F>'''[[파일:xNLs83T.png|height=50]]'''||<-3><:>'''{{{#000 [[파일:JGL_icon_geng.png|width=30]] JGL}}}'''|| ||<-3><:>'''{{{#000 8}}}'''||<-3><:>'''{{{#000 강운성 Ttsst}}}'''||<-3><:><#005CA8>'''[[파일: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흰 아이콘.png|height=50]]'''||<-3><:>'''{{{#000 [[파일:warrior_icon.png|width=30]] Warrior}}}'''|| ||<-3><:>'''{{{#000 9}}}'''||<-3><:>'''{{{#000 정학용 Stalk3r}}}'''||<-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30]] DPS}}}'''|| ||<-3><|4><:>'''{{{#000 10}}}'''||<-3><:>'''{{{#000 [[백찬형]] Fissure}}}'''||<-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30]] TANK}}}'''|| ||<-3><:>'''{{{#000 방민준 Shubil}}}'''||<-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30]] TANK}}}'''|| ||<-3><:>'''{{{#000 [[박재혁]] Ruler}}}'''||<-3><:><#133C3F>'''[[파일:xNLs83T.png|height=50]]'''||<-3><:>'''{{{#000 [[파일:ADC_icon_geng.png|width=30]] BOT}}}'''|| ||<-3><:>'''{{{#000 이중혁 Sake}}}'''||<-3><:><#005CA8>'''[[파일: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흰 아이콘.png|height=50]]'''||<-3><:>'''{{{#000 [[파일:support_icon.png|width=30]] Support}}}'''|| ||<-3><|2><:>'''{{{#000 11}}}'''||<-3><:>'''{{{#000 김정민 Life}}}'''||<-3><:><#133C3F>'''[[파일:xNLs83T.png|height=50]]'''||<-3><:>'''{{{#000 [[파일:SUP_icon_geng.png|width=30]] Support}}}'''|| ||<-3><:>'''{{{#000 임진우 Reset}}}'''||<-3><:><#005CA8>'''[[파일: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흰 아이콘.png|height=50]]'''||<-3><:>'''{{{#000 [[파일:flex_icon.png|width=30]] Flex}}}'''|| ||<-3><|1><:>'''{{{#000 11}}}'''||<-3><:>'''{{{#000 [[황민서]] Marve1}}}'''||<-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30]] TANK}}}'''|| ||<-3><|1><:>'''{{{#000 12}}}'''||<-3><:>'''{{{#000 [[박정영]] Loki}}}'''||<-3><:><#000000>'''[[파일:pubglogos1.png|height=50]]'''||<-3><:>'''{{{#000 Rifleman}}}'''|| ||<-3><|1><:>'''{{{#000 13}}}'''||<-3><:>'''{{{#000 [[이승수]] Jecse}}}'''||<-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30]] SUPPORT}}}'''|| ||<-3><:>'''{{{#000 14}}}'''||<-3><:>'''{{{#000 [[류제홍]] ryujehong}}}'''||<-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30]] SUPPORT}}}'''|| ||<-3><|1><:>'''{{{#000 16}}}'''||<-3><:>'''{{{#000 [[김동언]] Fits}}}'''||<-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flex.png|height=30]] FLEX}}}'''|| ||<-3><:>'''{{{#000 17}}}'''||<-3><:>'''{{{#000 [[송용준]] Fly}}}'''||<-3><:><#133C3F>'''[[파일:xNLs83T.png|height=50]]'''||<-3><:>'''{{{#000 [[파일:MID_icon_geng.png|width=30]] MID}}}'''|| ||<-3><:>'''{{{#000 22}}}'''||<-3><:>'''{{{#000 [[이재원]] Rich}}}'''||<-3><:><#005CA8>'''[[파일: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흰 아이콘.png|height=50]]'''||<-3><:>'''{{{#000 [[파일:assassin_icon.png|width=30]] Assassin}}}'''|| ||<-3><:>'''{{{#000 24}}}'''||<-3><:>'''{{{#000 김현준 Luke}}}'''||<-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30]] TANK}}}'''|| ||<-3><:>'''{{{#000 25}}}'''||<-3><:>'''{{{#000 이시우 Zelgadiss}}}'''||<-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감독}}}'''|| ||<-3><:>'''{{{#000 26}}}'''||<-3><:>'''{{{#000 [[윤현우]] YoonRoot}}}'''||<-6><:><#fff>''[[파일:트위치 로고.png|width=50]]'''|| ||<-3><:>'''{{{#000 27}}}'''||<-3><:>'''{{{#000 [[변상범]] Munchkin}}}'''||<-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30]] DPS}}}'''|| ||<-3><:>'''{{{#000 66}}}'''||<-3><:>'''{{{#000 정원호 KyoCha}}}'''||<-3><:><#005CA8>'''[[파일: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흰 아이콘.png|height=50]]'''||<-3><:>'''{{{#000 [[파일:flex_icon.png|width=30]] Flex}}}'''|| ||<-3><:>'''{{{#000 88}}}'''||<-3><:>'''{{{#000 [[문성원]] MMA}}}'''||<-3><:><#F9921A>'''[[파일:오버워치 화이트.png|height=50]]'''||<-3><:>'''{{{#000 코치}}}'''|| ||<-3><|2><:>'''{{{#000 99}}}'''||<-3><:>'''{{{#000 [[최민혁]] Michelle}}}'''||<-3><:><#000000>'''[[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png|height=50]]'''||<-3><:>'''{{{#000 [[파일:overwatch_role_icon_flex.png|height=30]] FLEX}}}'''|| ||<-3>'''{{{#000 [[김강희]] Roach}}}'''||<-3><:><#133C3F>'''[[파일:xNLs83T.png|height=50]]'''||<-3><:>'''{{{#000 [[파일:TOP_icon_geng.png|width=30]] TOP}}}'''||}}}|| == 기타 == * 케빈 추는 자신이 설립한 게임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의 개발사.]을 2016년에 [[넷마블]]에 총 8억 달러(한화 약 8500억원)에 매각하고 본격적으로 e-스포츠 사업을 시작했다. * 팀 오너인 케빈 추와의 2018년 1월 10일자 인터뷰에 따르면 두 종목을 추가 창단 검토중이며 그 중 한 종목은 모바일 게임이라고 한다. 현재 한국에서 e스포츠화 된 모바일 게임은 [[하스스톤]] 모바일 버전을 제외하면 [[KeSPA Cup]] 종목이기도 했던 [[클래시 로얄]]을 비롯해 [[섀도우버스]], [[펜타스톰 for Kakao]]나 [[베인글로리]]처럼 e스포츠로는 다소 마이너한 게임들이 있었다. 결국 진출 종목은 클래시 로얄로 결정되었다. 단, [[대한민국]]에서 인기와 인지도가 상당히 뒤떨어지는 [[CS:GO]]와 [[도타 2]]는 창단 계획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2018년]] [[5월 4일]] 팀을 Gen.G로 리브랜딩함과 동시에 [[클래시 로얄]]팀 창단을 알렸다. * 2018년 2월 7일 [[레이저(제조사)|레이저]]와 스폰서십 계약을 맺었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93814|인벤 기사]] * [[서울 다이너스티]]의 출범 시즌 스테이지 1, 2 부진과 LoL 팀의 와일드카드전 탈락[* 그나마도 [[ROX Tigers]]의 최종전 스카너 꼴픽으로 간신히 올라왔다는 평.] 및 리프트 라이벌스 출전 좌절로 인해 오버워치 팀은 [[루나틱 하이]] 시절에 비해 부진한 성적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롤팀의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삼성 갤럭시]]마저 인수 직후 시즌부터 챔피언 출신답지 않게 영 미덥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케빈 추는 고점매수 및 떡락의 아이콘으로 통하는 상태. ~~그러니까 [[흑우]]라는 평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 그나마 롤팀은 서머 시즌에 새 멤버를 영입하고 폼을 끌어올려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하필 롤드컵에서 망하면서 한해 농사를 완전히 망쳤고, 가장 투자를 많이 한 서울 다이너스티는 리그 결산 기준 12개팀 중 8위를 기록하며 첫 시즌을 마무리했다. 게다가 그 다음 해인 2019년에 롤팀은 롤챔스 개막 3연패를 기록하며 적신호가 켜진 상태이다. 이러다가 팀 전체가 최악의 사태를 맞이할지도 모르는 일. * 게임단 매수 초반에는 본게임 인기는 최고조나 리그 인기는 저조한 배틀그라운드, 본게임 인기는 저조하나 리그 인기는 높은 히오스[* 젠지가 활동하는 다른 AOS 종목인 롤과 비교할때 히어로즈와 롤은 한국의 경우 PC방 점유율이 18년 6월 기준 약 70배 가량 차이나나 리그 시청자 수는 3배에서 5배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을정도로 이용자수 대비 리그의 인기가 굉장히 높다. 리그는 수가 비교적으로 적은 편이라 경쟁이 좀 더 수월한 편임을 감안해도 준수한 시청률이다.]에선 그야말로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평을 들었다. 특히 히오스의 경우 본게임의 인기가 저조한 마이너 종목이다 보니 비교적 싼값에 사들여 좋은 실적을 거두고 있어 [[가성비]] 최고의 팀으로 평가받고 있다. * 그런데 블리자드가 2019년부터 히오스 리그를 폐지하겠다고 선언하며 앞날이 어두워졌다. 이미 대다수 팀들이 해체하는 중이라 젠지 히오스 팀의 운명도 얼마나 갈지 알 수 없는 상황이였고, 결국 해체됐다. * [[오버워치 리그]]에서 [[e스포츠]] 선수들에게 등번호를 붙이는 것에서 영감을 받았는지 모든 선수들이 등번호를 가지고 있다. * 창단 직후 강남의 고급 주택가에 젠지 게이밍 하우스를 리모델링하는 중이다. 그동안 선수들은 숙소와 연습실을 같이 사용하는 구조에[* 거의 대부분의 e스포츠 게임단들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SKT T1]] 같이 숙소와 연습실을 분리한 팀들도 있긴 하다.], 프런트와 선수단이 개별적으로 일하는 시스템이였으나 이제는 프런트와 연습실을 한 공간에 통합하여 프런트와 선수단이 소통할 수 있게 하고, 숙소와 연습실을 구분하여 선수들이 컨디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만든다고 한다. 모든 종목 선수들이 같은 건물에서 연습을 하게 되어 [[류제홍]]과 [[강찬용|앰비션]], [[윤루트]]가 휴게실에서 대화를 주고 받거나 서로의 방송에 출연하는 등 종목을 오가며 교류하는 모습을 팬들에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완공 이후 [[https://www.youtube.com/watch?v=PAIVRR4Ss0U|게이밍 하우스를 홍보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 오버워치 리그 서울 다이너스티의 아카데미 팀으로 젠지 이스포츠 팀을 창단하여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3부터 합류한다. * 2018년 8월 16일, PUBG 프로팀을 단일팀으로 운영한다는 오피셜이 뜸과 동시에 [[김인재|에스카]]의 잠정 은퇴, [[섹시피그]]와 [[김태효|벤츠]]의 이적 소식이 전해지면서 더 이상 완전체의 [[Gen.G PUBG Gold]] 와 [[Gen.G PUBG Black]]은 볼 수 없게되었다. * 게임단 운영과는 별도로 스트리머도 두고 있는데 현재는 팀에서 잠시 이탈해 휴식을 취하고 있는 PUBG의 [[윤현우]]와 서울 다이너스티 소속이었다가 은퇴를 선언한 오버워치의 [[허진우]]가 있다. 그리고 프로를 지속할지 그만둘지 고민했던 [[공진혁]]도 스트리밍에 집중하기로 하면서 젠지와 계약을 맺었다. 이전에는 대리 문제로 출장정지를 당해 프로 활동을 할 수 없었던 PUBG 게이머인 [[김태효]]도 스트리머로 활동했었다. * 2019년 1월 16일,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였던 케빈추를 회장으로 위임하고, Chris Park(크리스 박)을 최고경영자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공동 창업자인 Kent Wakeford(켄트 웨이크포드)는 부회장으로 위임됐다. 크리스 박 CEO는 2015년부터 MLB에서 제품 및 마케팅 부문 수석부사장을 지냈다. * 최고경영자 케빈추는 흑우로 놀림받는것과는 별개로 기존에 종종 방치되어왔던 e스포츠 선수들의 복지나 은퇴 후 생활을 여러가지면에서 적극적으로 보장해주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평가가 상당히 긍정적인 편이다. 처음에는 외국인이 한국의 주요팀들을 돈으로 쓸어모은다는 점에 불만을 가졌던 이들도 일부 있었으나 갑작스러운 히오스리그의 폐지로 팀이 해체되면서 실직자가 된 선수들을 위해 스트리머 자리와 함께 상패를 준비해주거나, 평소에도 선수들의 은퇴 후 생활을 위해 재테크상담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등 선수들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할뿐만 아니라 신규 게임이 나오면 기존의 프로였던 선수들을 모아 빠르게 팀을 창단하여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평가가 매우 좋아졌다. 실제 소속 선수들하고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있는지, 종종 선수들이 케빈 추 형이라고 부르는 모습이 나오기도했다. * 2019년 1월 31일, 콜 오브 듀티팀 창단을 [[https://twitter.com/GenG/status/1090974900800475137|발표했다]]. * 2019년 3월 1일, Apex 레전드 팀 창단을 [[https://twitter.com/GenG/status/1101485253082771457|발표]].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다이너스티)] [include(틀:-)] [include(틀:Gen.G LoL 멤버)] [include(틀:-)] [include(틀:Gen.G PUBG의 멤버)] [include(틀:-)] [include(틀:Gen.G hots 멤버)] [include(틀:-)] [include(틀:Gen.G OW 멤버)] [[분류:e스포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