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 [[파일:external/cdn44.atwikiimg.com/?cmd=upload&act=open&page=Get%20Over%21&file=go.png]]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81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6}}} || {{{#orange 9}}} || {{{#red 11}}} || {{{#Magenta 12}}} || || SKILL RATE || {{{#green 22}}} || {{{#orange 37}}} || {{{#red 52}}} || {{{#Magenta 61}}} || || 오브젝트 || {{{#green 173}}} || {{{#orange 344}}} || {{{#red 483}}} || {{{#Magenta 755}}} || || MAX COMBO || {{{#green 211}}} || {{{#orange 379}}} || {{{#red 514}}} || {{{#Magenta 786}}} || || JUST REFLEC || {{{#green 8}}} || {{{#orange 13}}} || {{{#red 13}}} || {{{#Magenta 21}}} || || 수록버전 ||||||||<#F6EC01> [[리플렉 비트 그루빈]]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63 || ||||||||||<#ffffff>{{{#green BASIC}}} : 오브젝트 44 증가 (리플레시아)[br]{{{#orange MEDIUM}}} : 오브젝트 65 증가 (리플레시아)[br]{{{#red HARD}}} : 오브젝트 18 감소 (리플레시아)[br]{{{#Magenta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youtube(V3wM0EABS1Q)] 콜레트 선행수록 하드 채보 [youtube(mTU3GKKX2Ls)] 그루빈 정식 하드 플레이 영상 [youtube(gQCxmbQ6Odk)] 리플레시아 하드 플레이 영상 [youtube(6PEjx8g7h1M)] 화이트하드 플레이 영상 [[리플렉 비트 그루빈]]의 수록곡. 파스텔 원더 트레블러의 보스를 격파하면 해금되는 방식으로 [[리플렉 비트 콜레트]]에 선행 수록되었었다. 콜레트 수록 당시엔 하드 보면 오브젝트 수가 489개였지만 그루빈에서 버티컬 오브젝트가 추가되고 보면이 조금 수정되면서 오브젝트 수가 501개로 증가하였다가 리플레시아에서 전보면이 수정되고, 화이트하드가 추가되었다. [[REDALiCE]]가 DJ NAGAI 명의로 참전. 보컬은 [[Little Star]]의 보컬을 맡았던 적이 있던 노미야 아유미(野宮あゆみ). 이식곡인 [[Beautiful Dream]]을 제외하면 사실상 REDALiCE의 첫 리플렉 비트 참여곡이다. 자켓 일러스트는 [[하츠네 미쿠]]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유명하고, REDALiCE의 레이블 [[HARDCORE TANO*C]]에서 자주 자켓 일러스트를 담당하는 [[KEI(일러스트레이터)|KEI]]가 맡았다. 5회 플레이 시 자켓의 [[토끼귀]] 소녀 아이콘이 해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