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수록곡 목록|{{{#white '''DJMAX 시리즈 수록곡'''}}}]] || || {{{#black '''최초 수록'''}}} ||[[DJMAX RESPECT V]] || || {{{#black '''장르'''}}} ||NEOTRANCE || || [[BPM|{{{#black '''BPM'''}}}]] ||120 || || {{{#black '''작곡'''}}} ||[[Virtual Self]] || [youtube(eQPTMAK36cE)] == 개요 == [[포터 로빈슨]]의 프로젝트 유닛인 [[Virtual Self]] 명의로 제작된 악곡이다. [[DJMAX RESPECT V]]에서 신곡으로 2019년 12월 26일 [[Sad Machine]]과 함께 수록되었다. 특이 사항은 뮤직비디오 영상에 사용된 3분 53초 길이의 원곡이 커팅없이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덕분에 [[Airwave(DJMAX)|Airwave ~Extended Mix~]]에 이어 [[DJMAX RESPECT V]] 수록곡 중 곡 길이가 전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곡 역시 다른 라이센스 이식곡처럼 키음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BEXTER]]는 키음이 들어가려면 멀티트랙으로 곡을 받아야 하는데 저작권자 측에서 이를 고려하지 않거나 [[Always(요구르팅)|제공받기 힘든 상황]]이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포터 로빈슨의 경우엔 해당 항목에도 나와있듯이 [[BEMANI|BEMANI 시리즈]]를 위시한 리듬게임의 이해도가 높은 데다 DJMAX RESPECT V 출시 전에 키음이 분리된 [[Particle Arts]]를 투덱에 제공한 적도 있는 만큼 키음이 없는게 아쉬울 수 밖에 없다. 원곡 및 가사는 [[Virtual Self#s-4.2|항목 참조]]. == [[DJMAX RESPECT 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host Voices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Ghost Voices}}}'''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66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1160}}}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71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373}}}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70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1343}}} || -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7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506}}}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곡 길이가 웬만한 Extended Mix 곡들을 상회할 정도로 너무 긴데다 채보도 지루할 정도로 단순해서 유저들의 반응이 좋지 않은, 특히 래더 매치에서 기피되는 1순위 곡 중 하나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GSm5YAAPJ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qng-qNOupk)]}}}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ktBM2qwI9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4dOxg73BwM)]}}} || 5버튼 HD는 최후반부에 3번키 연타가 기습적으로 나온다. 곡 길이가 워낙 긴 펀이라 실수라도 나오면 열뻗치기 쉬우니 주의.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7Tu2x8kgj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wrzxDli1uA)]}}} || 6버튼 HD는 난이도가 무난한 편이기 때문에 콤보작 시 많이 선택되는 곡이다. 다만 곡의 길이가 길어서 시간당 효율은 좋지 않다. 풀 피버 기준 맥스 콤보 시 10080 콤보가 나오기 때문에 단일곡 최대 맥스 콤보 업적을 10단계까지 모두 클리어하는 용도로도 많이 추천되는 편.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edBdZp_Ly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GN6k7ZckwA)]}}} || [[분류:DJMAX의 수록곡]] [[분류:Virtual 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