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레이 파커 주니어]][[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84년 노래]][[분류:1984년 싱글]][[분류:사운드트랙 싱글]][[분류:댄스 팝]][[분류:저스트 댄스 수록곡]][[분류:고스트버스터즈 시리즈]][[분류:영화 음악]]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OST가 나오는 영화, rd1=고스트버스터즈)] ||<-5> '''{{{+1 [[Ray Parker Jr.]] {{{#b2a529 역대 싱글}}}}}}''' || || ''Woman Out of Control''[br](1984) || {{{+1 →}}} || ''' ''Ghostbusters''[br](1984)''' || {{{+1 →}}} || ''Jamie''[br](1984) || ||<-2> '''{{{+1 Ghostbuste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e93CLbHjxQ, width=100%, height=250)]}}} || || '''수록 음반''' ||Ghostbusters: Original Soundtrack Album|| || '''아티스트''' ||레이 파커 주니어|| || '''발매일''' ||1984년 6월 8일|| || '''녹음 기간''' ||1983년|| || '''녹음실'''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루이스 파크, 웨어하우스|| || '''장르''' ||[[댄스 팝]]|| || '''길이''' ||사운드트랙 버전 | 4:06[br]편집 버전 | 3:46|| || '''레이블''' ||아리스타|| || '''작사/작곡''' ||레이 파커 주니어|| || '''프로듀서''' ||레이 파커 주니어||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hostbusters.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화 [[고스트버스터즈]]의 메인 테마곡. 레이 파커 주니어가 작사, 작곡하고 노래하였다. == 상세 == 코믹한 영화의 분위기에 걸맞는 밝고 경쾌한 느낌의 곡이라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 곡이 사실 표절 곡이라는 사실로도 유명하다. === [[휴이 루이스]]와의 표절 시비 === 레이 파커 주니어가 부른 메인 테마는 1984년 [[빌보드 핫 100]]에서 3주 연속으로 1위를 했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었지만 [[휴이 루이스]]의 〈[[http://www.youtube.com/watch?v=N6uEMOeDZsA|I Want a New Drug]]〉와의 표절 시비로도 유명하다. 해당 사건의 정황은 다음과 같다. * I Want a New Drug을 부른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는 원래 고스트 버스터즈 주제가 작업 제안을 받았으나 《[[백 투 더 퓨쳐]]》 작업에 이미 참여하고 있어서 해당 건을 거절했다. 결국 여러 아티스트들을 방황하다 해당 프로젝트는 레이 파커 주니어에게 넘어가게 된다. * 레이 파커는 해당 곡을 만드는데 2~3일 밖에 시간이 없었고 '고스트 버스터즈'라는 단어가 반드시 들어가야 되는 제약 하에 작업해야 됐다고 설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T4QmEjCh-A|1984년 당시 인터뷰 영상]] * 2014년, 영화의 감독 아이반 라이트만이 [[https://www.esquire.com/entertainment/movies/news/a27498/ghostbusters-oral-history/|에스콰이어와의 인터뷰에서 당시의 정황을 이야기 했다]]. 가편집 도중 휴이 루이스의 I Want a New Drug를 삽입했는데 너무 완벽한 템포로 딱 딱 맞아떨어져서 해당 편집본을 사용하기로 했고, 레이 파커 주니어가 해당 리프가 포함된 곡을 가져왔다는 것. 레이 파커는 영감을 tv광고를 보다가 얻었다고 설명했고, 제작진은 같은 종류의 후크가 있다고 해서 저작권 침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이다. 결국 휴이 루이스는 레이 파커를 고소했다. 사건은 1995년 레이 파커가 합의금을 지불하고, 사건에 대해 합의하여 배포한 보도자료에 없는 내용을 언급 않는 계약을 맺는걸로 끝내기로 했고, 이때 지불된 금액은 소문으로는 약 500만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당시 저작권이 휴이 루이스에게 넘어갔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 이 노래의 작곡가와 아티스트는 여전히 레이 파커 주니어이다. 그런데 2001년, VH1의 비하인드 더 뮤직 쇼에서 휴이 루이스는 해당 사건에 대해 입장을 밝혔는데 "The offensive part was not so much that Ray Parker Jr. had ripped this song off, it was kind of symbolic of an industry that wants something – they wanted our wave, and they wanted to buy it. ... It's not for sale. ... '''In the end, I suppose they were right. I suppose it was for sale, because, basically, they bought it.(결국, 그들이 옳았던거겠죠. 제 노래는 팔 수 있는 거겠죠, 왜냐면, 기본적으로, 그들이 샀으니까요.)'''" 이를 본 레이 파커는 [[http://www.mtv.com/news/1442126/ray-parker-jr-suing-huey-lewis-over-ghostbusters-comment/|휴이 루이스를 계약 위반으로 고소했다.]] 이는 [[비밀유지계약|기밀 유지 계약]]이 단순한 형식이 아닌 실효성을 가진다는걸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해외에서는 해당 사건에 대해 '이러면 I Want a New Drug는 M이라는 밴드의 Pop Muzik 리프를 표절한게 아니냐?'는 견해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해당 견해에 대해서는 듣는이들의 몫으로 남긴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25&v=Avvh5H-EPWU&feature=emb_title]] == 오디오 == [youtube(Uvck7ItXwdc)] == 가사 ==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If there's something strange In your neighborhood 여러분 이웃에 이상한 일이 생기면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If there's something weird And it don't look good 뭔가 이상하고 보기 좋지 않다면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If you're seeing things Running through your head 당신 머리 속을 뭔가가 지나갔다면 Who can you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An invisible man Sleepin' in your bed 투명인간이 당신의 침대에 있다면 Ow, who you gonna call? 오,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터 버스터즈! If you're all alone 당신이 혼자 있을 때 Pick up the phone 전화기를 드시고 And call 부르세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Ooh, I hear it likes the girls 오, 여자들도 좋아한대요 Hm, I ain't 'fraid of no ghost 음,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Yeah, yeah, yeah, yeah 예, 예, 예, 예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Mmm, if you've had a dose of a Freaky ghost, baby 음, 당신이 괴상한 유령을 삼켰다면 You better call 어서 부르세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Ow! 오! Lemme tell ya something 하나 말해줄게 Bustin' makes me feel good! 잡는건 기분 좋은 일이야!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I ain't 'fraid of no ghost 난 유령이 무섭지 않아 Don't get caught alone oh, no 혼자 잡으려고 하지 마세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When it comes through your door 뭔가가 문을 통과하고 Unless you just a-want some more 뭔가를 삼키고 싶지 않다면 I think you better call 부르는게 좋을거예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Ow! Who you gonna call? 오!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Uh, think you better call 음,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Ha ha, who you gonna call? 하하,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I can't hear you 안 들려요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Louder 더 크게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Who can you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Who you gonna call? 누굴 부를까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Uh, it likes the girls too 오, 여자들도 좋아해요 Ghostbusters! 고스트 버스터즈!|| == 차트 성적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When Doves Cry, 전번_아티스트=프린스(음악가), 전번_1위_기간=5주 연속, 이번_곡=Ghostbusters, 이번_아티스트=레이 파커 주니어, 이번_1위_기간=3주 연속, 후번_곡=What's Love Got to Do with It, 후번_아티스트=티나 터너, 후번_1위_기간=3주 연속)] [[빌보드 R&B 차트]]에서 1984년 8월 넷째 주부터 9월 첫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84년 8월 둘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8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9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382위에 올랐다. == [[리듬 게임]] 수록 == === [[beatmania IIDX]] (GHOSTBUSTERS) === || 장르명 ||<-5> DISCO[BR][[디스코]] || [[BPM]] ||<-2> 125 || || 전광판 표기 ||<-8><#454545> '''{{{#FF5A00 GHOSTBUSTERS}}}''' || ||<-9>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green 비기너}}}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green 1}}} || {{{#green 113}}} || {{{#blue 3}}} || {{{#blue 322}}} || {{{#orange 5}}} || {{{#orange 524}}} || {{{#red 7}}} || {{{#red 742}}} || || [[더블 플레이]] ||<-2> {{{#green -}}} || {{{#blue 3}}} || {{{#blue 324}}} || {{{#orange 8}}} || {{{#orange 741}}} || {{{#red -}}} || {{{#red -}}}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14 GOLD|14 GOLD]] ~ [[beatmania IIDX 16 EMPRESS|16 EMPRESS]]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14 GOLD|14 GOLD]] * [[단위인정]] 수록 * SPH : 3급 (14 GOLD, CS 14 GOLD) * DPN : 4급 (14 GOLD ~ 16 EMPRESS, CS 14 GOLD) 위의 영화 오프닝곡을 [[DJ YOSHITAKA]]가 리믹스한 곡으로, 장르는 DISCO. 영미권에서는 [[DJ YOSHITAKA]]의 커버 보컬이 영어 발음이 꽤 좋지 않다고 까이는 편이다. [[BGA]]는 [[범용 BGA]]를 채용한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reb33sDF0_A)] SPA 영상 ==== 더블 플레이 ====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DJ Yoshitaka 전작 「Spring Rain」에 이어 이번에는 무려 영화 주제가랄까 [[고스트버스터즈|영화 제목]]이 곡명인 「GHOSTBUSTERS」 를 리믹스했습니다. 「Spring Rain」과 달리 dj할 때의 추억담적인 것은 딱히 없습니다만(아날로그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왠지 이 곡을 듣고 있으면 잃어버릴 뻔한 펑키 영혼이 되살아납니다. 좀처럼 말을 찾을 수 없지만, 이 곡에는 인간이 「긍정」이 되는 성분이 듬뿍 들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 이번 리믹스는 원곡이 가진 스윙한 그루브를 딱 16분 만에 굳혀 「러프」한 어레인지를 단단하고 심지 있는 어레인지로 리믹스 했어요. 리듬 트랙을 포함한 음색은 가급적 예리하고 어딘지 모르게 그리운 소리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그 효과도 있어서 그런지 당초 그리던 모양을 잘 표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꼭 플레이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음속 깊이 잠들어 있는 「펑키 영혼」을 분발하게 해주세요!|| === [[쥬크비트]] === === [[저스트 댄스 2014]] === ||<-4> {{{#white '''프리뷰 영상'''}}} || ||<-4> [youtube(Y8pDGvIAw7k)] || ||<-4> {{{#white '''Ray Parker Jr. - Ghostbusters'''}}} || || {{{#white '''난이도'''}}} || {{{#black 보통(2014), 쉬움(언리미티드)}}} || {{{#white '''모드'''}}} || {{{#black 쿼텟}}}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76}}} || {{{#white '''골드 무브'''}}} || {{{#black 1}}} || ||<-4> {{{#white '''게임 플레이 영상'''}}} || ||<-4> [youtube(znqEBtbSSIQ)] || ||<-4> {{{#white '''Ray Parker Jr. - Ghostbusters (Sweat 버전)'''}}} || || {{{#white '''난이도'''}}} || {{{#black 보통(2014), 쉬움(언리미티드)}}} || {{{#white '''모드'''}}} || {{{#black 솔로}}}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109}}} || {{{#white '''골드 무브'''}}} || {{{#black 1}}} || 원곡 그대로 [[저스트 댄스 2014]]에 수록되었다. 2014에는 난이도가 보통이었으나 언리미티드에 수록되며 쉬움으로 난이도가 낮아졌다. 4번째 댄스 코치가 귀신 모습을 하고 있는 게 재미 요소.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스트버스터즈, version=394)][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스트버스터즈, version=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