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닉 유스/음반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Goo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436)]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20, 순위=358)]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88)]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426)]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74)]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4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87)] ---- }}} || ||<-2><#fff> '''{{{#000 {{{+1 G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oo.jpg|width=100%]]}}} || || '''발매일''' ||[[1990년]] 6월 26일 || || '''녹음일''' ||[[1990년]] 3월 - 4월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노이즈 록]] || || '''재생 시간''' ||49:23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닉 산사노[br]론 세인트 저메인[br][[소닉 유스]] || || '''스튜디오''' ||소서러 사운드 레코딩 스튜디오[br]그린 스트리트 레코딩 || || '''레이블''' ||DGC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 록밴드 [[소닉 유스]]의 6번째 스튜디오 앨범. 전작들보다 대중적인 면이 강해졌다. == 상세 == 원래 발매사였던 에니그마 레코드와 결별한 이후 대형 음반사인 게펜 레코드와 계약한 후 제작되었다. 실험적인 노이즈 위주였던 그 동안의 소닉 유스 작품들과는 달리 어느 정도 대중성 있는 [[얼터너티브 록]] 사운드를 들려준다. 이는 당시 [[너바나(밴드)|너바나]]를 비롯한 얼터너티브 밴드들의 열풍에 영향을 받은 것인데, 이들에게 영향을 준 것이 소닉 유스임을 생각해본다면 자신의 후배들에게 영향을 받은 셈이다. 때문에 소닉 유스를 입문하고 싶어하는 이들에게 다음작 Dirty와 함께 입문작으로 추천되기도 한다. 다소 늘어난 대중성 때문에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96위까지 올랐는데, 이는 소닉 유스의 작품 중 가장 높은 차트 성적이다. 앨범의 성공 이후 1990년 연말까지 북미, 유럽 투어를 돌았다. 앨범 커버는 미국의 그래픽 아티스트인 레이몬드 페티본(Reymond Pettibonel)이 작업했다. 1960년대의 연쇄살인 사건인 [[무어 살인사건]]의 범인 [[마이라 힌들리]]의 여동생 모린 힌들리(Maureen Hindley)와 모린의 남편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의 법정 출두 장면을 모티브 삼아 모드 살인마 커플을 묘사했다. 커버에 적힌 설명문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난 자매의 남자친구를 빼앗았다. 격렬한 회오리바람이자 마음, 섬광이었다. 1주일 후 우리는 내 부모님을 죽이고 도망쳤다." 허무주의적이면서도 쿨한 분위기와 간단한 구도 때문에 패러디가 자주 되는 앨범 커버기도 하다. 원래는 [[조운 크로퍼드]] 그림이 될뻔했으나 [* 8번 트랙인 밀드레드 피어스는 조운 크로퍼드 주연의 느와르 영화기도 하다.] 이걸 선택했다고 한다. == 트랙 리스트 == ||<-2><#fff> '''{{{#00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 1 || Dirty Boots || || 2 || Tunic (Song for Karen)[* 킴 고든 보컬. [[카펜터스]]의 캐런 카펜터를 추모하는 곡. 캐런의 시점에서 점차 죽어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캐런이 사후 세계에서 새로 사귀는 친구들로 [[엘비스 프레슬리]], [[데니스 윌슨]], [[재니스 조플린]]이 언급된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591436&fcno=2116160|가사 번역]]] || || 3 || Mary-Christ || || 4 || Kool Thing[* 싱글로 발매되었다. [[퍼블릭 에너미(힙합 그룹)]]의 척 D가 피쳐링으로 참여. [* 당시 스튜디오 옆방에서 퍼블릭 에너미가 [[Fear of a Black Planet]]을 녹음하고 있었다.] [[할 하틀리]]의 심플 맨에 삽입되었다.] || || 5 || Mote || || 6 || My Friend Goo || || 7 || Dissappear || || 8 || Mildred Pierce || || 9 || Cinderella's Big Score || || 10 || Scooter + Jinx || || 11 || Titanium Exposé || [[분류:소닉 유스]][[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90년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노이즈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