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ore(사운드트랙))] ||<-2><#ab722d> '''{{{#000000 {{{+1 Green Is the Colou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ySNnz5N9WA,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1969년]] [[6월 13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b722d; font-size: .9em" [[More(사운드트랙)|'''{{{#000 More}}}''']]}}} || || '''장르''' ||사이키델릭 포크 || || '''작사/작곡''' ||[[로저 워터스]] || || '''프로듀서''' ||노먼 스미스 || || '''러닝 타임''' ||2:58 ^^앨범 버전^^[br]3:22 ^^뮤직 비디오^^ || || '''레이블''' ||EMI 콜럼비아, 타워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XeWngFZaa8?si=jVpyZUAT9-v7G8lP, height=250)]}}}|| || '''뮤직 비디오''' ||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3집 [[More(사운드트랙)|More]]의 5번째 트랙. 스튜디오 버전은 G장조 곡으로 감미로운 [[데이비드 길모어|길모어]]의 보컬이 깔린 잔잔한 어쿠스틱 트랙이지만, 라이브 버전은 드럼이 추가된 일렉트릭 밴드 버전으로 편곡되어 1969~71년 즈음에 'Beset by the Creatures of the Deep[* 이 곡은 후에 [[Careful with That Axe, Eugene]]이라는 이름으로 싱글 발매된다.]' 전에 연주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XKK2iLoXTA|#]] [[닉 메이슨]]은 스튜디오 레코딩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대신 그의 아내 린디 메이슨[* 목관악기 연주자로, [[Ummagumma]]에 수록된 메이슨의 곡 [[The Grand Vizier's Garden Party]]에서 플루트를 연주한 바 있다.]이 틴 휘슬을 연주했다. 이후 2018년에 이 곡은 [[닉 메이슨]]의 소서풀 오브 시크레츠에 의해 커버 연주된다. == 가사 == ||<#ab722d> ---- '''{{{+2 Green Is the Colour}}}''' ---- Heavy hung the canopy of blue 우울감의 덮개가 무겁게 걸려 있어 Shade my eyes and I can see you 내 눈을 가려도 그대를 볼 수 있지 White is the light that shines through the dress that you wore 흰색은 그대가 입었던 드레스를 뚫고 발하는 빛이야 She lay in the shadow of the wave 그녀는 파도의 그림자 속에 누웠어 Hazy were the visions of her playing 그녀가 노는 모습은 흐릿했지 Sunlight on her eyes but moonshine made her blind ev’ry time 그녀의 눈에는 태양빛이 있지만 달빛은 언제나 그녀의 시야를 가려 Green is the colour of her kind 녹색은 그녀의 색이야 Quickness of the eye deceives the mind 눈의 신속함은 마음을 속이고 Envy is the bond between the hopeful and the damned 시기는 희망찬 것과 저주받은 것 간의 연결이지 ---- [[파일:pink-floyd-logo.png|width=150]] || [[분류:1969년 노래]][[분류:핑크 플로이드 노래]][[분류:로저 워터스 노래]][[분류:사이키델릭 록]][[분류:More(사운드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