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단어의 본래 의미, rd1=유탄, other2=리듬게임 Dynamix 수록곡, rd2=Grenade(Dynamix))] || '''Grenade의 성적과 수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ff,#444><-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Firework]]'' [[Katy Perry|{{{-2 {{{#8086a0 Katy Perry}}}}}}]] || {{{+1 →}}} || ''' Grenad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br]{{{-2 (1주)}}} || {{{+1 →}}} || ''[[Firework]]'' [[Katy Perry|{{{-2 {{{#8086a0 Katy Perry}}}}}}]] || || ''[[Firework]]'' [[Katy Perry|{{{-2 {{{#8086a0 Katy Perry}}}}}}]] || {{{+1 →}}} || '''Grenad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 {{{-2 (2주)}}} || {{{+1 →}}} || ''[[Hold It Against Me]]'' [[Britney Spears|{{{-2 {{{#8086a0 Britney Spears}}}}}}]] || || ''[[Hold It Against Me]]'' [[Britney Spears|{{{-2 {{{#8086a0 Britney Spears}}}}}}]] || {{{+1 →}}} || '''Grenad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 {{{-2 (1주, 총 4주)}}} || {{{+1 →}}} || ''Black and Yellow'' [[Wiz Khalifa|{{{-2 {{{#8086a0 Wiz Khalifa}}}}}}]] ||}}}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200]]]] || ||<-5><#0029F3> '''{{{+1 [[Official Charts|{{{#fff UK 차트}}}]] 역대 1위 곡}}}''' || || ''[[What's My Name?|{{{#EF6AD4 What's My Name?}}}]]''[br]{{{-2 [[Rihanna|{{{#8086a0 Rihanna}}}]] [[Drake|{{{#8086a0 ft. Drake}}}]]}}} || → || '''Grenade'''[br][[브루노 마스|{{{-2 {{{#8086a0 Bruno Mars}}}}}}]][br]{{{-2 {{{#808080 (2주 연속)}}}}}} || → || ''{{{#EF6AD4 We R Who We R}}}''[br][[케샤|{{{-2 {{{#8086a0 Kesha}}}}}}]] ||}}} ---- }}} || [include(틀:브루노 마스)] {{{#!wiki style="word-break:keep-all" ||<-3><#181511> ,,[[브루노 마스/싱글|{{{#f3e5bc '''브루노 마스의 싱글 순서'''}}}]],, || || ← ||<|2> [[Doo-Wops & Hooligan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3e5bc;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181511 '''Doo-Wops & Hooligans'''}}}}}}]][br]'''{{{+1 Grenade}}}'''[br]{{{-2 (2010. 09. 28.)}}} || → || || [[Doo-Wops & Hooligan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8B41E;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9E8B7 '''Doo-Wops & Hooligans'''}}}}}}]][br]'''[[Just the Way You Are|{{{#F8B41E Just the Way You Are}}}]]'''[br]{{{-2 (2010. 07. 20.)}}} || [[Doo-Wops & Hooligan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8B41E;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9E8B7 '''Doo-Wops & Hooligans'''}}}}}}]][br]'''[[The Lazy Song|{{{#F8B41E The Lazy Song}}}]]'''[br]{{{-2 (2011. 02. 15.)}}} ||}}} {{{#!wiki style="word-break:keep-all" ||<-3> '''{{{+2 ''Grenade''}}}[br]{{{-2 [[Doo-Wops & Hooligans|{{{#f3e5bc from the album ''Doo-Wops & Hooligans''}}}]]}}}'''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renade.jpg|width=100%]]}}} || || '''수록 음반''' ||<-2> [[Doo-Wops & Hooligan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8B41E; font-size: 0.85em; letter-spacing: -0.1px" {{{#F9E8B7 '''Doo-Wops & Hooligans'''}}}}}}]]{{{-3 '''^^정규 1집^^'''}}} || || '''아티스트''' ||<-2> [include(틀:브루노 마스/로고)] || || '''발매''' ||<-2> 2010년 9월 28일 || || '''장르''' ||<-2> [[팝 음악|팝]], [[파워 팝]] || || '''작곡/작사''' ||<-2> [[브루노 마스|Bruno Mars]], Philip Lawrence, Ari Levine, Brody Brown,Claude Kelly, Andrew Wyatt || || '''프로듀서''' ||<-2> The Smeezingtons || || '''길이''' ||<-2> 3:42 || || '''레이블'''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0px 8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엘렉트라 레코드|[[파일:Elektra_logo_(without_wordmark).svg.png|height=30]]]]}}} || ||<|4> '''성적''' || [include(틀:빌보드 로고,width=80,문서명=빌보드 핫 100)] || '''{{{#red 1위}}}'''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80]]]] || '''{{{#red 1위}}}''' || || [[스포티파이|[[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80]]]] || ''' 1,067,839,412회'''[*A 2023년 8월 19일 기준] || || [include(틀:유튜브 로고,width=80)] || '''1,151,583,442회'''[*B 2023년 8월 19일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renade.gif|width=100%]]}}}|| ||<#fff,#191919> {{{-2 {{{#181511 '''You know I'd do anything for ya'''}}} 너도 알잖아 널 위해서는 뭐든 할 수 있다는 걸}}} || [[브루노 마스]]의 데뷔 앨범 [[Doo-Wops & Hooligans]]에 수록된 곡. 앨범의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 상세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면 어떤 것이라도 마다하지 않는 헌신적인 [[남성]]이 [[애인]]의 무관심함에 너무나 분노했다는 [[가사]]와 브루노 마스의 너무나 애절하게 느껴지는 목소리가 조화를 이룬 수작. 앨범에서 가장 만들기 어려웠던 곡이라고 한다. 원래는 더 빠른 스타일에 기타가 베이스인 곡이었는데, 음반사와의 계약을 위한 쇼케이스를 앞두고 있던 브루노 마스가 노래가 뭔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생각에 급하게 수정했다고 한다. 속도를 늦추고 베이스를 피아노로 바꾼 것인데 이게 반응이 좋았고, 결국 앨범에도 바꾼 버전으로 수록했다. 이 때문에 앨범의 마감일을 이틀 앞두고 노래 작업을 다시했다고. == 성적과 평가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wiki style="word-break:keep-all" ||<#fff,#444><-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Firework]]'' [[Katy Perry|{{{-2 {{{#8086a0 Katy Perry}}}}}}]] || {{{+1 →}}} || ''' Grenad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br]{{{-2 (1주)}}} || {{{+1 →}}} || ''[[Firework]]'' [[Katy Perry|{{{-2 {{{#8086a0 Katy Perry}}}}}}]] || || ''[[Firework]]'' [[Katy Perry|{{{-2 {{{#8086a0 Katy Perry}}}}}}]] || {{{+1 →}}} || '''Grenad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 {{{-2 (2주)}}} || {{{+1 →}}} || ''[[Hold It Against Me]]'' [[Britney Spears|{{{-2 {{{#8086a0 Britney Spears}}}}}}]] || || ''[[Hold It Against Me]]'' [[Britney Spears|{{{-2 {{{#8086a0 Britney Spears}}}}}}]] || {{{+1 →}}} || '''Grenade''' '''[[Bruno Mars|{{{-2 {{{#8086a0 Bruno Mars}}}}}}]]''' {{{-2 (1주, 총 4주)}}} || {{{+1 →}}} || ''Black and Yellow'' [[Wiz Khalifa|{{{-2 {{{#8086a0 Wiz Khalifa}}}}}}]] ||}}} {{{#!wiki style="word-break:keep-all" ||<-5>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200]]]] || ||<-5><#0029F3> '''{{{+1 [[Official Charts|{{{#fff UK 차트}}}]] 역대 1위 곡}}}''' || || ''[[What's My Name?|{{{#EF6AD4 What's My Name?}}}]]''[br]{{{-2 [[Rihanna|{{{#8086a0 Rihanna}}}]] [[Drake|{{{#8086a0 ft. Drake}}}]]}}} || → || '''Grenade'''[br][[브루노 마스|{{{-2 {{{#8086a0 Bruno Mars}}}}}}]][br]{{{-2 {{{#808080 (2주 연속)}}}}}} || → || ''{{{#EF6AD4 We R Who We R}}}''[br][[케샤|{{{-2 {{{#8086a0 Kesha}}}}}}]] ||}}}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랐으며, 2011년 [[빌보드 연말 차트]] 6위를 기록했고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310위에 올랐다. 2020년 10월, [[RIAA]]로부터 미국 내 천만 장 이상 판매를 의미하는 다이아몬드 인증을 부여받았다. 그래미 어워드에서 제네럴 부문인 <올해의 노래상>과 <올해의 레코드상>을 비롯 <최고의 팝 솔로 퍼포먼스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실제 수상은 불발.[* 공교롭게 세 부문 모두 [[Adele]]이 상을 가져갔다. <올해의 노래상>과 <올해의 레코드상>은 [[Rolling in the Deep]], <최고의 팝 솔로 퍼포먼스상>은 [[Someone Like You]].] == Grenade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1EKgh8X6k_c)]}}}|| ||<#F8B41E> {{{#!wiki style="word-break:keep-all" {{{#F9E8B7 {{{+2 '''Grenade'''}}}}}}[br]{{{#F9E8B7 3:43}}}}}}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Easy come easy go, that's just how you live 쉽게 만나고 쉽게 헤어지지, 그게 네가 사는 방식이지 Oh, take, take, take it all but you never give 빼앗고, 취하고, 모두 가져가지만 절대 주지는 않지 Should've known you was trouble from the first kiss 널 감당할 수 없다는 걸 그 때 알았어야 했어, 첫 키스 때 Had your eyes wide open, why were they open 네가 두 눈을 감지 않았던 그때, 왜 눈을 뜨고 있었을지 Gave you all I had and you tossed it in the trash 내 모든 걸 네게 줬어 그리고 넌 그걸 휴지통에 휙 던졌지 You tossed it in the trash, you did 휴지통에 휙 던졌어, 넌 그랬지 To give me all your love is all I ever asked 내가 원한 건 네 사랑을 전부 달라는 것 뿐이야 'Cause 왜냐면 What you don't understand is 너는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I'd catch a grenade for ya 난 널 위해 수류탄을 잡을 수 있으니까 Throw my hand on a blade for ya 널 위해 맨손으로 칼날을 막을 수 있으니까 I'd jump in front of a train for ya 널 위해 기차에 뛰어들 테니까 You know I'd do anything for ya 너도 알잖아 널 위해서는 뭐든 할 수 있다는 걸 oh oh oh oh oh I would go through all this pain 그 고통을 전부 견뎌낼 수 있어 Take a bullet straight through my brain 머리에 총알도 맞을 수 있어 Yes, I would die for you, baby 난 널 위해라면 죽을 수 있어 But you won't do the same 하지만 넌 그렇지 않겠지 No, no, no, no 아니, 절대, 전혀, 결코 Black, black, black and blue, beat me 'til I'm numb 까맣고, 까맣고, 까맣고, 퍼렇게 날 때려 내가 무감각해 질 때까지 Tell the devil I said, hey, when you get back to where you're from 네가 왔던 지옥으로 돌아가면 악마한태 안부나 전해줘 Mad woman, bad woman, that's just what you are, yeah 미친 여자, 나쁜 여자, 그게 바로 너야 You'll smile in my face then rip the brakes out my car 넌 내 면전에 대고 미소짓고는 내 차의 브레이크를 박살낼거야 Gave you all I had and you tossed it in the trash 내 모든 걸 네게 줬어 그리고 넌 그걸 휴지통에 휙 던졌지 You tossed it in the trash, yes, you did 휴지통에 휙 던졌어, 넌 그랬지 To give me all your love is all I ever asked 내가 원한 건 네 사랑을 전부 달라는 것 뿐이이야 'Cause 왜냐면 What you don't understand is 너는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I'd catch a grenade for ya 난 널 위해 수류탄을 잡을 수 있으니까 Throw my hand on a blade for ya 널 위해 맨손으로 칼날을 막을 수 있으니까 I'd jump in front of a train for ya 널 위해 기차에 뛰어들 테니까 You know I'd do anything for ya 너도 알잖아 널 위해서는 뭐든 할 수 있어 Oooh I would go through all this pain 그 고통을 전부 견딜 수 있어 Take a bullet straight through my brain 머리에 총알도 맞을 수 있어 Yes, I would die for you, baby 그래, 난 널 위해라면 죽을 수 있어 But you won't do the same 하지만 넌 그렇지 않겠지 If my body was on fire 내 몸에 불이 붙는다면 Ooh, you'd watch me burn down in flames 너는 내가 재가 되는 걸 지켜보기만 했겠지 You said you loved me, you're a liar 넌 날 사랑한다고 하지만, 넌 거짓말쟁이야 'Cause you never, ever, ever did, baby 왜냐하면 넌 절대, 한번도, 결코 그런 적 없으니까 But darling, I'd still catch a grenade for ya 하지만 내 사랑, 나는 여전히 널 위해 수류탄을 잡을 거야 Throw my hand on a blade for ya 널 위해 맨손으로 칼날도 막을 거야 I'd jump in front of a train for ya 널 위해 기차에도 뛰어들 거야 You know I'd do anything for ya 너도 알듯이 널 위해서는 뭐든 할 수 있어 I would go through all this pain 난 그 모든 고통을 견딜 수 있어 Take a bullet straight through my brain 머리에 총알도 맞을 수 있어 Yes, I would die for you, baby 그래, 난 널 위해라면 죽을 수 있어 But you won't do the same 하지만 넌 그렇지 않지 No, you won't do the same 아니, 넌 그렇지 않아 You wouldn't do the same 너는 그렇지 않을거야 Ooh, you never do the same 넌 절대로 그렇지 않아 No, no, no, no 아니, 절대, 전혀, 결코}}}}}} || === 뮤직비디오 === || '''{{{+1 Grenade}}}[br]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R6iYWJxHqs)]}}}|| 뮤직비디오가 충격적인데 극 후반부에 브루노 마스가 가사 그대로 '''달리는 기차로 뛰어들 거라는''' 암시만 남기고 끝난다. 브루노 마스가 피아노를 끄는 장면이 CG라거나 모형이라는 얘기가 많았는데, 진짜 피아노이며 브루노 마스가 직접 끌었다고 한다. 진짜 피아노인 만큼 무게가 굉장히 많이 나갔다고. == 라이브 == || {{{#f3e5bc '''Live at Studio Session at Mophonics Studio N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kuoRGig4Cs)]}}}|| || {{{#f3e5bc '''Live at SiriusXM (Acousti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TukUnnflUw)]}}}|| [[분류:브루노 마스]][[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오피셜 싱글 차트 1위]][[분류:2010년 노래]][[분류:2010년 싱글]][[분류:연애를 소재로 한 노래]][[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